•  


채널A ‘먹거리 X파일’ 製作陣의 못다 한 이야기|東亞日報

채널A ‘먹거리 X파일’ 製作陣의 못다 한 이야기

  • 東亞日報
  • 入力 2012年 12月 10日 03時 00分


코멘트

3, 4名씩 組 짜서 ‘暗行取材’ 나선 製作陣 밥床머리서 두리번 두리번
영문 모른 食堂主人 “七뜨기로 錯覺했어”

채널A ‘이영돈 PD의 먹거리 X파일’의 진행자 이영돈 PD(왼쪽)가 강원 횡성군의 ‘삼군리 메밀촌’을 방문해 식당 주인인 이복재 씨 부부와 100% 메밀국수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채널A 제공
채널A ‘李永敦 PD의 먹거리 X파일’의 進行者 李永敦 PD(왼쪽)가 講院 橫城郡의 ‘삼군리 메밀촌’을 訪問해 食堂 主人인 이복재 氏 夫婦와 100% 메밀국수를 만드는 方法에 對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채널A 提供
“方今 放送된 ‘착한 食堂’ 住所 좀 알려주세요.”

每週 金曜日 밤 12時, 綜合編成TV 채널A의 ‘李永敦 PD의 먹거리 X파일’이 끝날 무렵이면 問議 電話가 빗발친다. 이 프로그램은 7日 放映分에서 視聽率 3.501%(AGB닐슨·首都圈 有料放送家口)로 드라마와 스포츠 中繼, 報道部門을 뺀 종편 프로그램 中에서 最高의 視聽率을 記錄했다. 視聽者들의 뜨거운 反應만큼 착한 食堂을 찾는 過程에서 겪는 迂餘曲折도 많다.

○ 食堂에 찾아온 ‘七뜨기’들?


이 프로그램의 ‘착한 食堂-모자이크를 벗겨라’는 製作陣과 飮食 評價團이 ‘미스터리 쇼퍼’가 되어 제대로 된 먹을거리를 내놓는 食堂을 紹介하는 코너. 착한 食堂 檢證團은 料理硏究家, 大學 食品營養學科 敎授, 호텔調理學科 敎授, 맛 칼럼니스트 等 15名 程度로 꾸려진다. 3, 4名씩 組를 짜서 착한 食堂 候補群에 오른 食堂에 ‘暗行取材’를 나간다.

製作陣은 食堂 雰圍氣와 테이블에 놓인 飮食 狀態, 飮食의 맛까지 꼼꼼하게 챙긴다. 겉으로 쉽게 드러나지 않는 飮食 材料의 狀態까지 체크하지만 方法은 具體的으로 밝힐 수 없다는 것이 製作陣의 說明이다. 飮食을 먹기보다는 이리저리 두리번거리느라 食事를 제대로 못할 地境이다.

暗行取材 뒤 착한 食堂으로 選定되면 食堂 主人에게 取材 要請을 한다. 그제야 製作陣을 알아본 主人들은 이렇게 말하곤 한다. “모자란 七뜨기가 앉은 줄 알았네. 밥 먹는 데 神經 안 쓰고 이리저리 쳐다보기만 하니까.”

○ 檢證團의 葛藤


깐깐한 檢證團員들은 意見一致를 보지 못할 때가 많다. 純粹한 콩만 쓴다는 콩국수 食堂을 찾았을 땐 한 團員이 “콩만으로 이렇게 고소한 맛을 낼 수 없다. 콩가루가 들어간 것 아니냐”는 疑惑을 提起했다. 主人은 結局 카메라 없이 檢證團만 廚房에 들어가는 條件으로 祕密 調理法을 公開했다. 疑惑을 提起했던 檢證院은 廚房을 꼼꼼히 살피고서야 착한 食堂으로 認定했다.

착한 饅頭 食堂을 選定할 땐 “饅頭의 부피를 늘리려고 唐麵을 넣은 것 같다”는 意見이 나와 1次 合意에 失敗하고 2次 檢證團의 깐깐한 實査 後 착한 食堂이라는 決定을 내리기도 했다.

製作陣은 착한 食堂 主人들과 繼續 連絡을 주고받는다. “장사 잘되십니까”라고 묻거나 “初心을 잃지 마세요. 늘 한결같이 해주셔야 됩니다”라고 當付하기도 한다.

착한 食堂 코너를 꾸려온 김군래 PD는 “착한 食堂이라는 이름에 부끄럽지 않게 熱心히 하고 있다는 主人의 電話를 받을 때 가장 보람을 느낀다”며 “調味料를 쓰지 않고 좋은 材料로 정성스레 飮食을 만드는 착한 食堂 主人이 富者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채널A 映像] ‘調味料 冷麵’ 衝擊 그 後…착한 食堂 終結者는?

[채널A 映像] 調味料 국물에 不良 海産物? 짬뽕의 祕密을 밝히다


전주영 記者 aimhigh@donga.com
#채널A #먹거리 X파일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