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글 세로쓰기, 未來自動車에서 되살린다|동아일보

한글 세로쓰기, 未來自動車에서 되살린다

  • Array
  • 入力 2012年 12月 5日 03時 00分


코멘트

■ ‘콘셉트카 디자인 硏究’ 起亞車 석상호 硏究員

석상호 기아차 선행디자인팀 연구원이 세로쓰기를 접목한 사용자환경 화면을 설명하고 있다.(오른쪽 사진) 세로쓰기가 적용된 차량 
센터페시아 화면은 내비게이션을 비롯해 실내외 온도와 음향기기 정보 등이 한데 모여 있어 보기 편하다. 기아자동차 제공
석상호 起亞車 先行디자인팀 硏究院이 세로쓰기를 椄木한 使用者環境 畵面을 說明하고 있다.(오른쪽 寫眞) 세로쓰기가 適用된 車輛 센터페시아 畵面은 내비게이션을 비롯해 室內外 溫度와 音響機器 情報 等이 한데 모여 있어 보기 便하다. 起亞自動車 提供
起亞自動車 先行디자인팀은 짧게는 3∼4年, 길게는 10年 뒤 道路 위를 달릴 未來의 自動車를 그리는 일을 하는 곳이다. 空想科學映畫에나 나올 법한 콘셉트카를 만들기 위해 뒤돌아볼 새 없이 앞으로만 달릴 것 같은 이 部署에서 일하는 自動車 디자이너 석상호 硏究員(35)은 會社에서 한물간 것으로 置簿되는 ‘한글 세로쓰기’ 傳道師로 有名하다.

지난달 27日 서울 서초구 양재동 起亞車 事務室에서 만난 石 氏는 記者에게 自身의 태블릿PC로 세로쓰기와 가로쓰기가 混用된 畵面을 보여줬다. 여러 張의 寫眞과 아이콘, 活字를 섞어 잘 꾸민 인터넷 홈페이지 첫 畵面 같았다. 오랜만에 보는 세로쓰기 文章이었지만 읽는 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그는 “한글 母音(母音)의 劃은 水直星이 剛해 눈의 移動이 左右보다는 上下가 더 자연스럽기 때문”이라고 說明했다.

自動車 室內에 搭載될 수 있는 세로쓰기 畵面은 내비게이션의 走行 方向과 計器盤의 速度, 車輛 안팎의 溫度, 듣고 있는 音樂 題目 等 運轉者席 周圍로 흩어져 있던 情報가 畵面 한곳에 위아래로 정갈하게 모여 있어 한눈에 보기 便했다.

自動車 디자이너가 專攻과는 無關한 한글 세로쓰기 硏究를 하게 된 契機를 묻자 石 氏는 “未來의 自動車를 硏究하다 ‘세로形으로 디자인된 情報技術(IT) 機器에 어떻게 하면 글字를 效率的으로 담을 수 있을까’ 하는 苦悶에서 始作됐다”고 말했다.

石 氏는 訓民正音을 여러 次例 讀破하는 것을 始作으로 圖書館을 찾아 1990年代 세로쓰기 新聞을 들여다보며 舊習(舊習)으로 取扱받던 세로쓰기가 가진 디자인的 要素를 發見했다. 지난해 6月에는 韓國디자인學會에 ‘세로쓰기를 適用한 하이브리드 유저’라는 論文을 發表했다.

그는 “디지털 노마드 時代의 人類는 移動 中에도 끊임없이 情報를 얻으려 하는데 運轉을 하며 앞으로 移動하면서 左右, 지그재그로 읽어야 하는 가로쓰기는 傳達力이 떨어진다”고 說明했다. 또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처럼 透明 有機發光다이오드(OLED) 技術이 發達함에 따라 自動車 앞 琉璃에 各種 情報를 올릴 수 있다”며 “空間 活用度가 좋은 세로쓰기를 自動車産業에 應用할 餘地가 많다”고 했다. 石 氏는 세로쓰기 使用者 環境을 지난해 3月 特許出願했다.

勿論 세로쓰기가 가로쓰기보다 無條件 낫다고 主張하는 것은 아니다. 石 氏는 “스마트 機器는 얼마든지 가로로 눕힐 수 있지만 只今의 가로쓰기에서 세로쓰기를 適切하게 竝行한다면 注目度와 使用性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最近 서울 마포구 상수동의 한 갤러리에서 열린 展示會에 한글로 自動車 이미지를 形象化한 作品을 公開하기도 한 그는 앞으로 세로쓰기에 맞는 폰트를 開發하고 싶다는 目標를 세웠다. 石 氏는 “訓民正音을 再解釋해 물음標, 느낌標 같은 ‘물 건너온’ 文章記號들을 다시 디자인할 必要가 있다”고 말했다.

정효진 記者 wiseweb@donga.com
#起亞車 #한글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