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삶과 죽음은 한바탕 꿈… 짧은 잠 자고나면 죽음아, 넌 죽으리|동아일보

삶과 죽음은 한바탕 꿈… 짧은 잠 자고나면 죽음아, 넌 죽으리

  • 東亞日報
  • 入力 2024年 1月 11日 03時 00分


코멘트

[漢詩를 映畫로 읊다]<73>병에 對處하는 姿勢

영화 ‘위트’에서 비비언 교수(에마 톰프슨)는 존 던의 시처럼 위트로 병의 고통을 이겨내고자 한다. HBO필름 제공
映畫 ‘위트’에서 비비언 敎授(에마 톰프슨)는 존 던의 詩처럼 위트로 病의 苦痛을 이겨내고자 한다. HBO필름 提供
病이 肉身을 괴롭힐 때 우리는 나에게 왜 이런 病이 찾아왔을까를 苦悶하게 된다. 마이크 니컬스 監督의 ‘위트’(2001年)에서 에마 톰프슨이 演技한 主人公은 極甚한 苦痛 속에서도 위트를 잃지 않는다. 高麗時代 이규보(李奎報·1168∼1241)도 甁에 對處하는 姿勢를 다음과 같이 才致 있게 表現한 바 있다.

詩人은 平生 소갈병, 惡性 腫氣, 手顫症 等 수많은 病에 시달렸다. 머리에서 발끝까지 아프지 않은 곳이 없던 셈인데 特히 눈病이 그를 끝까지 괴롭혔다(김용선 ‘生活人 이규보’). 數十 日 동안 苦痛이 가시지 않아 失明할까 걱정하기도 했다(‘痛左目累旬, 痛隙有作口吟’). 그럼에도 물에 떠내려가는 나무 허수아비 같은 肉體(史記 ‘孟嘗君列傳’)가 병들어 苦痛받는다고 근심할 必要가 없다고 했다. 삶과 죽음이란 그저 한바탕 꿈일 뿐이고 病은 하늘이 고된 삶을 안타까이 여겨 쉴 機會를 주는 것이란 생각에서다. 鬪病 中에도 애써 스스로를 慰勞하려는 마음가짐을 엿볼 수 있다.

映畫는 퓰리처賞을 받은 마거릿 에드슨의 同名 戱曲을 原作으로 監督과 主演俳優가 함께 脚本을 썼다. 主人公 비비언은 英文學 敎授로 17世紀 英詩 專攻者다. 비비언은 卵巢癌 末期로 極甚한 苦痛에 허덕이면서도 존 던의 詩처럼 죽음 앞에서도 위트를 잃지 않으려 한다. 그리고 苦痛과 죽음에 對한 自身의 두려움을 억누를 수 있는 것은 親切과 共感뿐이란 事實을 깨닫는다.

비비언은 던이 죽음을 읊은 “죽음아 뽐내지 마라, (中略) 짧은 한잠 자고 나면, 우리는 永遠히 깨어나리./그리고 죽음은 더 以上 없으리, 죽음아, 너는 죽으리라”란 始球(‘거룩한 소네트’ 第10張)를 되새기며 죽음을 맞이한다. 詩人은 自身에게 찾아온 이 ‘특별한 苦痛’(非常痛)을 도리어 祝賀할 만하다고 말했다.

只今 이 瞬間에도 病으로 苦痛받고 있는 이들에게 옛 詩人의 말과 映畫 속 위트가 작은 慰勞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임준철 고려대 漢文學과 敎授


#삶과 죽음 #짧은 잠 #甁에 對處하는 姿勢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