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레리나 되고 싶었어요, 발레리노가 아닌”…드래그퀸이 된 ‘모어’의 20年|東亞日報

“발레리나 되고 싶었어요, 발레리노가 아닌”…드래그퀸이 된 ‘모어’의 20年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4月 27日 17時 29分


코멘트
그의 競技 楊州市 집으로 가는 길은 險難했다. ‘15-1番’ 45分 後 到着. ‘360番’ 55分 後 到着. 서울 地下鐵 3號線 지축역에서 그의 집 앞 停留場인 청암民俗博物館行 버스는 올 생각을 안했다. ‘버스 配車間隔이 길어서 좀 늦을 듯 합니다.’ 메시지를 보내자마자 電話벨이 울렸다. 携帶폰 너머 목소리는 어이가 없다는 듯 차분했다. ‘이게 무슨 일이에요…? 運轉해서 오는 거 아니었어요? 여길 大衆交通으로 오는 사람은 처음이에요!’ 그랬다. 梨泰院 클럽 트랜스의 看板스타인 20年 經歷의 드래그퀸 아티스트 某智旻 作家(44)의 집은 自動車를 타고 가야 하는 곳이었다. 버스의 配車間隔은 基本 30分이었다. 택시는 오지 않았다.

22년 경력의 드래그퀸 모지민 작가. 모지웅 제공.
22年 經歷의 드래그퀸 某智旻 作家. 모지웅 提供.


●“내 삶은 내가 選擇하지 않은 無期懲役 不幸이었다”
‘大衆交通 타고 오는 사람은 처음’이라며 啞然失色하던 그도 運轉免許가 없었다. 某 作家는 서울 아무 곳이나 찍어도 基本 한 時間 半, 往復 세 時間은 걸리는 거리를 오가며 스마트폰 메모 張에 글을 쓰기 始作했다. 그가 쓴 글의 草案 90% 以上은 스마트폰으로 作成됐다. 누드모델을 하러 韓國藝術綜合學校로 向하는 地下鐵 안에서, 드래그쇼를 위해 이태원으로 向하는 버스 안에서, 苦痛과 燦爛함이 交叉했던 삶의 조각들을 모은 에세이集 ‘털 난 물고기 모어’(銀杏나무)를 8日 펴냈다. 그는 ‘모어’(MORE), 또는 ‘모어(毛魚)라는 이름으로 活動한다. 19日 自宅에서 그를 만났다.

“제 말이 좀 느닷없잖아요. 아름답게 가다가 뜬금없는 表現이 나오고, 이 世上에 없는 單語들이 튀어나오기도 하고. 各 잡고 노트북 앞에 앉으면 글이 안 나온다고 할까요?”

은행나무 제공.
銀杏나무 提供.


그의 冊은 이렇게 始作된다. ’아빠, 난 발레리나가 되고 싶었어요. 발레리노가 아니라.‘ 男子의 몸에 발레리나를 꿈꿨던 그가 學校와 社會에서 받았던 差別, 陰地에 숨어 일하는 것이 싫어 性轉換 手術을 抛棄했던 20代 初盤의 아픔, 軍隊 免除를 받기 위해 ’省 主體性 障礙‘ 診斷을 받고 女性호르몬 注射를 맞아야 했던 至難한 戰爭들이 담겼다. 그는 태어나는 瞬間부터 ’一般‘이란 範疇에서 한참 벗어났던 自身의 삶을 이렇게 表現한다. ’某 氏 집안의 셋째는 애미의 뱃속에서부터 구더기를 씹어 먹고 恥部를 달고 世上에 기어 나왔다. 이것은 내가 選擇하지 않은 無期懲役 不幸이었다.‘

“어렸을 땐 호모새끼라 놀림 받았고, 中·高等學校에서는 每日 맞았어요. ’大學校는 다르겠지‘란 期待로 한국예술종합학교 舞踊院에 入學했는데 新入生 오리엔테이션에서 先輩가 ’女子인 척 하지 마라‘며 뺨을 때려서 제가 날라 갔어요. ’태어나고 싶어서 태어난 것도 아닌데 왜 이렇게 苦痛 받나‘ 싶었어요. 20代 初盤까지는 當然히 죽어야겠다고 생각했어요.”

어렸을 적 발레리나를 꿈꿨던 모지민 작가. Nikolai Ahn 제공.
어렸을 적 발레리나를 꿈꿨던 某智旻 作家. Nikolai Ahn 提供.


발레리나가 되고 싶었던 그는 드래그퀸이 됐다. 22살 되던 해인 2000年 처음 梨泰院 클럽 트랜스에 발을 들였다. 同性愛者였던 그는 드래그퀸이 되면서 少數者 中 少數者가 됐다. 專攻을 살려 발레리노가 될 수도 있었지만 그는 “鬼神이 제 머리 끄댕이를 잡고 梨泰院 클럽으로 데려갔다”고 回顧했다. 드래그쇼를 한 歲月은 그의 冊에 이렇게 한 文章으로 壓縮됐다. ’世上으로부터 嘲弄당하기 爲해 쥐구멍으로 들어간 20年의 歲月.‘

“드래그는 엄청나게 華麗하잖아요. 그렇게 꾸미기 위해 드레스와 하이힐, 가채, 掌匣, 옷핀, 실핀, 바늘 하나까지 다 챙겨야 하고, 氣分이 나빠도 웃어야 해요. 근데 變身의 假面이 주는 快感이 어마어마해요. 저는 아름다움에 對한 熱望이 있어요. 그게 너무 커서 죽지도 못하고 꾸역꾸역 이렇게 愛憎 덩어리인 드래그쇼를 繼續 하고 있네요.”

모지웅 제공.
모지웅 提供.


●’邊方에서 끼 떠느라 애쓴 사람‘, 모어
苦痛에 몸부림쳤던 날들에 對한 回顧는 逆說的이게도 日常의 平穩에 對해 無限한 感謝함을 느끼게 했다. 伴侶猫 모모와 나눈 對話가, 23年 째 함께한 男便에 對한 사랑이, 幼年時節부터 조금은 유별났던 自身의 곁을 지켜준 父母님을 向한 感謝함이. 그의 삶을 支撐하는 세 軸인 伴侶猫, 男便, 父母님을 向한 글들은 悽然하게 아름답다.

免許가 없는 男便을 向해 某 作家는 이렇게 썼다. ’꿈에라도 當身이 瞥眼間 부릉부릉 運轉해서 東海로 南海로 데려다주는 浪漫은 絶對 벌어지지 않겠지요. 그럼 어때요. 우리에겐 씩씩한 두 다리가 있는걸요. 우린 老人이 되어서도 팔짱 끼고 버스로 電鐵로 마실 나가요. 그 아름다운 映像이 눈앞에 펼쳐지네요.‘ “男便과 結婚했던 2017年 5月 24日이 제 人生에서 가장 아름다운 瞬間이었어요.

스스로의 삶을 ’褥瘡의 구더기‘라고 表現했던 그는 2019年 6月 뉴욕에서 열리는 스톤月 抗爭(1969年 美國에서 同性愛者 集團이 自身들의 權利를 主張하며 벌인 데모) 50周年 記念 公演에 招待됐다. 60年 傳統의 라 마마 實驗劇場에서 뮤지컬 ’13 fruitcakes‘ 舞臺에 서 登場人物 13名 中 한 名인 ’올란도‘를 延期했다. 日本 도쿄의 한 클럽 扮裝室에서 찍힌 그의 寫眞을 보고 某 作家에게 連絡한 이일하 監督은 2018年부터 3年間 그의 삶을 담아 다큐멘터리 ’모어‘(2021年)를 만들었다. 다큐는 지난해 DMZ 國際 다큐멘터리映畫祭와 釜山國際映畫祭에 招請됐고, 올해 6月 開封한다.

”’그 時間 안에 있어서 너무 感謝하다‘는 말을 요즘 많이 해요. 삶에는 그 時間帶마다 벌어지는 일이 있는 거 같아요. 그때 마다 避하지 않고 그 時間을 이 악물고 버티면 된다는 걸 마흔 다섯이 되고 깨달았어요.“

2019년 6월 스톤월 항쟁 50주년으로 초청받은 ’13 fruitcakes‘ 공연 직후. 영화 ’모어‘ 촬영 장면을 이탈리아 사진작가가 담았다. Davide Alessandro Toregrossa 제공
2019年 6月 스톤月 抗爭 50周年으로 招請받은 ’13 fruitcakes‘ 公演 直後. 映畫 ’모어‘ 撮影 場面을 이탈리아 寫眞作家가 담았다. Davide Alessandro Toregrossa 提供


그의 冊은 이렇게 끝난다. ’낮은 곳에서 힐을 신고/ 높은 곳에서 토슈즈를 신고/ 來日은 낮은 곳에서 當身을 만나고/ 來日은 높은 곳에서 某某를 만나고/ 그렇게 높고 낮은 곳에서/ 그렇게 있고 없고/ 헛헛하게 虛費해진 時間/악물고 버틴 이의 時間/ (中略) 무언가/ 그 時間에 相應하는 代價를 준다면/ 그 아래 서슴없이 무릎을 꿇을 것이다.‘

삶의 높고 낮음을 默默히 지나온 그는 試鍊 속에서도 飛上할 機會들 앞에 기꺼이 무릎을 꿇었다. 그는 죽어서 ’邊方에서 끼 떠느라 애쓴 사람‘으로 記憶되고 싶다.

”洞네 住民들에게 冊을 드렸어요. 60살이 넘은 아주머니가 오시더니 “언니라고 불러”라고 하시는 거예요. 저 같은 사람을 한 番이라도 보셨을까요? 제 性正體性과 제가 하는 藝術은 너무나 邊方에 있잖아요. 그래도 누군가는 이런 저를 알아봐주고 冊으로, 映畫로 내 주시는 게 神奇해요. 요즘은 그 邊方의 삶이 價値가 있고 아름다운 것 같아요.“


김재희 記者 jetti@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