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트남이야?” 現地人도 놀라는 國內의 異國的인 食堂들|東亞日報

“베트남이야?” 現地人도 놀라는 國內의 異國的인 食堂들

  • 東亞日報
  • 入力 2020年 11月 24日 15時 35分


코멘트
베트남 中部 다낭에서 南쪽으로 30km떨어진 港口都市 호이안은 유네스코 世界文化遺産으로 登載된 市街地의 노란色 傳統家屋으로 有名하다. 밤이 되면 商店마다 各樣各色의 燈불이 켜지며 華麗한 夜景이 펼쳐진다. “호이안은 江華島 같은 開港地라 프랑스 日本 等 海外의 影響을 가장 빨리, 直接的으로 받았어요. 옻漆한 나무 바닥은 호이안 傳統이지만 바닥 타일은 프랑스, 天障은 淸나라式이고 窓살은 日本風으로 混合돼 재미있죠.”

서울 麻浦區 延南洞의 베트남 食堂 ‘反美프엉’에서 김종범 社長은 호이안의 알록달록한 둥근 燈이 달린 異國的인 內部 인테리어를 說明했다. 그의 말대로 이곳은 ‘서울 안의 작은 호이안’이다. 3層 建物 안팎을 호이안 傳統家屋 形態 그대로를 본따 만든 德에 人力車가 놓인 建物 앞에 서는 瞬間 마치 호이안 舊都心 한복판으로 空間 移動한 것 같다. 지난해 5月 門을 연 以後 서울 居住 베트남人 사이에선 引證寫眞을 찍고 “베트남에 돌아왔다”고 올리면 現地 知人들까지 속는다며 입所聞이 났다고 한다.

코로나19로 인해 海外旅行이 힘들어졌지만 맛뿐만 아니라 雰圍氣까지 充實하게 現地 式으로 再現한 異國的인 食堂에서라면 얼마든지 旅行氣分을 滿喫할 수 있다. 反美프엉은 베트남 ‘3代 反美(베트남式 샌드위치)집’으로 꼽히는 호이안의 反美프엉에서 直接 레시피를 傳受받았다. 2年餘의 說得 끝에 프엉 社長이 直接 와서 삭힌 頭部, 샬롯(베트남 洋파) 같이 韓國에서 求하기 어려운 食材料의 對體制를 찾아줬다.

프랑스 植民 支配時節 影響으로 바게트에 現地 食材料를 채워 넣어 만드는 反美는 쌀가루가 들어가서 바삭바삭한 빵이 核心. 每日 쓸 빵을 直接 굽는다. 地域에 따라 反美 맛이 다른데 中部地方은 매콤해서 韓國人 입맛에 잘 맞는다. 겉은 바삭하지만 부드럽고 쫀득한 빵에 八角, 淸香, 카다몬 等 異國的 香에 매콤한 칠리소스가 어우러진 한 입을 베어 물면 긴 旅行의 한 끼처럼 느껴진다.

하와이 飮食店, 필리핀 디저트 가게 等이 櫛比한 芒履단길(서울 重浪國 망원동)의 ‘라오삐약’은 國內에선 보기 드문 라오스 飮食 專門店이다. 라오스 글字 看板에 통窓(窓)으로 內部가 훤히 보이는 構造에서부터 예사롭지 않은 現地 雰圍氣를 낸다. 內部는 라탄 실링팬(ceiling pan)과 傳統 等으로 꾸며져 있다.

“라오스는 地理的으로 西쪽에 泰國, 東쪽에 베트남이 있다보니 飮食이 完全히 다르진 않아요. 하지만 一般的으로 아는 쌀국수와 달리 우동과 쫄麵 사이의 食感을 가진 ‘까誤삐약’(닭쌀국수)처럼 라오스만의 特色 있는 飮食도 많습니다.”

大學 同門인 정효열 氏와 함께 食堂을 하는 원성훈 氏는 “쌀가루로 每日 直接 라오스 式 쌀국수面을 만든다”고 말했다. 라오스 飮食은 固守 바질 민트 레몬그라스 等 香神채를 많이 넣어 허브香이 剛하고 메콩江을 낀 內陸地方이다 보니 민물고기를 담근 젓갈도 많이 쓴다. 라오삐약에서도 이런 材料를 積極 活用한다. 旅行 갔다 라오스 飮食에 反해 한 달씩, 6個月에 걸쳐 現地의 맛있는 집을 다 찾아 다녔고, 라오스 느낌을 살리기 위해 오픈 廚房에 食器類와 照明 모두 現地에서 空輸했다.

固守를 듬뿍 넣은 까오쏘이(돼지고기 쌀국수)는 매콤하면서 감칠맛을 내는 국수다. 아이스티에 緣由와 泰國에서 濃縮한 牛乳로 製造한 달달한 라오스 式 아이스티와 찰떡宮合이다. 韓國에서 求할 수 없는 食材料 때문에 肉水 等의 맛이 現地와 다른 部分은 셰프 出身인 라오스 大使의 夫人에게 傳受받아 업그레이드했다.


泰國飮食은 韓國에서 많이 大衆化했지만 이태원 ‘쏭타이’는 泰國의 有名 麥酒 ‘타이거’가 陳列된 테라스와 현지어로 製作된 大型 看板, 天然色 컬러에 自然親和的 植物까지 방콕 느낌을 물씬 풍긴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이태원의 작은 카烏山’이라고 불리지만, 방콕에 櫛比한 부티크호텔 레스토랑에 들어선 것 같은 氣分도 난다. 조근형 매니저는 “인테리어부터 飮食까지 主로 방콕의 質 높은 호텔 飮食을 參考로 했다”고 한다. 放送人 홍석천 氏가 運營한 ‘마이타이’ 等에서 함께 일한 이들이 獨立解 선보인 이곳은 大部分 메뉴를 비건(菜食主義者)式으로도 注文할 수 있다. 代表 메뉴는 ‘콩 蛋白’ 고기와 野菜類를 使用한 비건 팟타이, 豆乳와 植物性 材料로 만든 비건 마카롱. 世界 3大 珍味로 꼽히는 泰國飮食을 비건 式으로도 마음껏 즐길 수 있다.

박선희 記者 teller@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