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漢字 이야기] <1134>孟施舍는 似曾子하고…|동아일보 </1134>

[漢字 이야기] <1134>孟施舍는 似曾子하고…

  • Array
  • 入力 2011年 4月 19日 03時 00分


코멘트
孟子는 勇氣의 種類에 對해 說明하면서 北宮有(북궁유)와 孟施舍(맹시사)의 養勇(兩用·勇氣를 기름)을 例示했다. 이어 위와 같이 그 두 容器를 서로 比較하고 또 그들의 勇氣와 道義(道義)의 觀念을 基底에 둔 不動心을 比較했다.

북궁유는 남과 對敵(對敵)하기를 힘썼으나 맹시사는 自身을 지키기를 오로지 했다. 비록 두 사람이 勇氣를 기른 方式은 孔子 門下의 弟子들이 道義를 기른 方式과는 같지 않으나 孟子는 굳이 氣象(氣象)을 比較한다면 맹시사는 曾子(增資)와 類似하고 북궁유는 子夏(자하)와 類似하다고 했다. 走者(朱熹)에 따르면 增資는 自己 몸에 돌이켜 모든 行爲의 原因을 自己에게서 찾은 反面 子夏는 孔子를 篤實하게 믿었으므로 增資는 맹시사와 類似하고 子夏는 북궁유와 類似하다고 말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單, 本文의 子夏는 子路의 잘못이라고 보는 說도 있다.

未知其孰賢은 둘 가운데 그 어느 것이 나은지 모르겠다는 말이다. 여기서의 賢(現)은 나을 勝(승)과 같다. 守約(水藥)은 ‘지킴이 要(요)를 얻었다’는 말이니 要나 約은 가장 緊要한 點이란 뜻으로 그 두 글字를 合하여 要約(要約)이라 한다. 近代 以後에는 大綱을 簡略하게 整理한 것을 要約이라 하게 되었다.

북궁유는 自身에 對한 惡聲(惡性·險談)李 이르러 오면 반드시 報復을 해서 相對가 諸侯라 해도 두려워하지 않았다. 맹시사는 이기지 못할 狀況을 보더라도 이길 것 같이 여겨 어느 狀況이든 敵을 두려워하지 않고 敵과 싸웠다. 두 사람이 勇氣를 기른 것은 氣象의 面에서는 자하나 增資에 비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道義의 觀念을 바탕에 두지 않았다는 點에서 두 사람은 決코 자하나 增資에 비할 수가 없다.

심경호 고려대 漢文學과 敎授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