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人文社會]性과 出産, 別個인가 하나인가|동아일보

[人文社會]性과 出産, 別個인가 하나인가

  • 入力 2009年 1月 31日 02時 59分


◇ 性의 歷史와 아이를 가지고 싶은 欲望/피에르 주아네外 지음·김성희 옮김/198쪽·1만2000원·알마

性生活을 통해 아이를 갖고, 出産하고, 血統을 잇는 것이 傳統的인 家族 槪念이다. 科學技術의 發達로 性關係가 아니더라도 人工受精이나 試驗管 修正, ‘卵子 내 亭子 注入術(ICSI)’ 等을 통해 妊娠이 可能해진 狀況은 이런 槪念을 흔들고 있다.

이 冊은 2002∼2003年 프랑스의 ‘콜레주 드 라 시테’라는 市民講座에서 科學技術 時代의 性(性)과 出産, 血統을 主題로 프랑스 學者 14名이 發表한 글을 冊으로 엮은 것이다.

조르주 다비드 國立醫學아카데미 名譽敎授는 ‘社會的 意志와 醫學的 能力 사이’라는 글에서 出産을 둘러싸고 社會와 醫學技術이 對立해온 歷史를 照明한다.

18世紀 末 人工受精을 다룬 論文이 처음 發表되고 이어 19世紀 後續 論文들이 나왔지만 프랑스에서 精子 寄贈에 依한 出産이 合法이 된 것은 1970年代 들어서였다. 거의 200年 동안 人工受精 出産은 結婚과 家族, 社會 基礎를 毁損시킨다는 批判 속에 不法의 그늘에 있었다.

男性不妊의 境遇도 醫學的으로는 그리스 때부터 硏究됐지만 社會는 不妊의 責任을 女性에게만 지우다가 20世紀에야 男性不妊을 認定했다.

歷史學者 앙드레 뷔르기에르 社會과학고等硏究院 敎授는 ‘오래前부터 妨害받아온 自然 秩序’라는 글에서 性生活과 出産의 分離는 새삼스럽지 않다고 말한다. 그리스 로마 때부터 사랑과 快樂을 追求하는 것과 出産을 別個로 여겼다는 것이다.

性生活과 出産을 한데 묶기 始作한 것은 基督敎가 出現하고 確立되면서부터였다고 한다. 유럽의 境遇 16, 17世紀 基督敎 社會가 되면서 婚外情事 및 妊娠과 無關한 性行爲, 動物의 交尾를 연상시킬 수 있는 體位를 禁止했다는 것.

生殖生物學者 피에르 주아네 파리5大學 敎授는 出産과 關聯한 倫理를 話頭로 삼았다.

주아네 敎授는 父母 中 어느 한쪽에게 없거나 問題가 있는 遺傳子를 제3자로부터 寄贈받아 아이가 태어날 境遇 寄贈者와 아이의 關係에 對한 定義가 必要하다는 點을 提起했다. 그는 또 生殖細胞(程子나 卵子)와 冷凍 胚芽를 利用할 境遇 그 細胞와 胚芽의 主人이 死亡한 뒤 子女가 태어나는 ‘事後 出産’의 倫理性에 對해 社會的 合意가 必要하다고 指摘했다.

哲學者 미셸라 마르자노 氏는 ‘아이를 願하는 欲望’을 “未來의 父母가 自身들의 熱情을 받아주고 그것을 投射하며 그들의 缺乏을 채워줄 수 있는 客體로 아이를 認識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現在까지 이어지고 있는 ‘콜레주 드 라 시테’는 2003年부터 冊으로 出刊되기 始作해 프랑스에서는 38卷까지 나왔다. 國內에는 이 冊을 包含해 3卷이 飜譯됐다.

黃長石 記者 surono@donga.com

▶ 東亞닷컴 主要記事

▶ 李大統領 “김석기 內定 撤回할 때 아니다”

▶ “한잔하자” “車 태워주겠다” 誘引… 軍浦殺害犯, 닷새에 한名꼴 殺害

▶ ‘總長 兼 學生’… 醫學博士 딴 지 36年만에 學生 體驗

▶ 月曜日 脊椎患者 많은 理由… 週末 □□로 ‘삐걱’

▶ 東亞닷컴 人氣畫報

[畫報]英國 海軍 1兆9000億 원짜리 스텔스 驅逐艦 ‘HMS 데語링’

[畫報]日本 訪問한 幻想의 커플 ‘졸리-피트’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