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漢字 이야기] <589>里仁爲美니 擇不處仁이면 焉得知리오|東亞日報 </589>

[漢字 이야기] <589>里仁爲美니 擇不處仁이면 焉得知리오

  • 入力 2009年 1月 12日 02時 58分


‘論語’ 里仁(異人)篇의 첫 章(場)이다. 첫 句節 里仁爲美(異人位米)는 두 가지로 풀이할 수 있다. 近代 以前의 思想界에 影響力이 있었던 朱子(走者) 卽 朱熹(朱熹)는 里(里)를 마을로 보았다. 그에 따르면 이 句節은 “마을은 御眞 곳이 좋다”는 뜻이 된다. 하지만 그보다 앞서 孟子(孟子)는 里를 處한다는 뜻의 動詞로 보았다. 茶山 丁若鏞은 이 說에 따랐다. 그렇다면 이 句節은 “人에 處하는 것이 훌륭하다”로 풀이되고 “人을 行動의 根據로 삼는다”는 뜻이 된다. 爲(위)는 쓰임이 複雜한 글字이다. 여기서는 ‘∼이다’라는 繫辭(癸巳)로 쓰였다.

擇(擇)은 選擇(選擇)한다는 뜻이다. 燐에 맞는 行動을 할까 말까 고르는 일을 말한다. 處(妻)는 處한다는 뜻이니 處仁이란 ‘人의 立場에 있음’을 말한다. 焉(언)은 글 끝에서 終結의 機能을 하지만 글 처음에 오면 疑問의 機能을 한다. 焉得(言得)은 ‘어찌 ∼日 수 있을까?’라는 뜻으로, ‘∼日 수 없다’는 뜻의 反語(反語)이다. 知(知)는 智(知)와 通用되며, 知慧(智慧)를 말한다.

朝鮮 後期의 李重煥(理中丸)은 擇里志(擇里志)를 엮으면서 題目을 여기서 따왔다. 이 冊은 朝鮮의 人文地理書로서 價値가 있지만 里仁을 “마을은 御眞 곳이 좋다”로 보아 地域差別의 結果를 가져왔다. 孟子가 “仁은 사람의 安宅(安宅)이다”라고 定義해서 “人에 處하는 것이 훌륭하다”로 본 것이 더 좋다.

孔子는 이미 “君子가 산다면 어찌 陋醜함이 있겠는가?”라고 했다. 丁若鏞도 “萬一 어진 사람들이 사는 마을을 골라서 산다면 이것은 自身을 꾸짖기에 앞서 남을 먼저 꾸짖음이 되므로 가르침일 수가 없다”고 했다. 이 張을 誤解해서 地域差別을 合理化한다면 孔子에게 未安한 일이다.

심경호 고려대 漢文學과 敎授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