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疏外된 이웃을 위하여 20線] <4>혼자만 잘살믄 무슨 재민겨|동아일보 </4>

[疏外된 이웃을 위하여 20線] <4>혼자만 잘살믄 무슨 재민겨

  • 入力 2008年 12月 15日 03時 01分


◇ 혼자만 잘살믄 무슨 재민겨/전우익 지음/현암사

《“해마다 落葉을 보며, 또 嚴冬에 까맣게 言 솔잎을 보며 느끼는 일입니다. 참삶이란 不斷히 버리고 끝끝내 지키는 일의 統一처럼 느껴집니다. 新陳代謝가 順調롭게 이뤄져야 生命의 運行이 제대로 이뤄지는 理致와 같습니다. 가을의 落葉에서는 버림, 淸算을 決行하고 겨울의 얼어붙은 솔잎에서는 ‘極限의 逆境에서도 끝내 지켜야 할 것은 지키라는 것을 온몸으로 가르침을 배운다’고 여기면서도 그게 쉽지 않고 버리기도 지키기도 힘들다는 點만을 알 따름입니다.”》

農事꾼이 收穫한 삶의 智慧

日帝强占期 京城帝國對를 中退한 著者는 故鄕인 慶北 奉化郡으로 落鄕한 뒤 2004年 世上을 뜰 때까지 平生 農事꾼으로 살았다. 그는 知人들에게 틈틈이 便紙를 썼다. 安否를 묻는 單純한 便紙가 아니었다. 農村의 哀歡, 勞動에 對한 생각, 農事를 통해 攄得한 自然의 理致, 그 理致를 土臺로 본 世上事에 對한 생각을 虛心坦懷하게 털어놨다. 이 冊은 마치 哲學者의 冥想錄과도 같은 그의 便紙를 모은 冊이다.

그의 눈에 비친 農民의 삶은 自然의 調和에 順應하는 삶이다.

“갈아엎은 땅에 骨 짓고 網 지어 씨 뿌려 싹트면 매어 가꿉니다. 이 過程에서 農民들은 穀食과 一心同體가 됩니다. 가뭄 타면 안타까워하고 병들면 울고 싶고, 싱싱하게 자라면 힘이 솟습니다. 그러면 農民들은 農事에 熱中하게 되어 더위도 잊고 비지땀 흘리며 일에 沒頭합니다. 때때로 農資金 모자라 빚도 지고, 虛飢도 지고, 農藥 치다 病을 얻기도 하지만, 生産 過程에서는 나름대로의 재미와 보람을 느낍니다.”

秋收한 穀食을 제값에 팔지 못해 속상할 때도 많지만 “一律的이지 않기 때문에 農事는 재미있는 일”이라고 그는 말한다. 그는 勞動이 苦役스러운 일이 돼선 안 되며 精神勞動과 肉體勞動이 어우러져야 한다고 말한다.

“가장 理想的인 것은 亦是 耕讀(耕讀)의 一體化라고 여겨요. 참된 警(耕)은 毒(讀)을 必要로 하며 毒(讀)도 警(耕)을 通해서 深化되고 제구실도 할 수 있겠지요.”

그는 自然의 理致에서 世上事의 智慧를 찾아낸다. 初겨울 쇠粥을 쑤려고 캔 쑥에 단단한 뿌리가 달려 있는 모습에서 自然의 生命力을 確認하고, 季節의 리듬을 타고 자연스럽게 자라는 나무를 보면서 억지와 競爭이 亂舞하는 人間 社會의 고달픈 모습을 안타까워한다.

그는 씨앗에서 얻은 敎訓을 아는 스님에게 털어놓는다.

“씨의 共通點은 작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묻기 쉬우며 땅에도 別 負擔感을 주지 않습니다. 스님, 宗敎 敎理와 民族 解放, 人間 解放이란 理論도 무슨 씨 비슷한 데가 있지 않습니까. 그 씨를 사람들의 마음속에 심을 때 심어졌는지도 모르게 심어 그 사람이 씨를 싹틔워 키우고, 꽃피워 열매 맺게 한다고 느끼곤 합니다. 그러한 것이 眞짜 같은데, 요사이 論議들은 큰 나무를 옮겨 심는 것처럼 어마어마하게 커서 가슴에 심기보다는 짊어지고 다녀야 할 판입니다.”

“그 무슨 民主主義란 看板을 건 團體에 들어가기만 하면 今方 完全無缺한 民主主義者가 된 것같이 여기는 것이 우리 實情 같다”며 流行을 좇아 흉내만 낼 뿐 알맹이는 不足한 世上을 꼬집기도 한다.

그는 투박한 사투리로 어울려 사는 삶을 强調한다.

“혼자만 잘 살믄 別 재미가 없습니다. 뭐든 여럿이 노나 갖고 모자란 곳을 두루 살피면서 채워 주는 것, 그게 재미난 삶 아니껴.”

금동근 記者 gold@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