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韓國 遺物 300餘 點 제자리 찾아 흐뭇”|東亞日報

“韓國 遺物 300餘 點 제자리 찾아 흐뭇”

  • 入力 2008年 8月 26日 03時 04分


일본인 아메미야 히로스케 씨(76·오른쪽에서 두 번째)가 25일 일제강점기 부친이 국내에서 수집한 마제석검, 청자, 청동거울 등 300여 점의 유물을 충남도에 기증했다. 아메미야 씨는 부친이 충남 공주 우체국에서 근무하던 시절 공주에서 태어났다. 대전=연합뉴스
日本人 아메미야 히로스케 氏(76·오른쪽에서 두 番째)가 25日 日帝强占期 父親이 國內에서 蒐集한 馬蹄石檢, 靑瓷, 靑銅거울 等 300餘 點의 遺物을 충남도에 寄贈했다. 아메미야 氏는 父親이 忠南 公州 郵遞局에서 勤務하던 時節 公州에서 태어났다. 大戰=聯合뉴스
公州서 어린시절 보낸 日 아메미야 氏 충남도에 寄贈

忠南 公州에서 어린 時節을 보낸 한 日本人이 自身이 所藏해온 韓國 遺物 300餘 點을 충남도에 寄贈했다.

日本 요코하마(橫濱) 市에 살고 있는 아메미야 히로스케(雨宮宏輔·76) 氏는 25日 忠南道廳을 訪問해 李完九 忠南知事에게 68種 328點의 遺物 寄贈書를 傳達했다.

公州에서 살았거나 公州에 學緣이 있는 日本人들의 모임인 ‘公主會(公州會)’ 會長인 그는 公州에서 태어나 尋常小學校(現 鳳凰初等學校)를 卒業한 뒤 公州中學校 1學年 때인 1945年 日本이 太平洋戰爭에서 敗亡하자 父親을 따라 歸國했다.

아메미야 氏가 寄贈한 遺物은 靑銅器時代 馬蹄石檢과 高麗時代 靑銅거울 및 靑瓷待接, 粉靑沙器 접시, 朝鮮時代 白瓷沙鉢, 벼루, 옻漆바가지, 大韓帝國과 日帝强占期 等의 郵票 等 여러 時代에 걸쳐 網羅돼 있다.

이 遺物은 公州에서 事業을 했던 그의 父親 아메미야 다다마사(雨宮忠正) 氏가 趣味로 모은 骨董品들 가운데 光復 直後 混亂期에 도난당하고 남은 것들이다.

忠南道歷史文化院 關係者는 “遺物에 對해 아직 專門家의 精密 鑑定은 받지 않았지만 陰刻으로 새와 꽃 文樣을 새긴 翡色의 ‘靑瓷待接’, 안과 밖에 點閱무늬를 精巧하게 새긴 印花紋의 ‘粉靑沙器’는 文化財的 價値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公州 錦江을 素材로 한 葉書에는 1910年 금강에 假設된 섶다리 寫眞이 생생하게 담겨 있어 當時 橋梁 形態를 살펴볼 수 있는 貴重한 資料로 評價되고 있다. 高麗時代 무덤에 副葬品으로 埋葬됐던 그릇 25點은 當時의 賣場 風習을 엿볼 수 있는 遺物이다.

아메미야 氏는 2006年 6月 日本 社가(佐賀) 現 가라쓰(唐津) 市에서 열린 ‘武寧王 誕生 記念碑 除幕式’에 參席한 公主의 武寧王네트워크協議會와 公州鄕土文化硏究會 等 市民團體들이 遺物 返還運動을 벌이고 있다는 消息을 듣고 寄贈을 決心했다.

그는 遺物을 寄贈한 뒤 “이제야 遺物이 제자리를 찾은 것 같아 마음이 흐뭇하다”며 “많은 사람이 이 遺物을 보고 즐겼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李完九 知事는 “貴重한 文化財를 충남도에 寄贈한 아메미야 氏에게 眞心으로 感謝드린다”며 “百濟文化財團을 設立해 民間 次元의 ‘百濟 遺物 返還 保存 運動’을 持續的으로 벌여나갈 方針인데 이番 遺物 寄贈이 그 물꼬를 텄다”고 말했다.

大戰=지명훈 記者 mhje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