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世界 속 한글? 우물 안 한글!”|東亞日報

“世界 속 한글? 우물 안 한글!”

  • 入力 2008年 8月 18日 02時 55分


韓國語學會 國際學術大會 ‘盲目的 自負心’ 批判 목소리

《“外國의 著名 學者들이 한글의 優秀性을 認定하고 있다 하니 國民 大部分이 自慢과 錯覺에 빠져 있는 듯하다. 마치 오늘의 한글이 世界에서 가장 完璧하고 아름다운 글字인 것처럼 들린다.”(한재준 서울여대 敎授)

“英語 알파벳은 오랜 期間 여러 나라에서 使用돼 온 德分에 2萬 個가 넘는 글꼴을 갖고 있으나 한글 글꼴은 몇千 個에 이르지 못하며 그나마 글꼴의 管理와 流通이 잘되지 않아 제대로 活用하지 못하고 있다.”(홍종선 高麗大 敎授)》

代表的 글꼴 大部分 外國서 들여와

政府次元 支援할 專擔部署度 없어

16日 고려대에서 開幕한 韓國語學會 第2次 學術大會에서 ‘한글의 優秀性을 强調하는 것은 좋으나 盲目的 自負心을 갖는 것은 곤란하다’는 指摘이 反復해서 提起됐다. 18日까지 繼續되는 이番 學術大會의 主題는 ‘한글’. 6個國 500餘 名의 學者가 ‘한글의 글꼴과 디자인’ ‘한글과 世界化’ 等을 討論한다.

○ 文化的 正體性 살릴 글꼴 開發 時急

석금호 산돌커뮤니케이션 代表는 外國에서 輸入된 ‘明朝體’와 ‘굴림體’가 오늘날 한글의 代表的 書體로 活用되는 現實을 指摘했다.

석 代表는 “淸나라에서 輸入한 明朝體가 한글 印刷活字의 主流로 자리 잡으면서 한글 初期의 幾何學的 디자인은 자취를 감추게 됐다”며 “現在 많이 쓰고 있는 ‘굴림體’도 나카무라 유키히로라는 日本 디자이너가 1950年代 開發한 ‘나淚涕’의 한글版으로, 마이크로소프트(MS) 윈도에 基本으로 탑재되면서 擴散됐다”고 說明했다. 석 代表는 “李 같은 問題點을 認識하고 한글의 文化的 正體性을 살린 글字꼴들을 開發하는 것이 時急하다”고 强調했다.

한재준 敎授는 ‘未來 한글을 생각함’이라는 發表에서 “한글의 世界化를 외치고는 있으나 한글 振興에 對한 政策이나 支援 事業은 아예 없다”고 指摘했다. 政府에 한글을 專擔하는 擔當者나 部署 하나 없다는 것이다.

그는 “國語와 한글의 發展을 위해 制定했다는 ‘國語基本法’에서조차 한글 振興에 對한 內容은 한 句節도 없으니 ‘한글振興特別法’이라도 마련해야 할 판”이라면서 한글의 當面한 問題로 △‘말’인지 ‘글字’인지 槪念이 婚材돼 있는 實體의 模糊함 △글字에 對한 硏究 不足 △統合되지 않은 한글 活字꼴 體系 等을 들었다.

홍종선 敎授는 “文化部는 1991年 ‘한글書體開發委員會’를 構成해 ‘한글 글字本 制定 基準’을 만들고 文化바탕體 等 글꼴 開發을 몇 年間 主導하다 中斷했다”면서 “한글이 文字로서 갖는 優秀性이나 短點에 對해선 앞으로도 持續的으로 硏究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番 學術大會에 參加한 外國 學者 中에서는 한글의 優秀性과 獨自性을 높이 評價한 이도 많았다.

○ 中學者 “精密하고 막힘없는 글字”

리더춘(李得春) 中國 연변대 敎授는 한글을 “簡單하고도 要領이 있고 精密하고도 막힘이 없는 글字”라고 評價했다. 中國에서 한글을 배우는 사람이 늘고 있는 것은 韓國의 位相이 높아진 點도 있지만 中國印度 쉽게 익힐 수 있는 이런 優秀性이 있기 때문이라고 强調했다.

그는 또 “朝鮮 學者들은 表音文字人 ‘訓民正音’으로 漢字의 중국음을 表記함으로써 中國人들이 못했던 일을 해냈다”면서 “한글은 어음 表記 없이 글字만 傳해오던 中國語 歷史에 마침標를 찍었다”고 評價했다.

라이너 度르멜 오스트리아 빈대 敎授도 오늘날 유럽의 한글 硏究 現況을 紹介하며 “한글은 韓國 文化 創作品 中 最高의 作品이라고 해도 過言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금동근 記者 gold@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