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本報 新春文藝 出身 女流8人, 小說集 「낯선…」출간|동아일보

本報 新春文藝 出身 女流8人, 小說集 「낯선…」출간

  • 入力 1999年 4月 20日 19時 48分


‘낯선 물 속 나의 그림자’(생각의나무). 그 물 속의 나를 發見하는 나 亦是 낯선 存在는 아닐까. 낯섦의 끝없는 連續. 그것이 삶이고 그것을 發見하는 것이 文學이다.

이 小說集을 낸 8名의 女流作家도 마찬가지다.

송우혜(52) 은희경(40) 송혜근(47) 전경린(37) 윤명제(48) 박자경(36) 한정희(49) 김지수(51).

이들에겐 共通點이 있다. 모두 나이 서른이 넘어 동아일보 新春文藝 中篇小說에 當選됐다는 點. ‘서른’과 ‘中篇’, 이 둘은 각별하다. 人生을 알고, 그 人生을 긴 呼吸으로 消化할 수 있다는 信賴를 주기 때문이다.

이番 作品集도 그렇다. 떠나간 男子와 只今의 男子 사이에서 現實을 바라보고 自身을 찾아나가는 內容을 담은 전경린의 標題作 ‘어느 낯선 물 속 나의 그림자’. 自身을 幽閉시킨 狀況에서 ‘삶이 곧 죽음’임을 體得해나가는 過程을 그린 박자경의 ‘저 까마귀 떼’.

運動圈 男便의 悲劇的 삶을 끌어안아야 하는 한 女人의 苦惱를 그린 은희경의 ‘멍’.

主로 主人公 女性과 그를 둘러싼 男性과의 不和(不和), 不條理한 世上과의 不和를 통해 삶의 眞實을 찾아가는 過程을 그린 小說들이다.

輕快한 터치로 그 過程을 描寫하지만 接近 方式은 사뭇 다르다. 실존적인 苦惱를 통하기도 하고 歷史를 통하기도 한다. 또는 城(性)을 통해 다가가기도 한다.

이들 8名은 한달에 한番씩 만난다. 만나서 늘 作家는 어떠해야 하고 女流作家는 또 어떠해야 하는지에 對해 討論한다.

그리곤 小說에 人生을 걸겠다고 마음먹었을 때, 그 때의 初心(初心)으로 돌아가자고 다짐한다.

“모임을 갖고 돌아갈 때면 내가 제대로 作家의 길을 가고 있는지 反省하게 된다”는 윤명제의 말처럼. 여기 실린 作品들 亦是 初心으로 孕胎한 것이라고 이들은 입을 모은다.

〈이광표記者〉kple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