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內容은 빤한데 가슴은 찡하네|주간동아

週刊東亞 970

..

內容은 빤한데 가슴은 찡하네

뮤지컬 ‘킹키부츠’

  • 구희언 週刊東亞 記者 hawkeye@donga.com

    入力 2015-01-05 11:35: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내용은 빤한데 가슴은 찡하네
    男子 俳優의 餘張은 이제 더는 새롭지 않다. 뮤지컬 市場에서는 ‘헤드윅’의 成功 以後 ‘라카地’ ‘프리실라’ 等 트랜스젠더나 드래그퀸(女裝男子)李 主人公인 作品이 續續 登場했다. 理由가 뭘까. 觀客 處地에서는 女性스러움을 演技하는 男子 俳優들과 그들이 신은 아찔한 하이힐, 華麗한 火葬, 破格的인 服裝을 구경하는 재미가 있다. 또한 十中八九 드래그퀸은 偏見에 사로잡힌 他人과 衝突하거나 남과 다른 自身에 對해 끊임없이 苦悶한다. 따라서 葛藤 構造를 만들기에도 수월하다. 男子 俳優가 드래그퀸을 演技하면 ‘破格’ ‘衝擊’이라는 修飾語를 붙여 弘報하기에도 좋으니 어찌 마다할 理由가 있겠는가. 短點은 그렇기 때문에 俳優가 演技를 잘 못하면 어설퍼지고, 자칫하면 빤한 이야기가 된다는 點이다.

    ‘廢業 危機에 놓인 구두 工場 社長 찰리가 드래그퀸 롤라에게 靈感을 얻어 누구도 試圖하지 않았던 드래그퀸 專用 슈즈 ‘킹키부츠’를 만들어 再起에 成功한다’는 이야기는 實話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1980年代 英國 노샘프턴, 周邊 工場이 줄줄이 亡해가던 中 男性의 몸무게를 支撐할 수 있는 鋼鐵 굽을 가진 하이힐을 開發해 再起에 成功한 스티브 팻맨의 이야기다. 여기에 親舊 사이 友情과 사랑, 남과 다르다는 것에 對한 偏見의 視線, 그걸 克服하는 過程…. 들으면 들을수록 빤해 보이지만 뮤지컬 ‘킹키부츠’는 愉快하고 華麗한 넘버에 主人公들의 成長 過程을 빤하지 않게 풀어내며 재미와 感動을 모두 잡았다.

    作品은 구두 工場長의 아들 찰리와 拳鬪選手의 아들이자 드래그퀸인 롤라가 드래그퀸 專用 부츠를 만들기 위해 孤軍奮鬪하는 過程을 그린다. 1980年代를 주름잡은 디바 신디 로퍼의 曲으로 構成된 作品으로, 들썩들썩한 댄스曲과 애잔한 발라드까지 調和롭게 녹아들어 즐기기에 無理가 없다. 롤라 役을 俳優 오만석과 강홍석이 完璧하게 消化해 “롤라 役은 누가 맡아도 좋다”는 評이 나온다.

    찰리(지현우, 김무열, 윤소호)와 롤라의 찰떡 呼吸에 6名의 드래그퀸 에인절의 群舞가 더해지면 ‘킹키부츠’의 華麗함이 完成된다. 케이블채널 Mnet ‘댄싱9’에 出演했던 舞踊手 한선천을 비롯한 6名의 男子 俳優는 10cm 높이의 하이힐 위에서 女性보다 더 女性스러운 에인절의 面貌를 보여준다. 구두 工場 벨트컨베이어 위에서 펼쳐지는 ‘함께 외쳐봐 YEAH’ 場面과 2幕의 華麗한 런웨이 場面에선 벌떡 일어서고 싶은 衝動이 든다.

    롤라 役의 오만석은 ‘킹키부츠’ 製作報告會에서 “헤드윅이 人生에 對한 哲學을 좀 더 깊이 풀어냈다면 롤라는 가볍게 드러낸다”며 “롤라가 오스카 와일드의 말(‘Be yourself’)를 引用하는데, 너 自身이 되고 너 自身을 있는 그대로 보여줘서 남이 받아들일 수 있게끔 率直해지라는 意味”라고 말했다. 이들의 旅程을 끝까지 따라가다 보면 어느 瞬間 治癒되는 氣分을 느낄 수 있다. 極 末尾에 롤라가 들려주는 幸福해지는 祕法 6가지도 놓치지 말자.



    2月 22日까지, 서울 中區 忠武아트홀 大劇場.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