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自然에 스민 潭陽 ‘最小限의 집’… 氣候危機 時代 ‘푸른 指針書’[김대균의 建築의 未來]|東亞日報

自然에 스민 潭陽 ‘最小限의 집’… 氣候危機 時代 ‘푸른 指針書’[김대균의 建築의 未來]

  • 東亞日報
  • 入力 2024年 5月 22日 22時 26分


코멘트

造景은 自然과 나의 相互 交感
瀟灑園-식영정-명옥헌 等 원림… 숲-溪谷 風景과 關係맺기에 傍點
別墅는 自然에 存在 숨기는 建築… 自然-人間 새 關係 設定에 示唆點

전남 담양의 환벽당 별서(別墅). 조선 명종 때(1540년대 추정) 김윤제가 후학 양성을 위해 지었다. 별서는 자연에 조용히 스며들어 존재가 드러나지 않는 최소한의 생활을 위한 건축이다. 김대균 건축가 제공
全南 潭陽의 환벽당 別墅(別墅). 朝鮮 明宗 때(1540年代 推定) 김윤제가 後學 養成을 위해 지었다. 別墅는 自然에 조용히 스며들어 存在가 드러나지 않는 最小限의 生活을 위한 建築이다. 김대균 建築家 提供
김대균 건축가·착착스튜디오 대표
김대균 建築家·着着스튜디오 代表
《潭陽 원림-別墅 建築의 造景

自然을 가까이하고 싶은 마음은 어디에서부터 오는 것일까? 心理學者 스티븐과 레이철 캐플런은 著書 ‘自然의 經驗’에서 自然을 보는 동안은 都市에 비해 애써 注意를 集中할 必要가 줄어들면서 한곳에 視線을 固定하는 時間이 짧아지고 눈瞳子가 이리저리 움직이는 것을 觀察하고, 結果的으로 神經系가 弛緩되어 集中力과 注意力이 回復된다는 것을 밝혔다. 이 外에도 植物을 보는 것만으로도 患者의 回復이 빨라지고, 나무가 많은 都市일수록 犯罪率이 낮은 等 自然이 주는 肯定的 效果에 對한 다양한 硏究들이 있다.》




社會生物學으로 有名한 에드워드 윌슨 敎授는 개미나 人間과 같은 社會性 生物들은 오랜 時間 동안 遺傳子와 生存하기 좋은 環境 사이의 相互作用을 통해 進化해 왔다고 밝혔다. 그는 人間이 가지고 있는 本能 中 生存을 위해 生命에 價値를 두는 타고난 傾向을 ‘生命사랑’(biophilia)이라고 定義했다. 卽, 人間이 自然에 끌리는 것은 몸에 새겨진 人間의 遺傳的 本能이다.

自然을 가까이하고픈 마음은 人間의 遺傳的 本能과 더불어 아이러니하게도 理性的인 文學과 藝術을 통해 더욱 堅固해졌다. 그리스 神話에서 牧畜의 神 ‘판’李 다스리는 牧者들의 땅인 ‘아르카디아’는 많은 西洋 繪畫의 素材가 되었으며, 西洋의 牧歌的 風景의 根源이다. ‘아르카디아’는 實際 그리스 펠로폰네소스半島 地域의 이름이기도 하지만, 古代 로마 時代 詩人 베르길리우스가 自然과 더불어 평화롭게 살아가는 牧者들의 理想鄕으로 描寫한 以後 유토피아의 象徵이 되었다. 西洋에서 잔디가 있는 마당이나 公園은 事實 ‘아르카디아’를 向한 로망의 表現이다. 東洋의 ‘武陵桃源’ 亦是 自然 속 安貧樂道를 노래한 田園詩의 始祖인 陶淵明의 ‘桃花源記’라는 이야기 속 場所다. 實際 中國 장자제(?家界)가 武陵桃源이라고도 하지만 유토피아는 人間이 永遠히 到達할 수 없는 理想鄕에 傍點이 있다. 東洋에서 自然은 宇宙이자 存在의 始作이고 無限이고 人間 回歸의 場所로, 自然을 닮고 싶은 마음은 수많은 山水畫와 詩의 素材가 되었다. 結局 造景은 自然에 對한 渴望과 理想鄕에 다가가려는 人間의 本能的인 試圖다.

우리가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造景’은 ‘卿(景)을 造成하는 것’이다. 하지만 ‘卿’이 무엇인지 물어보면 언뜻 떠오르는 것이 없다. 辭典에서 ‘卿’은 맑고 바른 方向과 趣旨를 가진 形式으로 定義한다. 조금 더 깊이 ‘卿’에 對해서 알아보면 警은 ‘妙(妙)’와 ‘晉(眞)’을 품고 있어야 ‘卿’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좋은 自然이나 陶瓷器, 그림, 音樂 等을 보고 듣는 瞬間, 時空間을 넘어선 妙한 審美的 感情이 일어나면서 生命力을 느끼고 交感한다. 여기서 時空間의 妙한 審美的 感情이 ‘妙(妙)’이고, 느껴지는 生命力이 ‘晉(眞)’이다. 內容을 整理하면 ‘卿’은 妙한 審美的 感性을 불러일으키면서 맑고 바른 生命力이 느껴지는 形象을 意味한다. 바람과 酸度, 빛과 그림자도, 소리와 沈默도 妙한 審美的 感性을 불러일으키면서 生命力이 느껴지기 때문에 ‘卿’이다. 이렇게 보면 造景은 植栽를 하고 庭園을 만드는 것을 넘어, 집에 바람을 들이고 햇빛을 들이는 것도 된다.

담양의 조선시대 원림(園林) 소쇄원. 원림은 주변의 산과 숲, 계곡 등 풍경과 ‘관계 맺기’에 방점이 있는 조경이다. 김대균 건축가 제공
潭陽의 朝鮮時代 원림(園林) 瀟灑園. 原林은 周邊의 山과 숲, 溪谷 等 風景과 ‘關係 맺기’에 傍點이 있는 造景이다. 김대균 建築家 提供
몇 해 前 뙤약볕과 소나기가 數次例 飜覆하는 여름날에 潭陽을 旅行한 적이 있다. 潭陽은 많은 朝鮮 時代 ‘원림(園林)’들이 只今도 生命을 담아 빛나고 있으며, 榮山江의 發源地가 있고 光州 無等山의 地勢가 이어지는 아름다운 땅이면서 逆說的으로 朝鮮 時代 流配의 場所이다. 蓮못 ‘담’에 볕 ‘量’을 쓰는 ‘潭陽’은 이름 그대로 蓮못 위 草綠으로 우거진 나무 그림자와 햇살을 담은 蓮못으로 記憶되는 都市다. 潭陽은 朝鮮 時代 代表 문학인 歌詞 文學의 先驅者 俛仰 ‘宋純’의 俛仰亭을 비롯해 觀稼亭, 식영정, 瀟灑園, 명옥헌 等 많은 原林과 別墅 建築들이 있다. 參考로 ‘定員’李 住宅과 같은 制限的인 場所 안에서 ‘造成’에 傍點이 있는 造景이라면, ‘원림’은 周邊의 山과 숲, 溪谷 等 風景의 ‘關係 맺기’에 傍點이 있는 造景이다. 原林에 있는 別墅 建築은 自然에 조용히 스며들어 存在가 드러나지 않는 最小限의 生活建築으로, 自然에서 自身의 存在를 통해 風景과 關係를 맺는 程子와는 槪念的으로 다르다.

‘市로 마을을 만든 곳이 어디 있을까?’라고 생각해보면 潭陽은 正말 偉大한 마을이다. 風景에서 詩가 나오고 다시 詩가 風景이 되는 삶은 想像만으로도 아름답다. 文學과 哲學이 造景과 建築이 되고, 이것이 다시 生活이 되는 潭陽의 原林과 別墅들은 自然과 人間의 새로운 關係 設定이 必要한 氣候危機 時代에 未來 文明을 위한 偉大한 指針書다.

造景은 自然 그 自體가 아니라 自然과 나의 마음 사이에 關係를 맺는 行爲이다. 아름다운 風景이 마음에 들어오면 詩와 노래가 절로 나온다. 우리가 집에 살면서 이런 幸福을 누릴 수 있을까? 집 花盆 하나도 精誠껏 보살피는 生命의 마음에서 詩와 노래는 마음으로부터 흘러나온다. 結局 造景은 내 周邊의 生命을 맑고 바르게 돕는 行爲를 통해 相互 交感하는 마음이다.


김대균 建築家·着着스튜디오 代表
#潭陽 #氣候危機 #푸른 指針書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