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北砲彈 1發도 NLL 안넘어 왔다더니…|동아일보

北砲彈 1發도 NLL 안넘어 왔다더니…

  • 東亞日報
  • 入力 2010年 8月 11日 03時 00分


코멘트

軍, 하루 만에 “北海岸砲 10餘發 넘어와” 말바꿔

軍 當局이 9日 北韓이 發射한 海岸砲 가운데 10餘 發이 西海 北方限界線(NLL)을 넘어온 것을 確認하고도 “넘어오지 않았다”고 發表했다가 하루 만에 飜覆했다. 天安艦 爆沈 事件 直後 初動 對應 過程에서 不必要한 事實隱蔽로 國民의 不信을 自招했던 軍이 또다시 ‘거짓말’ 惡習을 再演한 것이다.

合同參謀本部 김경식 作戰參謀部長(所長)은 北韓이 白翎島 隣近 NLL로부터 南쪽으로 1∼2km 地點에 10餘 發의 海岸砲를 쏜 뒤 1時間 程度 지난 9日 午後 6時 45分頃 國防部 記者室을 찾았다. 그는 ‘NLL을 넘어왔느냐’는 質問에 “안 넘어온 것으로 안다”고 斷定的으로 答辯했다. 以後 合參 公報室 關係者들도 한결같이 “絶對로 넘어오지 않았고 이것이 合參의 最終 公式 結論이다”라고 强調했다. 靑瓦臺 關係者도 NLL을 넘어왔다는 哨兵의 肉眼觀測 報告에 對해 “肉眼 觀測이라 얼마나 正確한지 알 수 없다”며 “報告받은 바에 따르면 레이더上에 NLL을 넘어온 것은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10日 午前 記者室을 다시 찾은 金 參謀部長은 “哨兵의 肉眼觀測과 現地 部隊 判斷을 綜合한 結果 10餘 發이 白翎島 北方 NLL을 넘어왔다”고 말을 바꿨다. 그러면서 “바다에서 肉眼으로 距離를 測定하는 게 不正確해 當時(어제)에는 NLL 隣近이라고만 發表했다”고 解明했다.

合參은 “숨기려 했던 것은 아니다”라고 解明했지만 軍 當局이 北韓에 對한 强勁對應이 不可避한 狀況을 避하기 위해 意圖的으로 眞實을 감추려 했던 것 아니냐는 觀測이 나오고 있다.

于先 1, 2發이 아니라 10發이 無慮 1km 以上 넘어온 것을 哨兵이 觀測했는데도 軍 當局이 哨兵의 誤側에 무게를 뒀다는 點은 常識的으로 理解하기 어렵다. 北韓軍의 NLL 侵犯을 警戒하는 것이 任務인 哨兵의 肉眼觀測은 相當히 正確한 觀測裝備를 使用해 이뤄진다. 또한 映像監視 裝備로도 어렵지 않게 海岸砲가 NLL을 넘어왔는지 確認할 수 있다는 게 軍 關係者들의 說明이다.

그리고 北韓의 海岸砲 發射가 始作된 直後 軍이 3次例 警告通信을 했다는 點도 軍이 海岸砲가 NLL을 넘어왔다는 事實을 이미 認知한 狀態였다는 推定을 可能케 한다. 警告通信은 通商 海岸砲가 NLL을 넘어올 때 取하는 後續 措置다.

合參에 따르면 當時 北韓은 먼저 白翎島 隣近 NLL 南쪽으로 10餘 發을 쏜 뒤 우리 軍이 이에 對해 한 次例 警告通信을 하자 白翎島 쪽으로는 더는 砲擊을 하지 않았다. 하지만 北韓은 그 時間에 이미 延坪島 쪽을 向해 100餘 發의 射擊을 ‘日帝打擊式(TOT)’으로 始作한 狀態였다. 이 가운데 1, 2發은 NLL을 넘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軍은 2次例 더 警告通信을 했다. TOT 方式은 海上에 特定地點을 設定하고 그 地點으로 數十에서 數百 發의 脯를 集中 射擊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對해 軍 關係者는 “警告通信은 海岸砲가 NLL 隣近까지 威脅할 境遇에도 한다”고 解明했다.

또 다른 軍 關係者는 “北韓이 海岸砲를 發射한 直後 現地 部隊에서는 NLL을 넘어왔다고 報告한 것으로 안다”면서 “하지만 靑瓦臺에서 不正確한 肉眼觀測 內容만으로 不必要한 緊張을 일으키지 말라는 趣旨의 言質이 있었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不必要한 緊張關係를 誘發하지 말라’는 靑瓦臺의 非公式 指針을 意識해 軍이 眞實을 外面하려 했다는 指摘이다.

박민혁 記者 mhpar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