薯童謠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薯童謠
薯童謠
發賣日 新羅 진평왕 (眞平王)
( 599年 移轉)
장르 童謠
作詞·作曲 百濟 武王 (武王)

薯童謠 (薯童謠)는 新羅 진평왕 (眞平王) 臺( 599年 以前)에 이루어진 童謠, 或은 讖謠(時代的 狀況이나 政治的 徵候 따위를 暗示하는 民謠)이다. 이는 百濟 武王 (武王)李 少年 時節에 지어 아이들에게 널리 부르게 했다고 알려져 있다. 薯童( 武王 兒名 )이라는 個人의 陰謀로 當時 兒童들에게 불린 童謠이기는 하나, 全代에 그러한 形式의 民謠가 널리 불려 이것이 4具體의 鄕歌로 定着된 것으로 推測된다. 따라서 薯童謠는 鄕歌 中의 가장 오랜 形態로 그 形式은 4句體로 알려져 있다. 高麗 時代의 僧侶 一然 이 著述한 《 三國遺事 》에 收錄되어 있다.

‘薯童’은 緖餘(薯?, 마)를 비롯한 山藥과 山나물을 캐어 生活을 이어가던 少年의 무리를 指稱하던 普通名詞로서 初動(樵童)·木洞(牧童) 等과 같은 種類의 集合名稱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薯童謠」는 薯童들에 얽힌 이야기, 그 속에 들어 있는 하나의 노래로 傳承된 것이라 하겠다. 卽, 「薯童謠」는 薯童들의 노래로서 具體的인 作者를 찾을 수 없는 共同으로 製作되어 傳承된 民謠的 性格을 띠고 있다. [1]

줄거리 [ 編輯 ]

百濟 武王의 이름은 腸(璋). 일찍이 어머니가 寡婦가 되어 서울( 徐羅伐 ) 南쪽 蓮못가에 집을 짓고 살던 中 그 蓮못의 龍(龍)과 情을 맺어 그를 낳았다. 兒名(兒名)은 薯童(薯童). 그 度量이 非常하고 恒常 緖餘( )를 캐어 팔아서 生計로 삼고 있었으므로, 사람들이 兒名을 그리 부른 것이다.

그는 新羅 眞平王의 셋째 선화(善花)公主가 아름답다는 말을 듣고 더벅머리를 깎고 서울로 올라왔다. 그러고는 洞네 아이들에게 (麻)를 주며 自身을 따르게 했다. 드디어 노래 하나를 지어 아이들에게 부르게 했다.

原文 양주동 홍기문 김완진
善化公主主隱
他密只嫁良置古
薯童房乙
夜矣?乙抱遣去如
善化公主 ( 善花公主 ) 니믄
ㄴㆍㅁ 그ㅿㅡ지 얼어 두고
맛둥바ㅇㆍㄹ
바ㅁㆎ 몰 안고 가다
善化公主 ( 善花公主 ) 니ㅁㆍㄴ
ㄴㆍㅁ 그ㅿㅡ基 얼어 두고
셔桐 지블
바므란 안고 가다
善化公主 ( 善花公主 ) 니리믄
ㄴㆍㅁ 그ㅿㅡㄱ 어러 두고
薯童 房ㅇㆍㄹ
바매 알ㅎㆍㄹ 안고 가다
宣化公主님은
남몰래 通情해 두고
맛둥 도련님을
밤에 몰래 안고 간다.
宣化公主님은
남 몰래 媤집 가서
薯童이를
밤이면 안고 간다.
宣化公主님은
남 몰래 짝 맞추어 두고
薯童房을
밤에 알을 안고 간다.

意味 [ 編輯 ]

彌勒寺 創建說話에 依하면, “武王과 王妃(善花公主)가 사자사(師子寺)로 가는 途中 蓮못 속에서 솟아오른 彌勒三尊像(彌勒三尊像)을 만나 이를 모시기 위하여 彌勒寺를 創建하였다”고 한다. 여기서 重要한 것은 彌勒이 하늘에서 내려온 것이 아니라 蓮못에서 솟아 나왔다는 點이다. 彌勒佛國土(彌勒佛國土)를 이룰 수 있는 땅이라 여기고, 이를 실현시킬 人物로서 이 推戴되었다. 彌勒佛國土의 實現은 戰爭의 敗北로 지친 百姓에게 앞으로의 前生에서 勝利할 수 있다는 믿음과 彌勒佛國土의 實現을 위해서 犧牲된 自身이 다시 彌勒에 依해서 救濟받을 수 있다는 信念을 심어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武王 은 益山 遷都를 통해 權力을 掌握하기를 祈禱했다. 비록 이는 失敗했으나, 管山城 戰鬪 敗北 以後 惡化된 王權이 武王 때 多少 回復되기 始作하였다.

그래서 『 三國遺事 』에 引用된 薯童說話 속의 무강왕을 武王 이라고 하는데, 薯童說話는 동성왕 과 關聯된 婚姻說話와 武王臺의 彌勒寺 創建 演技說話 外에, 武寧王이 卽位 前 益山 地域의 擔魯場(擔魯長)으로서 이 地域을 다스린 데서 생겨난 이야기들이 婚材되어 생긴 說話라는 假說도 있다.

傳해오는 이야기 [ 編輯 ]

飼料가 거의 남아있지 않은 韓國 古代史에서 正確한 實相을 把握하기란 어렵다. 一然 의 《 三國遺事 》2卷 무왕조(武王條)에 따르면 薯童謠가 서울( 徐羅伐 )에 퍼져 大闕에까지 스며들어 갔고, 百官(百官)들이 크게 間(諫)하여 公主를 멀리 귀양보내게 되었다. 떠날 때 王后는 그 딸에게 純金을 두른 말을 주었다. 公主가 귀양길에 오를 때 薯童이 途中에서 나와 맞이하여 示威(侍衛)해 가겠노라 했다. 公主는 그가 어디서 온지도 모르나 偶然히 믿고 기뻐하며 情을 나누었다. 그 後에야 薯童이란 것을 알았다.

함께 백제로 와서 公主는 어머니가 준 金을 내놓으며 張差 生計를 꾀하려 하니 이때 薯童은 크게 웃으며 "이것이 무엇이냐?" 했다. 公主는 "이것이 黃金이니 可히 百 年을 넉넉히 살 수 있을 것"이라 하자 薯童은 말하기를 "내가 어려서부터 마를 파던 땅엔 이런 것이 흙과 같이 쌓였다." 하니 公主는 크게 놀라며 그것은 天下의 支保(至寶)이니 그 寶物을 父母님이 계신 徐羅伐 宮闕에 보내는 것이 어떠하냐고 했다.

薯童이 좋다 하며 金덩이를 모아 丘陵(丘陵)과 같이 쌓아 놓고 용화산(龍華山) 사자사(師子寺)의 지명法師(知命法師)에게 金 輸送의 方策을 물었다. 法師는 "내 神力(神力)으로 金을 新羅 로 옮기리라." 하니, 善花公主가 便紙와 함께 金덩이를 절間 앞에 갖다 놓았다. 곧 法師가 神力으로 하룻밤 사이에 新羅 宮中으로 옮겨 놓았다. 新羅 진평왕 은 그의 神이(神異)함을 尊敬하고, 자주 便紙를 보내어 文案을 물었다. 薯童은 新羅의 도움으로 民心을 얻고 百濟 王位에 오르게 되었다.

薯童謠와 益山 彌勒寺 創建 論難 [ 編輯 ]

旣存에는 一然의 三國遺事를 基盤으로 彌勒寺 創建이 善花公主가 中心이 됐다는 說이 支配的이었다. 그러나 2009年 1月 14日 益山 彌勒寺址 石塔 解體 中 金銅舍利函 名文이 發見되면서 歷史學系에 波紋이 일었다. 舍利函 名門에는 '우리 백제 王后께서는 佐平(佐平) 舍宅積德(沙宅積德)의 따님으로 至極히 오랜 歲月에 船人을 심어 今生에 뛰어난 果報를 받아 萬民을 어루만져 기르시고 佛敎의 棟梁이 되셨기에 淨齋를 喜捨하여 伽藍을 세우시고, 己亥年(639年) 正月 29日에 事理를 받들어 맞이했다.'라고 적혀있다.

그 結果 彌勒寺址 石塔의 竣工 當時 武王의 王妃는 善花公主 가 아니라 舍宅王后 라는 것이 確認되었다. 이러한 理由로 武王과 善花公主의 結婚이 後代에 꾸며진 虛構라는 式의 主張이 擡頭되고 있다. [2] 그러나 歷史學界에서는 大部分의 說話가 歷史的 事實을 바탕으로 傳承되어 온 것을 勘案할 때, 善花公主의 陵이라고 推測되는 雙陵 의 存在가 아직 남아 있으므로 섣부른 結論은 止揚해야 한다는 立場이다. [3]

薯童謠를 素材로 하는 作品 [ 編輯 ]

드라마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