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荒天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荒天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荒天 (黃泉)은 漢字 文化圈 에서 사람이 죽으면 가는 場所를 가리키는 말이다. 中國語에서 "黃泉"이란 "地下의 샘"을 의미하고, 그것이 變해 地下世界의 意味가 되었다. 한便 日本에서는 日本 固有語인 "料米"에 黃泉이라는 漢字를 붙여서 黃泉을 "料米"( 日本語 : ?泉 )라고 읽게 되었다.

中國 神話 [ 編輯 ]

古代 中國人들은 地下에 亡者의 世界가 있다고 생각했고 거기를 黃泉 또는 句踐(九泉)이라고 불렀다. 黃泉의 語源은 古代로부터 여러 說이 있지만 모두 推測에 不過하며 眞正한 語源은 모른다. 五行說 에서 黃色이 흙을 表象하기에 地下를 가리킨다는 說이 있지만, 五行說은 紀元前 3世紀 戰國時代에 形成되었지만 黃泉이라는 말은 紀元前 8世紀 春秋時代 電氣까지 거슬러 올라가기에 그 說明은 잘못이다. 黃泉이라는 表現은 漢文 苦戰에 山積해 있고, 現代 中國에서도 日常的으로 使用되고 있다.

日本 機器神話 [ 編輯 ]

古事記 (古事記) [ 編輯 ]

시마네 縣 마쓰에 市 히가시 이즈모 正義 黃泉非量版 .

古事記 》에서는 黃泉을 황천국 ( 日本語 : ?泉國 ( よみのくに ) 要미노쿠니 [ * ] )이라고 하며, 마치 日本 어딘가에 實存하는 " "인 것처럼 이야기된다. 황천국에는 出入口가 存在하며 그 出入口를 黃泉非量版 이라고 하는데, 아시하라노 나카쓰國 (葦原中?)와 關聯이 있다고 한다. 利子나기 는 죽은 아내 利子나미 를 따라 이 길을 지나 황천국에 들어갔다. 그 뒤 《古事記》에는 네露카타스국 (根の堅州?)라는 것이 나오는데, 이것과 황천국의 關係에 對해서는 言及이 없고, 소쿠쓰네노국과 황천국이 같은 것인지 與否는 또 설이 나뉜다. 또 《古事記》에서 黃泉比量版은 이즈모國 에 存在하는 이부야판( 日本語 : 伊賦夜坂 )이 바로 그것이다라고 하면서 現實의 空間에 非情시키고 있다.

逃來猶追到?泉比良坂之坂本時

도망쳐왔는데 오히려 다시 黃泉非量版 의 사카모토에 다다랐다.

(明確한 解釋 必要)

日本書紀 (日本書紀) [ 編輯 ]

日本書紀 》에서는 네노카打쓰國이 네露國 (根の?)이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日本書紀》에서도 《古事記》와 마찬가지로 황천국과 네露國이 여러 곳에 함께 言及되지만 兩者의 關係는 漠然하다.

그러나 《古事記》가 이나자미가 묻힌 땅을 이즈모에 非情하는 反面, 《日本書紀》는 구마 의 아리마 寸(有馬村)이라고 한다.

《日本書紀》 第1書儀 여섯 番째 註釋에는 “요모쓰히라사카는 특정한 土地가 있는 것이 아니고 죽음의 瞬間을 말하는 것일까”라고 적혀 있는데, 이는 요모쓰히라사카라는 땅이 實存하지 않는다는 意味로 볼 수 있지만 同時에 “것일까”라는 式의 疑問形으로 敍述되어 亦是 曖昧하다. 이는 古代 傳承이 아니라 日本書紀 編輯者의 主席으로서, 이즈모의 實存하는 空間을 黃泉의 所在地로 非情하는 《古事記》와는 差異가 있는 部分이다.

이즈모國 風土記 (出雲?風土記) [ 編輯 ]

이즈모國 風土記 》 이즈모 군조 禹카 香 項目에는 “黃泉의 언덕(?泉の坂)”?“黃泉의 구멍(?泉の穴)”이라는 이름의 洞窟이 적혀 있다. 이 洞窟은 이즈모詩 이노메 情에 位置한 이노메 洞窟로 比定되는 것이 通說이다. 이노메 洞窟은 1948年 發掘되어 野요이 時代 에서 古訓 時代 까지 이르는 人骨과 副葬品들이 發見되었다.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