火星 (音樂)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火星 (和聲, 英語 : harmony )은 音樂 속에서 和音 이 連續함으로써 생기는 音響의 時間的 흐름이다. 和音을 連續시키는 方法에 對한 硏究를 和聲法 (和聲法) 또는 和聲學 (和聲學)이라 한다.

和聲法은 時代에 따라 여러 變遷을 거쳐 왔으나, 가장 理論的(理論的)으로 集約된 것이 18世紀부터 19世紀 末까지를 支配한 '機能和聲法(機能和聲法)'이다. 그러므로 普通 和聲法이라고 할 때는 이 機能和聲法을 의미하는 境遇가 많으며, 그 밖에는 '어느 時代의 和聲法'이나 '어느 作曲家의 和聲法'이라고 한다.

和聲法에서의 用語 [ 編輯 ]


和音 [ 編輯 ]

和音 은 서로 音 높이가 다른 音이 同時에 垂直的으로 울렸을 때 생기는 音들이다.

和音은 各各 3가지가 있으며 T(토닉, Tonic), SD [또는 S] (서브 도미넌트, Sub Dominant), D(도미넌트, Dominant)가 있다. T과 D는 音樂의 가장 基本的인 뼈대를 構成하며 S는 基本的인 뼈대와는 다른 色彩를 가진다. Tonic은 音階의 假想 으뜸音을 中心으로 形成된 으뜸和音(I)이다.

어떤 和音이 어울리고 어떤 和音이 어울리지 않느냐를 說明하는 理論으로 背音 理論 等이 있다.

旋律 [ 編輯 ]

旋律 은 和音과는 다르게 水平으로 各其 다른 音들이 進行하는 것을 말한다.

造成 [ 編輯 ]

音樂에 쓰이는 火星이나 멜로디가 하나의 音 또는 하나의 和音을 中心으로 하여 일정한 音樂關係를 가지고 있을 境遇, 이 音樂을 造成 (調性 tonality)이 있는 音樂이라고 한다. 따라서 造成이란 音樂이 經過하는 속에서 볼 수 있는 音 現象이며, 中心이 되는 陰과 和音의 支配가 그 音樂에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그 音樂의 造成이 있느냐 없느냐가 決定된다. 그리고 그 같은 中心이 되는 音을 '으뜸音(主音)', 和音을 '으뜸和音(主和音)'이라 한다. 例를 들어 다長調라 하면 다음을 으뜸音으로 한 長音階로써 端的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音階를 바탕으로 하여 作曲하면 다음을 으뜸音으로 한 組成을 가지는 音樂을 만들기 쉽다.

같이가기(竝行) [ 編輯 ]

華城 進行에서는 各 聖父의 獨立이라는 것이 重要視된다. 火星의 實習은 普通 4個의 聲部로 하는데, 이들은 音넓이가 높은 聲部로부터 次例로 소프라노 · 알토 · 테너 · 베이스 라 불린다. 이와 같이 配置된 火星을 4聖體(四聖體)라고 한다. 그러나 4成體가 참된 4聖體이기 爲해서는 4性이 그 進行에 있어서 서로 獨立하여야 하며, 混同되지 않음을 條件으로 한다. 따라서 聲部進行의 獨立性이 干涉받는 것은 다성부(多聲部) 텍스처의 本質에 어긋나기 때문에 禁止되고 있다.

같이가기 1度(竝行 1度, 騈行 一度)
2個의 聲部가 아주 똑같은 音으로 進行할 때이며, 그것은 事實上 2個의 聲部가 아니라 하나의 聖父로서 울린다.
같이가기 8度(竝行 8度, 騈行 八度)
2個의 聲部가 8度(옥타브)로 進行하는 境遇이나, 옥타브의 進行은 實際로는 同一陰의 進行과 마찬가지로 한 聲部의 進行처럼 울린다.
같이가기 5度(竝行 5度, 騈行 五度)
2個의 聲部가 5度의 間隔으로 進行하는 것이다. 이것은 같이가기 1度, 8度만큼 두 聲部의 融合 程度가 强하지 않다고는 하지만, 5度라고 하는 極히 自然倍音적(自然倍音的)으로 關係가 깊은 音程이므로 두 聲部의 完全한 獨立이 妨害된다.

以上과 같이 聲部進行의 獨立性이 妨害되는 音程으로 進行하는 것은 機能和聲에서는 禁止되고 있다. 그러나 實際의 音樂作品에서는 한 멜로디에 많은 樂器가 같은 音 또는 옥타브로 겹쳐지는 일이나, 混成 4符合窓에서도 두 聲部 以上이 똑같이 겹쳐지는 일은 흔히 있는 일이다. 그것은 그 멜로디를 特히 强調하기 위한 것으로, 말하자면 華城進行原則의 逆應用이라 하겠다. 그러나 같이가기 5度는 같은 音이 아니므로 멜로디의 强調에는 適切하지 않아 普通은 쓰이지 않는다. 따라서 같이가기 1度, 8度가 禁止되는 것은 4聖體로 學習되는 機能和聲의 基礎原理에서만이다.

마침꼴(종지) [ 編輯 ]

하나의 音階 속에 생기는 Ⅰ에서부터 Ⅳ까지의 和音은 各各 自己 技能에 따라 일정한 法則으로 連結된다. 이 連結의 法則을 마침꼴 (終止形, 終止形, cadence)이라고 한다. 和音은 機能的으로 보아 連結하여도 좋은 和音과 連結하면 부자연스러운 效果를 낳는 和音이 있다. 後者는 D機能의 和音에서 S機能의 和音으로의 連結이다. D機能의 和音은 T機能의 和音으로 進行하려고 하는 힘이 剛하므로, 이 和音 다음에 宜當 T機能의 和音을 豫感하게 하지만 그 다음에 S機能의 和音을 連結하는 것은 사람들에게 어떤 違和感(違和感)을 가지게 하여 부자연스런 느낌을 준다. 따라서 특수한 表現效果를 意圖하였을 境遇 以外에는 이 連結은 쓰이지 않으며, 華城理論에서는 禁止하고 있다. 圖表는 T, D, S機能의 可能한 連結을 화살標로 標示하고 있다. 따라서 마침꼴의 鄭兄은 T→S→T, T→D→T, T→S→D→T의 3種이다. 機能和聲으로 되는 音樂에서는 이 3種의 마침꼴을 다양하게 構成하고, 여기에 同一 機能으로서 代理和音을 써서 多彩로운 音響을 낳게 한다. 音樂엔 文章과 같이 句讀點(句讀點)에 相當하는 것이 있다. 앞서 말한 마침꼴의 整形(定型)李 이에 該當하는 것이나, 特히 文章의 句讀點에 該當하는 T和音으로 進行하는 方式 中에서 代表的인 것엔 '바른마침(完全終止)', '거짓마침(僞裝終止)', '벗어난마침(敎會終止)' 等의 名稱이 붙어 있다. 바른마침, 거짓마침은 D→T의 마침이며, 앞의 것은 Ⅴ7→Ⅰ, 뒤의 것은 V7→Ⅵ의 火星이 쓰인다. 거짓마침이라 함은Ⅰ의 代理로 Ⅵ이 쓰이므로 어느 程度 불만족스러운 마침을 하기 때문에 이렇게 부른다. 또 그 이름이 나타내듯이 曲의 맨 끝에 쓰이는 일은 아주 드물며, 도리어 曲의 中間에서 完全히 끝났다는 느낌을 주지 않기 위하여 쓰인다. 벗어난마침이란 바른마침 뒤에 S(Ⅳ)→T(Ⅰ)의 火星을 더한 것이다. 이것은 敎會音樂의 맨 끝에서 아멘을 부를 때 이 火星이 쓰이므로 敎會마침이라 하며, 또한 아멘마침이라고도 한다. 앞서 말한 것 外에 半마침(半終止)이라는 것이 있다. 이것은 T和音으로 끝나지 않고, D和音(Ⅴ)으로 끝나는 境遇를 말한다. 勿論 曲의 途中에서만 쓰이게 되므로, 文章에서 말하면 쉼標(,)에 該當하는 것이다. 따라서 半마침의 和音은 반드시 Ⅴ만으로 限定되어 있는 것이 아니어서 Ⅳ 또는 Ⅱ의 和音도 때때로 쓰인다.

調바꿈 [ 編輯 ]

어느 程度의 길이를 갖는 音樂作品이 처음부터 끝까지 같은 組로 쓰인 일은 거의 없다. 왜냐하면 이러한 構成의 曲은 音響的 統一은 있어도 變化, 對照라고 하는 音樂뿐 아니라 藝術 一般의 根本原理가 缺如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境遇 統一이라기보다 도리어 단조롭다고 하겠는데, 다양한 것이 있고서야 비로소 統一이 成立되는 것이다. 따라서 音樂作品은 어떤 한 組로 始作하여 다른 兆로 履行(移行)하고, 다시 처음의 組로 돌아오는 것을 一般原則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른 兆로 履行하거나 그 組에서 다시 맨 처음 兆로 履行하는 것을 調바꿈 (前趙:轉調)이라 한다.

機能和聲法 [ 編輯 ]

機能和聲法 (機能和聲法)은 18世紀부터 19世紀 末까지를 支配한 和聲法이며, 여기서는 長音階, 短音階 위에 3度를 겹침으로써 생기는 3和音을 모두 그 作用, 卽 機能으로써 把握할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불린다. 3和音의 機能이란 3和音이 서로 關聯되는 가운데서 가지고 있는 役割이나 機能이다. 그것은 토닉(T, Tonic), 도미難테(D, Dominante), 서브도미難테(S, Subdominante)로 表示되며, 으뜸和音이 T機能, 딸림和音이 D機能, 버금딸림和音이 S機能을 가지고 있다(주요 3和音 項目 參照). 그리고 다른 3和音은 모두 이 T, D, S의 機能 中 어느 하나를 띠고 있다는 點에서 으뜸和音, 딸림和音, 버금딸림和音의 代理和音으로서 把握되는 것이며, 이 T機能은 D機能, S機能에 對하여 停止點(靜止点)으로서의 作用을 하며, D, S는 T로 가려고 하는 志向性을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S和音, D和音은 停止店인 T和音으로 向하려고 하는 緊張力을 가지며, 結局 T和音으로 감으로써 그 緊張이 풀려 曲이 끝난다. 結局 音樂의 根本原理인 緊張·弛緩이 여기서 이루어진다. 이 機能和聲 理論은 主로 獨逸의 音樂學者 後考 리만 (Hugo Riemann, 1849-1919)에 依하여 發展된 것으로, 以上과 같이 解釋함으로써 많은 和音이 T, D, S의 3個의 機能으로 集約되며, 이 時代의 和聲法의 考察을 體系化하고 硏究 및 實習을 簡略化하는 데 重要한 도움이 되는 것이다.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