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韓國 古代의 敎育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韓國 古代의 敎育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韓國 古代 의 敎育 韓民族 이 살던 地域의 原始社會의 敎育 活動과 古朝鮮 元三國 時代 의 敎育 活動, 三國 時代 의 敎育, 統一新羅 의 敎育을 包括한다. 連帶的으로는 紀元前 4萬年 頃부터 900年 警까지이다 [1] .

原始社會의 敎育 活動 [ 編輯 ]

歷史學的으로 原始社會는 文明社會 以前의 社會를 말하는 것으로, 人間이 構成한 組織이 單純하고 個人이 集團意識 안에 强하게 歸屬되어 獨立者의 性格을 지니지 못하였으며, 呪術이나 宗敎 가 生活에서 큰 比重을 차지했던 社會이다.

이러한 社會에서는 社會 構成員 個人의 ‘安全’과 集團生活을 위한 ‘團結’과 關聯된 敎育活動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여겨진다. 個人의 安全을 圖謀하기 위하여 이를 위한 身體的 訓鍊과 生存을 위한 食糧 獲得 方法에 對한 內容이 敎育되었을 것이며, 集團生活을 營爲하기 위하여 集團 內의 慣習이나 原始 宗敎 의 祭禮 等이 敎育되었을 것으로 斟酌할 수 있다. 그러나 原始 社會에서 위와 같은 敎育活動이 行해졌다 하더라고 그들은 그것이 ‘敎育’이라는 것을 認知하지 못하고 있었을 것이다.

한便, 이 時期의 韓民族 의 敎育 活動에 對한 直接的인 史料가 全無하기 때문에 西洋 世界의 原始社會의 敎育 活動을 考慮하여 이 時期의 敎育 活動을 推論해 볼 수밖에 없다.

古朝鮮 및 元三國 時代의 敎育 活動 [ 編輯 ]

古朝鮮 時代는 原始國家로서 國家의 形態를 갖추기 始作한 國家이다. 古朝鮮은 現代 韓國人의 精神的 基盤의 象徵이기 때문에 古朝鮮이 갖는 敎育的 意味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겠지만 이 時期의 敎育 活動에 對한 史料가 日淺하여 그 形態를 正確히 알기 어려운 것이 事實이다. 古朝鮮은 桓雄 弘益人間 의 旗幟 아래 세워진 國家로서 이와 關聯된 敎育이 行해졌다는 것을 推論해 볼 수 있다. 다만, 古朝鮮 後期와 關聯된 記錄에서 準王 위만 에게 博士 職位를 授與했다는 記錄이 있는 것으로 보아 敎育과 關聯된 官職이 있었을지도 모른다는 推測 [2] 을 해 볼 수 있다.

扶餘 를 비롯한 여러나라가 成立된 元三國 時代 는 不足國家의 時代로서 國家의 形態가 어느程度 갖추어진 時期이다. 이 時期에는 支配者와 被支配者 間의 關係가 確立되었으며, 祭政一致의 政治制度가 確立되었다. 이러한 狀況에서는 階級 分化와 關聯된 內容과 國家 統治를 위한 知識이 敎育되었을 것이라 推論해 볼 수 있으며, 祭政一致 社會였던 만큼 敎育活動이 宗敎的 活動과 結付되어 이루어졌음을 考慮해 볼 수 있다.

元三國 時代 의 敎育과 關聯하여 特記할 만한 事項으로는 이 時期를 記錄한 中國의 文獻에 扶餘 辰韓 에서 文字를 使用했다는 內容이 登場한다는 點이다. 이것은 該當 國家의 文化的 水準이 一定 水準 以上이었으며, 文字敎育을 할 만한 初步的인 敎育體系가 마련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三國時代의 敎育 [ 編輯 ]

三國 時代 高句麗 · 百濟 · 新羅 가 競爭을 했던 時期로서, 이러한 狀況은 그대로 敎育에 反映되었다. 特히 當時에는 靑少年 을 對象으로 武術을 敎育함으로써 有事時에 對備하려 하였다. 高句麗의 경당 과 新羅의 畫廊도 는 바로 그러한 趣旨에서 만들어진 學校와 集團이었으며, 백제의 境遇도 그 名稱은 알 수 없지만 이들과 類似한 團體나 學校가 存在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機關에서는 武術 以外에도 여러 가지 書籍들을 敎育하는 等 文武均衡의 敎育을 圖謀하였다. 이와 같이 三國時代의 敎育은 三國 間의 普遍性을 지녔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三國 間의 競爭 속에서 나온 時代的 産物이었다고 볼 수 있다.

한便, 三國은 中國 敎育 制度의 影響을 받기도 하였는데, 特히 高句麗 百濟 ,扶餘와 津한등의 나라가 中國의 影響을 많이 받았다.

統一新羅의 敎育 [ 編輯 ]

新羅 가 三國을 統一한 以後 三國 間의 對立이라는 危機狀況이 解消되자 더 以上 畫廊도 가 存在할 現實的 必要性이나 名分이 사라지게 되었다. 畫廊도 같은 流動的인 組織보다는 巨大한 統一國家의 威信에 걸맞은 中國式 學校制度가 導入될 必要가 있었는데 國學 은 이러한 背景에서 設立된 學校이다. 國學은 國子監 을 模倣한 國立學校로서 規模만 작을뿐 國子監과 同一한 方式으로 運營되었다. 國學에는 在學生을 對象으로 冊을 읽은 程度를 基準으로 管理를 選拔하는 讀書三品科 라는 獨特한 制度가 있었는데, 이는 國學의 卒業試驗과도 같은 것이었다.

讀書三品科 의 登場으로 血統을 重視했던 慣行에서 部分的이나마 能力을 重視하는 傾向이 생겼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國學 을 卒業하면 制限的이긴 하지만 身分上昇의 機會가 주어졌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여기에 入學하려 하였다. 結局 讀書三品科는 國學의 命脈을 維持하기 위한 制度的 裝置였던 것이다. 한便, 統一新羅 當局은 中央의 國學 外에도 地方에 學校를 設立했던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는 統一新羅가 國學과 向學을 同時에 育成하는 中國의 儒敎敎育的 傳統을 受容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三國 時代가 始作되고 한동안 韓民族은 ‘敎育’에 對해서 認知하고 있지 못하였다. 따라서, 敎育에 對해서 認知하고 있지 못하던 時期의 敎育 活動과 敎育에 對해서 認知하고 있던 時期의 敎育活動을 ‘敎育 活動’과 ‘敎育’으로 區分하여 表記한다.
  2. 位만이 授與받은 博士 職位가 敎育과 關聯된 것이라고 斷定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위만은 博士 職位를 授與받은 直後 邊方守備의 職務를 遂行하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