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랑크 常數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플랑크 常數
種類: 物理 常數
값: 6.626 070 15 × 10 ?34 J · s
出處: CODATA 2018 [1]
디랙 常數
種類: 物理 常數
값: 1.054 571 800(13) × 10 ?34 J · s
誤差: ±0.000 000 013 × 10 ?34 J · s
出處: CODATA 2014 [2]

플랑크 常數 (Planck常數, Planck constant , 記號 h )는 粒子의 에너지 드브로이 振動數 ( )이다. 量子力學 基本 常數 中 하나다. 이 常數를 導入한 物理學者 막스 플랑크 의 이름을 땄다. 記號는 라틴 文字 " "이다. 유니코드 記號 (?)가 있다.

2018年 11月 16日 第26次 國際度量衡總會(CGPM)에서 [3] 아래의 값으로 定義되었다. [4]

새로운 定義는 2019年 5月 20日 世界 測定의 날부터 發效되었다. [3]

外에, 다음과 같이 定義되는 가 代身 쓰이기도 한다. (量子力學에서 보다 더 많이 使用되는 形態이다.)

式에서 圓周率 을 나타낸다. 이 記號는 英語에서는 ' h-bar ( IPA:  [eit? b??ːr] 에이치 바)', 獨逸語에서는 ' ha quer ')(下 크베어)로 읽는다. [5] 이 常數 폴 디랙 의 이름을 따 디랙 常數 (Dirac's constant)라고도 부른다. 유니코드 記號 ?가 있다.

角運動量 兩者 이다. 系의 任意의 軸에 對한 角運動量은 언제나 의 정수배의 값으로 양자화한다.

는 또 不確定性 原理 를 記述하는 式에도 登場한다.

그래서 보다 더 基本的이라고 主張한다.

그 밖에 플랑크 單位 의 正義에 使用된다.

歷史 [ 編輯 ]

처음에 古典物理는 뉴턴의 力學 理論에서 始作되었지만 才能있는 수많은 學者들이 物理에 뛰어들어 그 領域을 電磁氣까지 擴張을 시켜 모든 領域에서 乘勝長驅하였었다. 막스 플랑크가 物理를 하던 19世紀 後半, 물리는 더 以上 發展이 없을 것이며 小小한 몇몇 問題만 解決되면 完璧한 學問이 될 것이라는 意見이 매우 澎湃하였다. 하지만 古典物理는 黑體 複寫와 關聯된 部分에서 問題에 부딪히게 되었다. 그것은 古典物理가 豫測하는 結果와 黑體 複寫의 實驗 結果가 一致하지 않는 問題가 發生한 것이다. 긴 波長에서는 잘 一致하지만 짧은 波長에서는 一致하지 않는 問題가 생긴 것이다. 이에 對한 思考 實驗 은 다음과 같다.

아주 잘 密閉된(외부와 에너지 交流가 없는) 한 勇氣 안에 黑體와 한 줄기 빛을 집어넣고 勇氣를 다시 密閉한다고 하자. 이 境遇 黑體는 빛을 吸收하여 波長의 形態로 다시 放出을 하게 되는데 古典物理의 等分配法則에 依하면 黑體가 放出하는 에너지는 모든 波長에 골고루 나뉘어야 한다. 이 말은 아주 작은 빛을 넣게 되더라도 箱子를 열게 되면 엑스線 이나 감마선 이 나오게 되는 現實에서는 不可能한 矛盾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問題를 解決하기 위해 몇몇의 物理學者들이 매달리게 되었다. 막스 플랑크 는 이러한 問題를 解決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革命的인 着想을 하였다. 그것은 '에너지는 周波數에 比例한다'라는 家庭이었다. 卽 에너지가 兩者化되어 있다는 것이었다. 이 家庭에서 에너지와 周波數를 連結해주는 比例常數가 인 것이다. 勿論 플랑크는 家庭을 통해서 黑體 複寫에 關한 問題를 整理하였고 그 式은 實驗과 잘 一致하는 結果를 가지고 왔다. 하지만 플랑크는 저 式에 對해서 큰 意味를 두기보다는 實驗結果와 一致시키기 위해 어쩔 수 없이 導入시킨 것이라는 立場을 取하였다.

上水 改正 [ 編輯 ]

歷史的으로, CODATA 플랑크 常數 勸奬값은 指數部를 除外하고 다음과 같다. CODATA 勸奬값은 새로운 測定 結果를 反映하여 몇 年마다 改正된다.

  • 2002年에 6.626 069 3(11)로 發表되었다.
  • 2006年에 6.626 068 96(33)로 訂正되었다.
  • 2010年에 6.626 069 57(29)로 訂正되었다.
  • 2014年에 6.626 070 040(81)로 訂正되었다.
  • 2018年에 6.626 070 15로 正義 되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Planck constant” .  
  2. “Planck constant over 2 pi” .  
  3. ‘不變의 單位’ 時代 열린다…질량 等 4個 單位 再定義 , 한겨레, 2018年 11月 16日
  4. The world just redefined the kilogram , Vox, 2018 Nov 16
  5. 間或, h의 獨逸語 發音 ' ha [ * ] '와 윗줄을 뜻하는 ' 英語 : bar [ * ] '를 섞어 '하바'라고 읽는 사람도 있으나 이는 잘못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