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케라톱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케라톱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케라톱스
化石 範圍:
白堊紀 後期 77.5百萬年 前
마쉬의 모식표본 그림.
마쉬의 模式標本 그림.
生物 分類 ??
界: 動物界
文: 척삭動物門
江: 爬蟲綱
亞綱: 離宮亞綱
下降: 支配爬蟲下降
上木: 恐龍上木
목: 兆反目
(未分類): 新鳥盤類
亞目: 各各亞目
河目: 角龍河目
과: 케라톱스과
亞科: 케라톱스아과
속: 케라톱스속 ( Ceratops )
種: 케라톱스 몬타누스
學名
Ceratops montanus
Marsh, 1888

학명이名
  • 케라톱스 몬타누스 ( Proceratops montanus )
    (Marsh, 1888) Lull, 1906

케라톱스 ( Ceratops , "뿔이 있는 얼굴"이라는 意味)는 醫文明 草食性 角龍類 恐龍 의 한 속으로 白堊紀 後期 에 살았다. 化石은 몬태나 州에서 發見되었다. 알려진 것이 많지는 않지만 角龍類 (케라톱시아)와 케라톱스과 의 이름이 이들의 模式속 人 케라톱스에서 由來했을 程度로 恐龍의 硏究에서 重要한 役割을 해왔다. 實際 化石은 保存狀態가 좋지 않아 잘 알려진 標本들과 連結짓기가 힘들어 케라톱스는 醫文明 으로 看做된다.

歷史 [ 編輯 ]

케라톱스로 分類된 첫番째 化石은 後頭과(occipital condyle)와 한 雙의 로 되어 있는데 존 벨 해처 (1861-1904)에 依해 1888年 늦여름 몬태나주 블레인 카운티의 카우크릭 附近, 주디스리버 層 最上部에서 發見되었다. 해처는 이 當時 오트니엘 찰스 마쉬 에게 雇用되어 있었는데 마쉬는 같은 해 이 化石을 모식종 케라톱스 몬타누스( Ceratops montanus )로 명명하였다. 俗名은 그리스語 케라스(κ?ρα?, keras , 뿔)과 옵스(?ψ, ops , "얼굴")에서 온 것이다. 俗名은 몬태나 州에서 따왔다. 마쉬는 처음에 이것이 머리 뒤쪽에 두 個의 뿔이 있고 몸 길이가 8-10 미터 程度, 等에는 骨板이 있으며 두 다리로 걷는 스테고사우루스 비슷한 恐龍이라고 생각했다. 마쉬에 따르면 "매우 異常한 모습이었을 것이다." [1] 마쉬의 그림에는 한 雙의 뿔을 뒤쪽에서 본 모습이 그려져 있는데 여기서 마쉬는 뿔의 左右 位置를 바꾸고 안쪽과 바깥쪽도 反對로 회전시켜 뿔이 안쪽을 向하게 그려 놓았다. [2]

완모式標本人 USNM 2411 샹파뉴節 地層에서 發見되었다. 後頭과 外에 두 個의 이마 뿔審(horn core)의 길이는 22cm 程度다. [2] 前頭骨의 一部가 오른쪽 뿔에 붙어 있다. 마쉬는 後에 두 個의 引上骨 , USNM 4802 와 USNM 2415를 發見해 이 種으로 分類했다. 하지만 이 두 個의 引上골은 켄트로사우루스아과 에 屬하는 化石일 可能性이 높다. 이것은 亞바케라톱스 로 分類되기도 했다. [3]

1906年에 리차드 스완 럴 은 케라톱스라는 이름이 鳥類 쪽에서 먼저 使用되었으나 ( Ceratops Rafinesque 1815) 無資格名 (nomen nudum)이라서 1888年에도 如前히 使用可能한 이름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하지만 럴은 臨時로 이를 代替할 이름인 프로케라톱스( Proceratops )를 提案하였다. [4] 따라서 프로케라톱스는 케라톱스의 動物耳鳴 이 된다.

20世紀 初盤에 이미 많은 數의 角龍類 化石들이 發見되어 케라톱스의 部分的인 標本만으로는 가까운 關係의 다른 各龍들과 區分하기가 매우 힘들어졌다. 오늘날에는 케라톱스가 疑問名으로 看做된다. [5] 하지만 때때로 發見된 地域을 考慮해 볼 때 어쩌면 케라톱스의 완모式標本과 連結될 수 있는 새로운 標本들이 發見되곤 한다.

1995年에 데이비드 트렉瑟러 와 F.G. 스위니는 몬태나 의 뼈層에서 發見된 完全한 標本을 통해 케라톱스를 再評價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 地層은 맨스필드 뼈層(Mansfield Bonebed)라고 알려져 있는데, 케라톱스의 最初 標本이 發見된 地層과 層序的으로 同一한 位置에 屬한다. 元來는 스티라코社友루스 化石으로 看做되었으나 먼저 이 化石을 硏究했던 著者들이 스티라코사우루스의 프릴 스파이크로 생각했던 것이 카스모社友루스亞科 恐龍의 눈 위에 있는 뿔인 것으로 밝혀졌다. 트렉瑟러와 스위니는 이 뿔이 케라톱스의 뿔과 類似하며, 케라톱스가 다시 有效한 俗名이 될 수도 있다는 點을 指摘했다. [6] 이 뼈層에서 發見된 케라톱스과 恐龍은 알베르타케라톱스 로 分類되었으며 後에 새로운 속인 메두사케라톱스 로 再分類되었다. [7]

1999年에 폴 펜칼스키와 피터 도드슨은 케라톱스의 標本이 너무 不足해서 醫文明 이긴 하지만 亞바케라톱스 와 매우 類似해 보이며 亞바케라톱스가 어린 케라톱스일 수도 있다고 結論 내렸다. 이것을 證明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標本이 必要하다. [8]

"주디스"라는 別名을 가진, 케라톱스일 수도 있는 標本

2005年에 매우 잘 保存된 각룡류의 頭蓋骨 및 몸통 一部 化石이 몬태나 注意 퍼거스 카운티, 駐디스江 層에서 發見되었다. "주디스"라는 別名이 붙은 이 標本은 初期 調査에서 C. montanus 와 近緣關係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發見된 位置가 層序的으로 C. montanus 가 發見된 位置와 매우 가까웠으며 距離도 그다지 멀지 않았다. 標本은 以後 꼼꼼한 處理를 거쳐 硏究되었다. 크리스토퍼 오트, 피터 라슨, 兆 스몰, 에드워드 율리아노, 빌 쉽, 린다 쉽, 커트 스피어링으로 構成된 硏究팀은 이 標本을 記載한 論文을 提出했고, 2013年 末에 出版될 豫定이다. [9]

後에 發見된 種들 [ 編輯 ]

1889年에 마쉬는 케라톱스의 두 番째 종인 케라톱스 호리두스( Ceratops horridus )를 명명했다. [10] 이것은 곧바로 다음 論文에서 트리케라톱스 호리두스로 再命名되었다. 따라서 케라톱스 호리두스는 트리케라톱스의 모식종이다. 같은 論文에서 마쉬는 自身이 巨大한 小科 動物로 잘못 同情했던 角龍類 標本인 비손 알티코르니스( Bison alticornis Marsh, 1887)를 케라톱스 알티코르니스로 재명명했다. [11] 1890年에 마쉬는 하드로社友루스 파우키덴스 ( Hadrosaurus paucidens Marsh, 1889)를 케라톱스 파우키덴스로 재명명했지만 [12] 이것이 하드로사우루스과 에 屬한다는 해처의 元來 評價가 아마 正確할 것이다. [2]

1905年에 해처는 모노클로니우스 속의 세 種을 케라톱스 속으로 재명명했다. 모노클로니우스 레쿠르非코르니스( Monoclonius recurvicornis Cope, 1889)는 케라톱스 레쿠르非코르니스가 되었고, 모노클로니우스 벨리( Monoclonius belli Lambe, 1902) 는케라톱스 벨리, 모로클로니우스 카나덴시스( Monoclonius canadensis Lambe, 1902)는 케라톱스 카나덴시스가 되었다. [13] C. belli 는 別途의 속인 카스모社友루스 가 되었다. 1925年에 윌리엄 킹 그레고리는 케라톱스와 카스모사우루스가 同一한 속이라고 結論내렸으나 [14] 大部分의 硏究者들은 이 主張을 棄却했다.

種 目錄 [ 編輯 ]

  • 케라톱스 몬타누스( Ceratops montanus ) Marsh 1888: nomen dubium ; type species of Ceratops Marsh 1888; = Proceratops montanus (Marsh 1888) Lull 1906
  • 케라톱스 호리두스( Ceratops horridus ) Marsh 1889: = 트리케라톱스 호리두스( Triceratops horridus ) (Marsh 1889) Marsh 1889
  • 케라톱스 알티코르니스( Ceratops alticornis ) (Marsh 1887) Marsh 1889: nomen dubium ; = Bison alticornis Marsh 1887, = Triceratops alticornis (Marsh 1887) Lull vide Hatcher, Marsh & Lull 1907
  • 케라톱스 파우키덴스( Ceratops paucidens ) (Marsh 1889) Marsh 1890: nomen dubium ; = Hadrosaurus paucidens Marsh 1889; 람베오사우루스 람베이( Lambeosaurus lambei ) 化石일 可能性이 있음.
  • 케라톱스 벨리( Ceratops belli ) (Lambe 1902) Hatcher vide Stanton & Hatcher 1905: = Monoclonius belli Lambe 1902; = 카스모社友루스 벨리( Chasmosaurus belli ) (Lambe 1902) Lambe 1914
  • 케라톱스 카나덴시스( Ceratops canadensis ) (Lambe 1902) Hatcher vide Stanton & Hatcher 1905: = Monoclonius canadensis Lambe 1902; = Eoceratops canadensis (Lambe 1902) Lambe 1915
  • 케라톱스 레쿠르非코르니스( Ceratops recurvicornis ) (Cope 1889) Hatcher vide Stanton & Hatcher 1905: = Monoclonius recurvicornis Cope 1889

分類 [ 編輯 ]

마쉬는 1888年에 케라톱스를 케라톱스과 로 分類하였다. [1] 따라서 케라톱스는 鸚鵡새 같은 부리를 가지고 6600萬 年 前에 끝난 白堊紀 後期에 北아메리카 아시아 에 살았던 草食恐龍 無理, 각룡류에 屬한다. 1919年에 誤테니오 아벨(Othenio Lothar Franz Anton Louis Abel)李 [15] 케라톱스아과 를 만들었으나 케라톱스아과에는 問題가 있다. 폴 세레노 는 케라톱스亞科를 카스모社友루스亞科 와 同一한 것으로 보았으나 다른 硏究者들은 케라톱스의 位置가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케라톱스亞科를 케라톱스에만 局限시키고 있다.

食性 [ 編輯 ]

다른 各龍類들처럼 케라톱스도 草食性 으로 부리로 植物을 물어뜯어서 熾烈을 利用해 씹어먹었다.

各州 [ 編輯 ]

  1. O.C. Marsh, 1888, "A new family of horned Dinosauria, from the Cretaceous", The American Journal of Science, series 3 36 : 477-478
  2. J.B. Hatcher, O.C. Marsh, and R.S. Lull, 1907, The Ceratopsia . Monographs of th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49 pp 198
  3. Penkalski, P.G., 1993, "The morphology of Avaceratops lammersi , a primitive ceratopsid from the Campanian of Montana",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13 (3, supplement): 52A
  4. R.S. Lull, 1906, "A new name for the dinosaurian genus Ceratops ", The American Journal of Science, series 4 21 : 144
  5. P. Dodson and P. J. Currie, 1990, "Neoceratopsia". In: D.B. Weishampel, H. Osmolska, and P. Dodson (eds.), The Dinosauria . First Edi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pp 593-618
  6. Trexler, D. and Sweeney, F.G. (1995). "Preliminary work on a recently discovered ceratopsian (Dinosauria: Ceratopsidae) bonebed from the Judith River Formation of Montana suggests the remains are of Ceratops montanus Marsh."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 15 (3, Suppl.): 57A.
  7. Ryan, Michael J.; Russell, Anthony P., and Hartman, Scott. (2010). "A New Chasmosaurine Ceratopsid from the Judith River Formation, Montana", In: Michael J. Ryan, Brenda J. Chinnery-Allgeier, and David A. Eberth (eds), New Perspectives on Horned Dinosaurs: The Royal Tyrrell Museum Ceratopsian Symposium , Indiana University Press, 656 pp. ISBN   0-253-35358-0 .
  8. Penkalski, P & Dodson, P (1999). “The morphology and systematics of Avaceratops , a primitive horned dinosaur from the Judith River Formation (Late Campanian) of Montana, with the description of a second skull.”.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19 (4): 692?711. doi : 10.1080/02724634.1999.10011182 .  
  9. " Judith the Dinosaur Archived 2021年 1月 19日 - 웨이백 머신 ". Accessed 17-AUG-2013.
  10. Marsh, O.C., 1889, "Notice of new American Dinosauria", American Journal of Science , 37 : 331?336
  11. O.C. Marsh, 1889, "Notice of gigantic horned Dinosauria from the Cretaceous", American Journal of Science 38 : 173-175
  12. Marsh, O.C., 1890, "Description of new dinosaurian reptiles", The American Journal of Science, series 3 , 39 : 81-86
  13. Stanton, T.W. and Hatcher, J.B., 1905, "Geology and paleontology of the Judith River Bed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Bulletin , 257 : 1-174
  14. W.K. Gregory and C.C. Mook, 1925, "On Protoceratops , a primitive ceratopsian dinosaur from the Lower Cretaceous of Mongolia", American Museum Novitates 156 : 1-9
  15. Abel, O.L.F.A.L., 1919, Die Stamme der Wirbeltiere , Berlin und Leipzig : W. de Gruyter, 914 pp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