質的 硏究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質的 硏究 (質的硏究, 定性的 硏究, 英語 : qualitative research )는 對象의 質的 側面에 注目한 硏究이다.

質的 硏究에서 處理되는 資料는 無形 資料라고 한다. 對象의 量的 側面에 注目하는 量的 硏究 와는 對比되어 質的 硏究는 數値化 되지 않는 資料(非統計的, 非數學的, 非數値的), 例를 들면 인터뷰, 觀察 結果, 文書, 그림, 歷史 記錄 等 質的 資料를 얻기 위해, 社會學 社會 心理學 , 文化 人類學 等에서 자주 使用된다. 또한 政策學 에서도 意味를 지니는데, 이는 政策의 處方敵 性格 때문이다. 例를 들어, 美國에서 成功한 政策이 반드시 韓國에서 成功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두 나라의 政治的 環境이나 社會現象等 各 나라는 狀況의 獨特性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質的 硏究는 社會現象을 構成員의 觀點으로 把握하여 그 나라의 社會 問題를 解決해 줄 수 있는 政策을 處方해 줄 수 있다는 點에서 意味를 갖는다. 質的 硏究는 좁은 意味의 調査뿐만 아니라, 實驗, 觀察, 面接 試驗, 民俗方法論 (ethnomethodology), 文書와 그림의 內容 分析 (content analysis), 對話 分析 , 參與 觀察 (participant observation), 各種 現場 作業 等 다양한 方法을 利用하는 調査 方法을 가리키는 槪念이다.

特히 觀察 硏究는 民俗方法論 에서 派生한 方法으로 種類로는 參與 觀察과 非參與 觀察이 있다. 둘은 모두 觀察 狀況에 對해 흐름을 바꾸거나 客觀性을 잃지 말아야 한다. 하지만 非參與 觀察은 參與 觀察이 되기 쉬운데 왜냐하면 觀察 硏究 遂行 中 對象者와의 相互作用이 아예 없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觀察硏究의 長點은 文獻調査의 限界를 克服할 수 있다는 것이다. 硏究者는 觀察을 통해 狀況의 現場感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短點으로는 時間이 오래걸리고 硏究者의 主觀이 깊게 介入하면 硏究의 意味를 喪失할 危險도 있다. 따라서 觀察硏究는 他方法論과 竝行되는 境遇가 많으며 準備過程에 있어 신중한 態度가 要求된다. 觀察 硏究는 社會에서 特히 意思疏通이 잘 되지 않는 對象(예. 幼兒)을 硏究할 수 있는 方法으로 使用된다. 觀察 硏究에서 硏究者는 Key Informants(主要 情報員)의 도움을 받는 것이 重要하다. 이들은 硏究者가 觀察하는 現象(대상)의 構成員들인데, 硏究者가 알지 못하는 現場 情報나 脈絡 情報를 提供하는데에 도움을 준다. 硏究者는 Key Informants를 통해 硏究에 主觀이나 偏見을 介入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深層 面接은 흔히 인터뷰로 알려져 있으며 目的을 가진 硏究者와 對象者의 對話를 의미한다. 面接을 통해 얻어지는 資料들은 對象者의 實際 經驗인 境遇가 많기에 硏究者는 現場感을 間接的으로 體驗할 수 있다. 面接의 種類로는 面接의 構造化 程度에 따라 構造化 面接, 反構造化 面接, 非構造化 面接이 있다. 構造化 面接은 硏究者가 할 質問 內容과 形式, 個數가 定해져 있는 面接을 意味한다. 이는 面接보다는 設問 調査에 가깝기에 一般化 하기는 쉬우나 質的 硏究로서의 價値는 떨어진다. 反構造化 面接은 質問의 形式이 틀로서 定해져 있고 後續 質問은 硏究者의 裁量에 맡기는 面接을 意味한다. 後續 質問은 對象者의 對答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기에 流動的인 面接 方式이다. 이를 통해 硏究者는 다양한 面接 結果를 얻을 수는 있으나 面接 結果를 理論化 하기는 어렵고 硏究者의 熟鍊度에 어느 程度 影響을 받는다. 非構造化 面接은 質問의 形式이 아예 存在하지 않는 面接을 말한다. 硏究者의 熟鍊度에 따라 인터뷰 結果 資料의 質이 決定되며 가장 探索的인 硏究에 적합하다.

포커스 그룹 硏究는 特定 主題에 關한 討論을 위해 6名에서 10名으로 構成된 小그룹을 통해 이루어진다. 포커스 그룹 硏究의 目的은 討論者들이 最大限 主題에 對해 다양한 意見을 끌어내는 것이다. 熟鍊된 仲裁者에 依해 主管되는데 仲裁者는 討論을 자연스럽게 誘導하는 役割을 갖는다. 포커스 그룹의 討論者들은 서로 모르는 關係이지만 同質的인 社會構成員이어야 한다.

質的 硏究의 硏究者는 가지고 있는 知識이나 觀念을 硏究에서 完全히 分離하기는 어렵기에 信賴性과 客觀性이 不足하다고 批判을 받는 境遇도 많다. 하지만 最大限 主觀性을 排除하여 硏究가 이뤄질 수 있도록 硏究者들은 다양한 努力을 기울인다. 質的 硏究의 質을 判斷하기 위한 基準으로 信賴性, 信憑性, 轉移可能性, 客觀性이 있다. 信賴性은 量的 硏究에서 쓰이는 信賴性과 意味가 다른데, 質的 硏究의 信賴性은 얼마나 正確한 硏究 技法을 使用하였는지를 把握하는 基準을 의미한다. 質的 硏究에서 信賴性을 確保하기 위해 硏究者들은 硏究를 多角化하거나(예. triangulation) 硏究 過程을 正確히 明示한다. 信憑性은 硏究가 누구나 受容可能한 原理를 따르는지를 把握하는 基準이다. 이를 沮害하는 要因의 例示로 硏究 期間동안 어떤 事件이 일어나서 硏究 對象者를 변화시키거나, 硏究 對象者를 잘못 選別하는 것이 있다. 轉移可能性은 一般化 可能性을 의미하며 다른 現象에도 硏究의 結果가 適用되는 지를 把握하는 基準이다. 特히 觀察 硏究를 進行할 때, 硏究者들은 느낌이나 感情을 直接的으로 記述하지 않고, 事實的으로 記述하여 硏究 報告書를 읽는 이가 그런 느낌 或은 感情을 갖게 한다.

登場 背景과 量的 硏究와 比較 [ 編輯 ]

이 技法은 旣存의 量的 硏究가 가진 限界를 指摘하며 登場하였다. 量的 硏究는 人間의 合理性을 前提로 現象의 因果關係를 把握하려 한다. 質的 硏究는 合理性에 對한 疑懼心을 提起하며, 果然 한 가지의 因果關係로 現象을 完璧하게 說明할 수 있을 지를 指摘한다. 質的 硏究의 目的은 社會 構成員이 社會的 行爲에 對해 形成한 象徵的 意味 體系를 把握하여 社會 構成員의 觀點으로 社會 現象의 脈絡을 理解하는 것이다. 이는 現象學的 接近法이라 불리며 質的 硏究 方法의 全般을 構成한다. 現象學的 接近法은 原理와 實在가 다름을 前提로 한다.

區分 質的 硏究 量的 硏究
社會的 實在 社會 構成員이 만들어 나간다. 社會的 實在는 客觀的으로 하나가 存在한다.
强調點 社會 現象의 脈絡, 總體的 接近 社會 現象의 一般化
硏究의 目的 社會現象의 意味와 象徵 發見을 통해 새로운 理論을 開發하는 것 因果關係 理解를 통해 社會 現象을 單純化하고 假說을 檢證하는 것

硏究 節次 [ 編輯 ]

Field Work
  1. 硏究 主題 選定
  2. 標本 抽出, 現場 選擇
  3. 資料 蒐集과 分析
Desk Work
  1. 深層 分析
  2. 報告書 作成

硏究 節次의 特徵은 節次가 順次的이지 않다는 것에 있다. 順次的 알고리즘을 따르는 量的 硏究 節次와는 달리 質的 硏究 節次는 언제든지 移轉 節次로 돌아갈 수 있다. 이를 통해 硏究者들은 硏究의 方向性에 對해 恒常 換氣해 볼 수 있으며 資料 分析에 따라 硏究 以前에 내린 暫定的 結論을 修正할 수도 있다.(열린 家庭)

種類 [ 編輯 ]

具體的인 質的 硏究 方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以外에도 다른 硏究方法들이 있으며, 새로운 方法들이 繼續 試圖되고 있다.

한 사람의 生涯를 硏究하여 그 사람이 가진 獨特性이 어떠한 詩時點을 갖는지 찾는 것이 目的인 硏究이다. 生涯史 硏究의 特徵으로는 再構成이 있는데, 이는 對象者의 이야기를 듣고 난 後 硏究者가 基準에 따라 이야기를 順次的으로 構成하는 것을 意味한다. 再構成火 以後 硏究者는 반드시 對象者가 再構成을 어떻게 받아들이는 지 檢討해야하며 이 過程에서 對象者는 自身의 生에 對해 洞察해 볼 수 있다. 또한 再構成火 過程에서 硏究者는 對象者의 脈絡情報와 狀況情報를 把握해야 한다. 다른 質的 硏究論과는 다르게 生涯史 硏究는 客觀的인 立場을 크게 强調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硏究者가 對象者의 經驗을 共有하기 위해서는 서로 連帶(rapport)가 形成되어야 하는데 이 時點에서 硏究者의 客觀性은 維持되지 않는다.

旣存理論을 통해 새로운 理論을 開發하는 것이 硏究의 目的이다. 根據 理論은 다른 質的 方法論과는 달리 어느 程度 硏究의 方向이나 資料 蒐集 方法이 定해져 있다. 根據理論 硏究 過程 中 硏究者는 始作點을 이루는 旣存 理論을 資料 解釋에 얼마나 反映할 것인지를 定해야 한다.

Glaser
先行理論은 새로운 理論 開發에 妨害가 된다.
Strauss & Corbin
先行理論은 새로운 理論에 對한 硏究를 위해 有用한 分析 道具가 될 수 있다.

根據 理論 硏究가 새로운 理論을 開發할 때는 經驗 資料를 對象으로 하며, 理論化 作業을 거치는데 이는 經驗 資料에 對한 코딩(coding)을 통해 이루어진다. 코딩은 硏究 對象인 經驗資料(懸賞)를 槪念化하고(하위범주) 그 槪念을 範疇(上位範疇)로 묶는 過程 全體를 가리킨다. 코딩은 人間인 硏究者가 進行하는 것이기 때문에 主觀이나 偏見이 介入될 可能性이 있다. 이를 막기 위해 여러名의 硏究者가 事前에 定한 코딩 形式에 따라 코딩을 하여 그 結果를 共有한다. 또한 코딩 完了 後 코딩을 整理하는 理論化 過程 中에 問題가 發生할 수도 있다. 코딩은 現象에 對한 言語的 表現으로서 그 現象을 限定짓는 過程이기에 實際 現象에 對한 誤解를 일으킬 수 있다. 硏究者들은 經驗資料(懸賞)의 構成員이 되는 사람들의 말로 直接 코딩하는 方法(in vivo code)을 통해 이를 解決할 수 있다. 單, 濫用하면 理論化를 進行하기 힘들고 他硏究者들이 理解할 수 없는 部分이 생기기도 한다.

인터뷰 다음으로 많이 使用되는 質的 硏究 方法이지만 體系的으로 完成되어 있지 않은 硏究 方法이기게 量的 方法論과 竝行된거나 多角化를 통해 欠缺을 補充하려 한다. 事例硏究의 對象은 主로 統制 不可한 現象이나 狀況이다. 事例硏究의 種類)說明的 硏究, 技術的 硏究, 因果關係 硏究, 探索的 硏究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