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인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中인 (中人, 中世 韓國語 : 듀ㅇㅿㅣㄴ )은 朝鮮 時代에 兩班과 常民 사이에 있던 身分階層의 하나이다.

이름 [ 編輯 ]

이들의 身分은 兩班과 常民 사이에 놓여 있어 社會的인 中間 位置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서울 中央에 居住하고 있었기 때문에 中人이라는 名稱이 붙여졌다.

開設 [ 編輯 ]

主로 技術職이나 事務職에 從事하던 벼슬아치로서, 議官(醫官), 鄕吏(鄕吏), 서리(胥吏, 흔히 衙前), 庶弟(書題), 土官(土官, 土豪를 위한 特別 官職), 軍校(軍校, 群舞를 보는 管理), 驛吏(驛吏, 譯官), 繫辭(計士; 會計 管理), 陰陽館(陰陽官) 및 諏吉官(諏吉官, 吉日을 가리는 管理), 花園(?員, 圖畫署 의 雜職. 畫家), 四子管(寫字官, 文書를 正書하는 官吏) 等의 下級管理 [1] , 觀象監元(觀象監員), 檢律(檢律) 等의 技術官을 世襲하면서 하나의 특수한 身分 階層을 이루게 되었다. 또한 京外(京外) 文武官廳에서 實務를 보는 下級 官吏 및 庶孼도 廣範한 意味에서 中人 身分으로 看做할 수 있는바, 이들의 地位는 大槪 固定되어 一般的으로 그 向上을 圖謀할 길이 막혀 있었다. 이 가운데 議員, 譯官, 繫辭, 陰陽館(諏吉官)은 過去( 雜科 )를 통해 官職에 들어서므로 中인 가운데 지체가 높은 便이며, 特히 議員과 譯官을 가장 높이 친다.

그러나 이들 特殊 技術官이나 文武의 下級 官吏들은 所屬 官衙나 文武 高官에 睿宗(?從)되어 技術과 實務를 擔當했으므로 實際的인 利得을 取하고 그 나름의 社會的 組織을 통해 行世를 할 수도 있었다. 譯官이나 觀象監元 等이 明에 派遣되는 使臣을 遂行하여 貿易의 이(利)를 볼 수 있었던 것도 그 例이며, 또한 地方의 鄕里가 土着的인 勢力을 利用하여 守令을 操縱·弄奸하거나 全權(專權)·作弊(作弊)하는 일도 많았던 것이다.

近代에 들어오면서 身分上昇한 常民이나 賤民 出身들과는 달리 系譜 意識에 있어서 傳統社會의 身分制를 拒否하는 態度가 注目된다. 卽 系譜를 造作하거나 旣存 系譜를 事實대로 繼承하는 中人들도 있었지만 族譜 編纂에 參與를 拒否, 오늘 날 族譜들을 보면 朝鮮 末期 中人들의 後孫 記錄이 19世紀 中盤 또는 後半에서 멈추는 樣相이 두드러진다.

有名 人士로는 (加那陀 順) 김득련, 김호경 (下級 官僚 出身 義兵將), 金弘道 (畫家), 박병수 (前 行政政治家), 방정환 (雜誌 어린이 發行人,童話作家), 방한덕, 變數, 오경석 (開化人士), 오세창 , 우경선, 우범선 (農學者 우장춘 의 先親), 우항情(初名 우항選), 유영대(筆名 白雲山 ), 유홍기(一名 劉大致 ), 이규성 (驛館 出身 義兵將), 이근배 (현대 自由 時調 詩人), 李鍾根 (基督敎 系派 獨立運動家), 장희재 ( 희빈 張氏 의 오빠), 정수동 (委巷 詩人), 최세진 , 烹한週, 懸鶉 , 홍원섭 (基督敎 系派 獨立運動家), 희빈 張氏 等이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강명관 (2004年 1月 5日). 《朝鮮의 뒷골목 風景》 初 12刷판. 서울: 푸른역사. 25쪽쪽. ISBN   89-87787-74-5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朝鮮 兩班社會의 成立〉" 項目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