長期戰 (오스만 戰爭)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長期戰
헝가리의 15年 戰爭
오스만-합스부르크 戰爭 의 一部

1596年 메初케레츠테스 戰鬪
날짜 1593年 7月 29日- 1606年 11月 11日
場所
結果 지트바토로크 火藥
交戰國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王國
신성 로마 제국 神聖 로마 帝國

스페인 스페인
헝가리 왕국 헝가리 王國
[[파일:{{{國紀그림-1570}}}|22x20px|border |트란실바니아|링크=트란실바니아]] 트란실바니아 公國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王國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共和國
폴란드-리투아니아 폴란드-리투아니아 聯邦
[[파일:{{{國紀그림-1562}}}|22x20px|border |토스카나 大公國]] 토스카나 大公國
만토바 공국 만토바 公國
모데나 공국 페라라 公國
사보이아 공국 사보이아 公國
왈라키아 공국 왈라키아 公國

몰다비아 공국 몰다비아 公國

오스만 제국 오스만 帝國
노가이 칸국 노가이 칸國

크림 칸국 크림 칸國
指揮官

신성 로마 제국 루돌프 2歲
신성 로마 제국 오스트리아 大公
신성 로마 제국 지오르지오 바스타
만토바 공국 빈첸初 곤차가
스페인 카를 폰 만스펠트
[[파일:{{{國紀그림-1570}}}|22x20px|border |트란실바니아|링크=트란실바니아]] 조르조 바스타
[[파일:{{{國紀그림-1570}}}|22x20px|border |트란실바니아|링크=트란실바니아]] 이스타半 보크사이
오스만 제국 스타리나 노바크

몰다비아 공국왈라키아 공국 용담공 미카엘

오스만 제국 무라트 3歲
오스만 제국 메흐메트 3歲
오스만 제국 아흐메트 1歲
오스만 제국 코車 시난 파샤
오스만 제국 트리야키 하산
오스만 제국 다마트 이브라힘
오스만 제국 라라 메흐메트

오스만 제국 텔리 하산 파샤
兵力
95,000 [1] [2] 160,000?180,000 [1] [2]

長期戰 (長期戰, Long War) 或은 15年 戰爭 (十五年 戰爭, 1591年 또는 1593年 - 1604年 또는 1606年)은 某하치 戰鬪 以後 합스부르크 君主國 오스만 帝國 사이에서 벌어진 수많은 戰爭 中 하나이다. 1591年부터 繼續된 小規模 接戰 以後, 1593年 7月 29日, 시난 파샤 (Sinan Pasha, 1506-1596)가 이끄는 오스만軍은 합스부르크 君主國을 相對로 軍事 全域을 始作했다. 오스만은 죄르 (Gy?r; 튀르키예어 : Yanıkkale )와 코마롬 (Komarom; 튀르키예어 : Komaron )을 占領했다.

1595年, 敎皇 클레멘스 8歲 (Pope Clement VIII, 1536-1605)는 투르크에 맞서 基督敎 同盟을 結成했다. 神聖로마帝國의 루돌프 2歲 (Rudolf II, 1552-1612), 트란실바니아의 지그몬드 바토리 (Zsigmond Bathory, 1572-1613)는 프라하에서 同盟 協定에 署名했다. 몰다비아 의 아론 보더(Aron Vod?), 왈라키아의 미하이 비테아줄 (Mihai Viteazul, 1558-1601)도 同盟에 參加했다.

오스만 帝國의 目標는 합스부르크가의 首都인 (Wien)을 占領하는 것이었고, 합스부르크 君主國의 目標는 오스만 帝國이 占領하고 있는 헝가리 王國 中心部를 占領하는 것이었다.

도나우江 (Danube River) 統制와 그 곳에 位置한 要塞들을 차지하는 것이 重要했다. 戰爭은 主로 로얄 헝가리(現 헝가리 西部, 슬로바키아 南部), 트란스다뉴非我 (Transdanubia), 루멜리아 (Rumelia; 現 불가리아 , 세르비아 ), 왈라키아(現 루마니아 南部)에서 치러졌다.

1595年, 同盟軍은 죄르 (Gy?r), 에스테르곰 (Esztergom), 비셰그라드 (Visegrad), 도나우 江에 位置한 戰略的 要塞들을 占領했지만 정작 重要한 要塞인 부다 (Buda)는 攻擊할 엄두도 내지 못했다. 오스만은 에게르 (Eger) 攻城戰에 나서 1596年 攻掠했다.

1594年 가을, 미하이 勇敢공 (Michael the Brave)은 東쪽 戰線에서 투르크와의 戰爭을 始作했고 도나우 江에 位置한 지우르지우 (Giurgiu), 브러일라 (Br?ila), 虛르쇼바 (Har?ova), 실리스트라 (Silistra) 等을 占領했다. 그동안 몰다비아軍은 이아시 (Ia?i)와 몰도바(Moldova) 營內에서 투르크軍을 물리쳤다. [3] 미하이 勇敢功은 오스만 領內 더욱 깊숙한 곳으로 進擊해 니코폴리스 (Nicopolis), 리브니크(Ribnic)과 실리아(Chilia) [4] 等을 占領했고, 아드리아노플(Adrianople; 에디르네(Edirne)) 附近까지 이르렀다. [5] . 한때 그의 軍隊는 콘스탄티노플 (Constantinople; 이스탄불(Istanbul))에서 24km 밖에 안되는 地點에 이르기도 했다.

戰爭은 오스만軍과 왈라키아群 사이에서 벌어진 가장 重要한 戰鬪 中 하나인 칼루가레니 戰鬪 (Battle of C?lug?reni)와 함께 繼續되었다. 戰鬪는 왈라키아가 勝利했지만 미하이 勇敢功은 後退할 수밖에 없었고 同盟軍의 支援(트란실바니아軍과 오스트리아軍)을 기다린다. 오스만과 왈라키아 사이의 戰爭은 미하이 勇敢공이 同盟軍 支援의 不在로 더 以上 戰爭을 遂行할 수 없었던 1599年 末까지 繼續되었다. 1599年 末, 오스만과 왈라키아 사이에 條約이 締結되었다.

戰爭의 轉換點은 1596年 10月 24-26日 헝가리 領土內에서 벌어진 케레츠테스 戰鬪 (Battle of Keresztes)였다. 45,000-50,000名에 達하는 합스부르크 - 트란실바니아 聯合軍은 오스만軍에게 敗北했다. 오스만은 戰鬪에서 勝利했지만 西洋群 武器의 優越性을 實感했다. 이 戰鬪는 某하치 戰鬪 以後 처음으로 基督敎 聯合軍과 오스만軍이 中유럽에서 맞붙은 重要한 戰鬪였다. 이 戰鬪로 아무리 많은 數의 西洋 軍隊도 野戰에선 오스만君을 當해낼 수 없다는 것이 證明되었다. 케레츠테스 戰鬪로 同盟軍은 戰略的 目標를 達成할 수 없었고 戰爭은 要塞의 奪還과 再奪還을 反復하는 中規模 戰爭으로 바뀌었다.

戰爭의 마지막 局面(1604-1606), 트란실바니아의 이슈트半 보츠카이 (Istvan Bocskai, 1557-1606)는 합스부르크에 맞서 蜂起를 일으켰다. 봉기는 로얄 헝가리의 貴族들과 오스만의 支援을 받았다. 蜂起의 目標는 합스부르크로부터 헝가리의 自由를 保障받는 것 外에 합스부르크가 오스만과 平和 條約을 맺도록 하는 것도 包含되었다. 戰爭은 어떠한 成果도 없이 헝가리와 트란실바니아를 荒廢化시키고 있었다.

1606年 11月 11日, 戰爭은 지트바토로크 火藥 (Peace of Zsitvatorok)으로 끝을 맺었다. 條約으로 합스부르크는 오스만 帝國이 自國 領內로 進擊하는 것을 막았는데, 이는 오스만이 처음으로 地政學的 敗北를 當했다는 것을 意味한다. 한便, 條約으로 합스부르크와 오스만 帝國 사이의 國境이 確固해졌다. 헝가리 解放은 半世紀 동안 議題에서 排除되었다.

基督敎 國家들이 戰爭 中에 얻은 敎訓들 中 가장 重要한 것은 主要 野戰에서의 勝利없이는 長期的 戰爭에서 오스만을 이길 수 없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 戰爭을 통해 基督敎 國家들은 自身들의 軍隊가 오스만의 軍事力과 거의 對等하다는 것을 確認할 수 있었다.

各州 [ 編輯 ]

  1. Ervin Liptai: Magyarorszag hadtortenete I. 1984. ISBN   963-326-337-9
  2. Zsigmond Pach: Magyarorszag tortenete 1526?1686, 1985. ISBN   963-05-0929-6
  3. Giurescu, Constantin C., Istoria Romanilor. Bucharest: Editura All, 2007 (Romanian), p. 183.
  4. Coln, Emporungen so sich in Konigereich Ungarn, auch in Siebenburgen Moldau, in der der bergischen Walachay und anderen Oerten zugetragen haben, 1596
  5. Marco Venier, correspondance with the Doge of Venice, 16 July, 1595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