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日本의 大學 入試 制度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日本의 大學 入試 制度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日本의 大學 入試 制度 의 核心은 大學入試센터試驗 科 大學別 本考査이다. 大學入試센터試驗은 6個 敎科에서 32個 科目을 開設하고 있고, 大學에서 自身들의 專攻과 關聯된 敎科를 事前에 指定하여 그 大學에 入學하려면 專攻者들이 大學에서 指定한 敎科를 應試하도록 하고 있다. 이 試驗은 總點에 依하여 選拔하는 것을 止揚하면서, 이 試驗의 利用 與否와 利用 方法은 大學의 自律에 맡긴다. 現在 日本 의 國公立大學 全體와 私立大學 一部가 大學入試센터試驗을 利用하고 있다. [1]

大學別 告詞는 大學別로 치르는 學力試驗, 小論文, 面接 等이 있으며, 各 大學은 大學入試센터試驗과 大學別 考査를 綜合하여 學生을 選拔하고 있다. 이밖에도 推薦 入學, 特技生 銓衡, 附屬高等學校로부터 入學, 職場人을 위한 特別 銓衡 等을 다양하게 實施한다. [1]

日本의 入試는 大韓民國의 大學 入試 制度 와 비슷한 點이 많다. 오래 前부터 學歷의 取得이 社會的 身分 上昇의 가장 重要한 手段으로 役割했던 學歷主義 國家 日本에서 大學 入試가 '試驗地獄'이라는 말을 낳을 만큼 大學 入試 競爭이 熾烈하여 社會 問題가 되고 있다는 事實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처음부터 日本의 大學 入試가 社會 問題였던 것은 아니다. 戰爭 以前에는 大入 競爭보다 高入 競爭이 熾烈하였다. 第2次 世界 大戰 敗戰 後 美國 의 占領 下에서 '民主化'는 旗幟 아래 敎育을 改革한 日本은 中·高等敎育을 받을 機會가 開放되면서 中·高等學校 進學率이 增加하기 始作하였다. 그로 인하여 大學 進學을 希望하는 受驗生의 數가 急激히 增加하여 끝내 大學의 收容 能力을 上廻해버렸고, 이는 熾烈한 入試 競爭으로 이어졌다. [1]

變遷史 [1] [2] [ 編輯 ]

메이지 維新期 [ 編輯 ]

整備되지 않은 中等敎育 [ 編輯 ]

日本 最初 大學인 도쿄대학 (그때는 帝國大學)李 設立된 것은 1877年 메이지 維新 期였다. 다른 制度와 마찬가지로 大入 亦是 유럽 의 制度를 본따 設計하였다. 그러나 當時 유럽의 大學이 高等學校 卒業資格 試驗을 合格한 사람에게 自動的으로 入學을 할 수 있도록 許可한 데 反해 日本 大學은 그런 入試 典型을 그다지 重要視하지 않았는데, 메이지 維新 以前 日本에는 大學은 勿論이고 멀쩡한 中等學校조차 거의 없었기 때문이었다. 中等敎育制度가 整備되지 않은 판에 유럽처럼 高等學校 卒業 資格을 지닌 사람을 大學에 입학시킬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卽, 中等學校의 卒業 與否가 大學에서의 專門的인 敎育을 받을 수 있을 만큼 基礎學力을 가졌다는 判別基準이 될 수가 없었던 것 이다.

高等學校 設立과 無試驗 入學 [ 編輯 ]

그러므로 初期 日本 大學은 獨自的으로 마련한 試驗을 통해서 受驗生의 學歷을 評價해야만 했다. 게다가 日本에서 大學의 社會的 役割은 '國家 發展을 이끌 專門人力 養成'이었기 때문에 中等學校 卒業資格만으로는 專門敎育을 받을 수 있다고 보기 어려웠다. 이런 狀況에서 日本에서는 漸次 中等學校와 大學校 사이에서, 中等學校의 敎育水準보다는 水準이 높은 敎育을 통해 大學의 專門敎育을 받을 만큼 基礎 學歷을 키울 수 있는, 豫備學校 水準 敎育機關의 必要性이 높아졌다. 그리하여 高等學校 가, 第1高等學校부터 第5高等學校까지 5個 學校가 設立되었다. 이때 第1高等學校를 卒業한 學生들은 身分 上昇의 지름길인 도쿄 大學에 自動으로 入學할 수 있었다. 그래서 第2次 世界 大戰 以前의 日本에서는 大入 競爭보다 高等學校 入學 競爭이 훨씬 熾烈하였다.

入學試驗 再導入 [ 編輯 ]

그러다 다이쇼 時代 中盤에는 高等學校 數가 急激히 增加하여 도쿄대학의 無試驗 入學 制度가 廢止되면서 狀況은 다시 뒤바뀌었다. 高等學校가 여기저기 들어서면서 大學 進學 希望者가 늘어났고, 成功이 保障된다고 여겨지는 特定 大學과 學部에 對한 進學 競爭을 불러오면서, 結局 高等學校 卒業者에게도 入學試驗을 要求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이때까지 日本 大入에서는 學力試驗이 가장 重要했지만, 모든 高等敎育機關이 學力試驗으로 入學生을 選拔한 것은 아니었다. 社會的으로 權威가 낮은 高等敎育機關은 高等學校 卒業者에게도 無試驗으로 入學을 시키는 境遇가 적지 않았다. 女子專門學校는 高等女子學校長의 推薦으로 入學生을 選拔하기도 하였다.

第2次 世界 大戰 以後 ~ 1960年代 末 [ 編輯 ]

戰爭이 끝나고 敎育 改革에 發動이 걸리면서 大入에 다양한 銓衡이 導入되었는데, 바로 高等學校 在學 中 成跡(調査書), 進學適性檢査, 入學試驗을 典型으로 活用한 方法 이다. 이는 美軍이 가장 理想的이라 생각하는 銓衡 方法으로, 受驗生의 學歷을 무엇보다 重要視했던 日本 社會에는 그 衝擊이 더욱 컸다. 調査書로는 過去의 學歷을, 進學適性檢査로는 未來의 學歷을, 入學試驗으로는 現在의 學歷을 묻는다는 意味에서 이 3가지 要素를 綜合的으로 評價하는 典型은 合理的이고 公平하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進學適性檢査는 1947年에서 1954年까지 實施된 後 廢止되었다. 大學 側이 進學適性檢査보다는 調査書와 入學試驗을 重視하고, 直學適性檢査를 다만 入學試驗의 受驗者 數를 制限하기 위한 手段으로만 使用했을뿐더러, 高等學校 側에서도 受驗生들에게 大學別로 實施하는 入學 試驗과 함께 負擔을 二重으로 주는 것이라는 批判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 後 中等敎育이 一般化되고 高等敎育이 大衆化되면서 大學 進學 競爭이 激化되었고, 大入 改革을 要求하는 輿論은 날로 커져만 갔다. 이때 改革을 위한 硏究가 둘 進行되었는데, '모든 大學이 共通으로 利用할 수 있는, 國家 水準에서의 標準化된 試驗(共通試驗)' 開發과 함께, 入學生 先發 時 受驗生의 調査書를 重視하는 것이었다. 共通試驗 考案의 一環으로 進學適性試驗과 科目別 學力試驗이 開發 및 施行되었으나, 各 大學의 消極的 利用으로 1968年 廢止되었다.

1970年代 初~現在 [ 編輯 ]

1970年代에 들어서면서 國公立 大學을 中心으로 또다시 大入 改革의 움직임이 일어났다. 入學試驗을 2段階로 나누어, 1段階에서는 高等學校에서의 學業 成就度를 測定하는 共通試驗을, 2段階에서는 大學別 學力試驗을 치러 綜合하고 入學生을 選拔하자는 것이 核心이었다. 이 改革을 推進하기 위하여 1977年 大學入試센터가 創設되었다. 大學入試센터는 國公立大學의 入學生 選拔을 위해, 高等學校 敎育課程에 맞추어 第1段階 共通試驗에 出題할 問題를 開發, 採點하도록 하였다.

그렇게 해서 1979年 새로운 試驗 制度인 共通 第1次 學力試驗 [週 1] 이 實施되었다. 國公立大學을 志望하는 모든 學生은 5橋과 7科目 共通試驗에 應試해야 했다. 各 大學은 大學入試센터에서 通知하는 共通試驗 成跡과 2次 個別 學力試驗 成跡을 合하여 入學生을 選拔하였다. 이때 1次와 2次 試驗 成跡의 比率은 大學이 自律로 定했다.

그러나 共通 第1次 學力試驗의 結果, 모든 國公立 大學이 入學生들의 成績으로 序列化되고, 國立大學의 前·後期로 나뉜 試驗日이 廢止되면서 受驗生의 負擔이 加重되는 等 여러 問題가 發生하였다. 이에 1987年부터는 國立大學의 受驗 機會를 다시 복수화할 수 있도록 全 大學의 募集群을 둘로 나누어 第2次 試驗을 볼 수 있게 하고, 1989年부터는 모든 大學의 入學 定員을 전·후기로 나누어 選拔토록 하였다.

共通 第1次 學力試驗은 修正 및 變更을 거쳐 1990年부터 大學入試센터試驗 으로 命名, 現在까지 施行되고 있다.

大學入試센터試驗 [1] [ 編輯 ]

共通 第1次 學力試驗을 代替하고 1990年부터 只今까지 施行되고 있는 大學入試센터試驗은 '良質의 試驗問題를 確保하고, 高等學校 敎育課程 範圍 內에서 學生의 成就度를 評價하며, 各 大學에서의 다양하고 個性的인 選拔의 實現에 이바지하는 것'을 目的으로 하는 試驗이다. 修能 과 비슷하다. 國公立大學 全體와 私立大學 一部가 이를 活用하고 있다.

役割 [ 編輯 ]

  • 어려운 問項이나 異常한 問項 等을 排除한 良質의 問題 確保: 예전 大入 試驗에서는 高等學校 敎育課程을 벗어난 問項이 出題되는 일이 잦았으나 共通 第1次 學力試驗이 導入된 以後로는 高等學校 敎科 過程만 거쳐도 풀 수 있게 되었다.
  • 大學別 試驗과 適切한 調和를 통한 大學 入試의 多樣化·特性化: 大學入試센터試驗이 學歷을 代身 評價해주면서, 大學別 試驗은 小論文, 面接 等을 비롯한 學歷 以外의 資質을 測定함으로써 入試를 多樣化·個性化할 수 있게 되었다.
  • 私立大學의 大學入試센터試驗 利用을 통한 入試 改革: 大學入試센터試驗은 共通 第1次 學力試驗과는 달리 私立大學도 利用할 수가 있다. 이는 私立大學 入試에 큰 變化를 가져왔다.
  • 大學이 試驗敎科·科目을 자유롭게 選擇하여 大學 序列化 防止: 國公立大를 志望하는 受驗生들에게 一律的으로 5橋과 7科目을 보게 하는 共通 第1次 學力試驗은 大學 序列化를 惹起하였다. 그러나 大學入試센터試驗은 應試 科目을 大學이 指定하게 함으로써 大學 序列化를 防止할 수 있게 되었다.

運營 [ 編輯 ]

大學入試센터試驗은 이를 利用하는 國·空·私立 大學이 大學入試센터와 協力해서, 同一한 날 同一한 試驗問題로 共同 試驗을 實施한다. 大學入試센터의 役割은 다음과 같다.

  • 出題, 印刷, 輸送
  • 受驗 안내
  • 接受, 試驗場 指定, 受驗票 交付
  • 採點, 成績 集計
  • 試驗 成跡 等을 大學에 提供

試驗을 利用하는 大學의 役割은 다음과 같다.

  • 大學入試센터試驗의 利用 敎科와 科目 및 各 大學別 學力 檢査 豫告
  • 試驗場 選定, 試驗監督子 選出
  • 受驗 案內書 配付
  • 試驗 實施
  • 答案 整理, 大學入試센터에 搬送

出題 [ 編輯 ]

問題는 實際 出題되는 해의 2年 前부터 設計, 作成, 檢討된다. 各 大學의 敎授와 高等學校 敎師로 構成된 委員會가 大學入試센터에 數 次例 모여 計劃, 問題 作成, 檢討, 修正을 한다.

敎科目檢討委員會 [ 編輯 ]

大學入試센터試驗 科目으로 어떤 科目을 넣을 것인지는 試驗敎科·科目檢討委員會에서 決定한다. 大學 敎授로 이루어진 委員會는 各 敎科 擔當者나 責任者와 함께 敎科 內容과 變化를 硏究하고 包含 與否를 決定한다. 試驗 科目으로 選擇되는 科目은 大槪 敎育課程 上 必須 敎科目이다. 科目 選擇 後에는 選擇된 科目이 客觀式 試驗에 適合한지 檢討한다.

大學入試센터試驗 問題 出題 및 檢討를 위한 委員會 [ 編輯 ]

이 委員會의 下位 委員會로는 敎科科目 第1,2,3 委員會와 點檢 委員會 가 있다. 文體 出題委員과 檢討委員의 選定은 祕密이며, 委員 相互 間에도 祕密이다.

敎科科目 第1委員會 [ 編輯 ]

問題 出題는 大學 敎授, 助敎授, 講師로 構成된 敎科科目 第1委員會에서 擔當한다. 第1委員會는 다시 20個가 넘는 敎科科目委員會로 나뉜다. 各 敎科委員會는 平均 20名 程度로 構成된다. 出題委員은 各 大學의 總長 또는 學長의 同意를 받아 大學入試센터腸이 委囑하는데, 그 事實은 祕密에 부쳐진다. 出題委員에게는 昇進과 補修 等 特典이 주어지며, 任期는 2年이다. [週 2]

各 敎科科目委員會는 1個 또는 2個 科目의 本試驗 및 追加試驗 問題를 開發한다. 1年에 約 40日씩, 2年 동안 80日을 大學入試센터에 와서 出題한다. 平均 月 3, 4回 程度 모여서 出題한다고 할 수 있다.

問題는 반드시 出題委員 個人이 아니라 委員會 委員들의 合意 下에 出題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各 敎科別 出題 指針書가 마련되어 있다.

問題는 1年에 本試驗用, 追加試驗用, 問題가 發生했을 때를 對備한 非常用으로 總 3묶음을 開發한다. 各 묶음의 內容과 水準은 거의 비슷하다.

第2, 第3, 點檢委員會에서 發見된 誤謬는 第1委員會에서 2年 10回에 걸쳐 修正한다.

敎科科目 第2委員會, 第3委員會, 點檢委員會 [ 編輯 ]

第1委員會가 草案을 提出하면 大學 敎授와 助敎授, 講師로 構成된 第2, 第3 委員會가 檢討한다. 檢討委員은 任期를 마친 前年度 出題委員으로 構成된다. 亦是 祕密에 부쳐진다.

第2委員會는 敎科別 下位 委員會로 나뉘며, 各 委員會는 1個나 2個 科目 問題를 檢討한다. 檢討는 出題 2次 年度 1月에서 4月까지 한다. 誤謬가 發見되면 具體的 代案을 提示한다.

第3委員會는 特定 敎科에 限定되지 않고 모든 敎科를 統合해서 檢討한다. 問題 表現의 統一性, 한 科目에서 出題된 問題가 다른 科目 問題를 푸는 端緖로 作用하지 않는지 與否, 試驗 問題의 社會的 波長 等을 檢討하고, 難易度도 調整한다.

高等學校 敎師로 構成된 點檢委員會는 作成된 問題가 受驗生들에게 어느 程度로 어려운지 推測하고, 이 問題에 對한 平均 點數 等을 豫想한다. 問題가 敎育課程 內에 있는지도 檢討한다.

銓衡 [ 編輯 ]

受驗生은 志願 大學이 指定한 科目을 알아보고 希望 大學과 大學入試센터에 試驗 願書를 提出한다. 大學入試센터는 試驗 成跡을 各 大學에 通知한다. 大學에 따라 2次 試驗에 該當하는 大學別 試驗이 實施된다. 大學入試센터試驗 成跡과 大學別 試驗 成跡을 綜合하여 最終 入學生이 決定된다. 各 大學에서 大學入試센터試驗 成跡을 利用하는 方法은, 大學 自律이므로, 實로 다양하다. 다음과 같다.

  • 全部 다 反映
  • 庭園의 一部만 特定 敎科와 科目의 成績으로 選拔
  • 利用 敎科와 科目의 幅을 넓게 해서 受驗生 스스로 選擇
  • 大學의 獨自的 入學試驗에서 參考 資料로만 使用
  • 調査書와 大學入試센터試驗으로 1次 選拔하고 合格者에 한해 다시 面接 實施
  • 學部 專攻과 關聯있는 敎科 成跡과 大學別 試驗 成績으로 選拔
  • 庭園의 一部만 大學入試센터試驗과 大學別 試驗의 高得點 部分을 合格與否 判定에 利用
  • 推薦入學日 境遇, 一部 敎科의 成跡만을 利用하고 大學別 試驗으로 面接 實施

日程, 敎科, 科目 [ 編輯 ]

支援期間은 10月 中旬에서 下旬까지이다. 試驗은 原則的으로 1月의 세 番째 週 土曜日과 日曜日 兩日間 施行된다. 本試驗과 追加試驗으로 나뉘어 2回 實施되는데, 追加試驗은 특별한 事由로 本試驗을 볼 수 없었던 學生만 치를 수 있다.

試驗 敎科와 科目은 6橋과 32科目이고, 2002學年度부터 韓國語 가 追加되었다. 高等學校에서 履修하지 않은 科目도 選擇할 수 있다. 敎科는 다음과 같다.

  • 國語
  • 數學
  • 地理歷史
  • 外國語
  • 理科
  • 公民

國語와 數學은 各各 科目數와 履修 單位數가 다른 科目 여럿으로 나뉜다(이를테면 國語 I는 4單位이고, 國語 I·II는 8單位이다). 各 大學 學部는 任意로 科目을 選擇, 利用할 수 있고 科目別 配點比率까지도 大學이 定할 수 있다. 最近 國公立大學이 利用하는 敎科目 數는 普通 5橋과 6科目이다.

2日間 實施되는 試驗의 첫날은 外國語, 地理 歷史, 數學을 보고 둘째 날은 國語, 理科, 公民 試驗을 본다. 問題는 모두 客觀式 多支選擇型이다. 問項은 單純한 暗記爲主의 知識보다는 論理的인 思考力과 判斷力을 評價할 수 있게, 受驗生의 平均點 範圍는 60點이 되게 出題 方針이 定해져 있다. 그러나 實際 平均點은 55~65點이다.

個人別 點數는 入試가 끝나기 前까지는 受驗生에게 通知되지 않아서, 受驗生 스스로 自己採點에 依해 支援大學을 決定하여 申請한다. 大學入試센터는 受驗生이 應試한 大學에 受驗生의 點數를 通知한다.

大學別 試驗 [ 編輯 ]

銓衡 要素 [ 編輯 ]

大學入試센터試驗이 受驗生의 基本的 學歷을 測定해준다면 大學別 試驗은 學部나 學科에서 必要로 하는 適性과 能力을 測定한다. 大學別 試驗의 種類는 다음과 같다.

  • 綜合試驗: 一般的으로 學科試驗을 일컫는다. 論述 , 技術, 計算, 短答, 票 그리기, 그래프 作成 等, 主觀式으로 出題된다. 普通 2~3科目을 評價한다.
  • 小論文
  • 面接
  • 實技試驗: 音樂, 美術, 體育 敎科에서 實技 能力을 評價한다.
  • 듣기試驗: 英語 듣기 評價.

國公立大學과 學部는 面接과 小論文을 選好한다.

國公立大學 [ 編輯 ]

入試 方法은 私立大學이 國公立大學에 비해 더 다양하다. 문부성에서 入試의 多樣化를 勸奬함에도 不拘하고 國公立大學의 入試가 單純한 것은 社會的으로 國公立大學의 '公正性'에 거는 期待가 크기 때문이다.

入試 體系 [ 編輯 ]

1次 試驗에 該當하는 大學入試센터 試驗과 2次 試驗에 該當하는 個別試驗으로 決定된다. 2次 試驗은 '分離分割'이라고 하는 電氣·後期 日程과 一部 大學의 中企 日程에 依해 入學 定員을 나누어 實施한다. 受驗生에게는 機會가 總 3番 주어지는 셈이다. 國公立大學의 募集 人員은 10萬 名 程度로, 定員의 75%가 電氣 日程이다.

大學入試센터試驗 [ 編輯 ]

國公立大學은 5敎科를 賦課하는 大學과 學部가 가장 많고, 그 다음에 3橋과, 4橋과 巡이다. 普通 大學入試센터試驗의 比重이 2次試驗보다 크다. 이는 센터試驗이 合格 與否를 決定함을 뜻한다.

大學別 試驗 [ 編輯 ]

前期와 中期에서는 敎科別 學力試驗이 主를 이룬다. 後記 日程은 綜合問題, 論文, 面接 等이 大多數이다. 大學別 試驗을 치르지 않는 國公立大學度 많다.

私立大學 [ 編輯 ]

私立大學의 入試는 國公立大學보다 다양하다.

特徵 [ 編輯 ]

  • A-B-C 方式: 私立大學의 入試는 大學入試센터試驗 外에 2月에 치는 大學別 試驗이 있는 境遇가 많다. 主로 3敎科를 受驗生들에게 賦課한다. [週 3] 그러나 入學定員의 富에 對해서는 敎科數를 줄여 試驗을 賦課하거나 小論文을 實施하기도 한다. 그래서 3敎科를 보는 試驗을 A型이라고 했을 때, 그 外의 試驗 方式은 B, C 等으로 부르게 된다. 이러한 入試 方式은 受驗生에게 自身의 學力 程度와 特性에 맞는 入試 方法을 選擇하도록 하는 長點이 있다.
  • 大學入試센터試驗: 이를 入試에 反映하는 私立大學의 數가 漸漸 늘고 있는 趨勢이다. 이 成跡만으로 合格 與否를 결정짓는 大學도 많다. 와세다 大學 , 中央大學, 메이지 大學 等 主要 私立 大學은 文科系列에서도 理科쪽 科目을 試驗科目에 包含시키기도 한다.
  • 試驗日 自由選擇第: 同一 大學의 學部들이 入試日을 나누어 實施하기 때문에 受驗生은 自身에게 適當한 入試日을 選擇할 수 있다. 따라서 受驗生은 自身이 願하는 學部에 支援할 機會를 여러 番 얻는다.
  • 3月 入試: 私立大學의 入試는 主로 2月에 있는데, 入學 定員을 分割해 3月에 入試를 實施하기도 한다. 이때는 거의 모든 大學의 入試가 끝난 狀態이기 때문에 不合格한 受驗生들이 많이 몰려 競爭이 매우 熾烈하다.
  • 地方 試驗: 大學 所在地가 아닌 地方에서 試驗을 實施하는 制度이다. 受驗生이 直接 大學까지 가야 하는 수고를 덜어 도움이 된다.

기타 [ 編輯 ]

21C 프로그램 [ 編輯 ]

규슈大學 이 2001年度부터 始作한 敎育 프로그램을 말한다. 다

,

推薦 入學 [ 編輯 ]

推薦 入學을 통한 入學生은 私立大學은 勿論 國公立大學에서도 해마다 增加하고 있다. 大學에서 指定하는 高等學校의 推薦을 통해 學生을 選拔하는 '指定交際 推薦'과 大學에서 規定한 基準에 符合하면 누구라도 應募할 수 있는 '公募制 推薦'으로 나뉜다. 再修生은 推薦 入學을 할 수 없다.

指定交際 推薦 [ 編輯 ]

大學에서 指定하는 高等學校는 一般的으로 過去 各 學部別 合格者 排出 實績과 地域的 特性 等을 考慮하여 決定된다. 指定高等學校의 推薦을 받은 學生은 특별한 事由가 없는 限 大部分 合格이 된다.

公募制 推薦 [ 編輯 ]

大學이 規定한 基準은 普通 高等學校 卒業 年度와 高等學校 成跡 平均値이다. 一般 推薦, 自己 推薦, 特別 推薦으로 나뉜다. 一般 推薦은 出身 高等學校腸이 推薦하는 것이며, 國公立大學 大部分이 實施하는 公募制 推薦이다. 自己 推薦은 一般 試驗을 통해서는 測定할 수 없는 能力을 가진 學生에게 入學 機會를 주기 위한 것으로, 擔任 先生님이나 受驗生을 잘 알고 있는 指導敎師의 評價서, 調査서 等을 提出해야 한다. 特別 推薦은 스포츠, 文化 活動, 社會 自願奉仕 等에서 頭角을 나타낸 學生, 特定 分野에 뛰어난 재주가 있는 學生, 各種 資格證이나 機能을 取得한 學生을 對象으로 하는 推薦이다.

大學附屬高等學校 卒業者 [ 編輯 ]

一旦 附屬高等學校에 入學만 하면 無試驗으로 大學入學을 할 수 있다. 一名 '에스컬레이터校'라고도 불린다. 해마다 進學 希望者의 數가 늘고 있다. 幼稚園 段階에서부터 附屬學校를 두는 大學도 있다. 獨自的 選拔 制度로 有名한 私立 大學이나 女子 大學이 이런 典型으로 選拔을 한다.

같이 보기 [ 編輯 ]

註解 [ 編輯 ]

  1. 第2次 試驗은 大學別로 보는 個別 學力試驗이다.
  2. 出題委員의 任期가 2年인 것은 各 委員의 다양한 觀點이 問題에 反映되게끔 하는 長點이 있다. 例를 들어 2002學年度 大學入試센터試驗의 問題는 2000年, 2001年 4月에 任命된 出題委員들이 낸다.
  3. 3橋과 試驗을 實施하여 그 中 高得點 2科目으로 合格 與否를 判定하는 '高得點 2科目 重視 方式'을 實施하는 學校도 있다.

各州 [ 編輯 ]

  1. 日本, 中國, 臺灣 大學 入試 制度 硏究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 김주훈, 설현수, 韓國敎育課程評價院
  2. 天野郁夫. 日本の敎育システム. 東京: 東京大學出版會.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