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이집트-시리아 遠征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이집트-시리아 遠征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이집트 遠征 에서 넘어옴)

이집트-시리아 遠征
프랑스 革命 戰爭 의 一部

피라미드 戰鬪
날짜 1798年 7月 1日~1801年 9月 2日
場所
結果

英國-오스만君의 勝利

交戰國

오스만 제국 오스만 帝國

영국 그레이트브리튼 王國 ( 1800年까지 )

영국 英國 ( 1801 )
프랑스 프랑스 第1共和國
指揮官

오스만 제국 셀림 3歲
오스만 제국 유수프 지野위딘
오스만 제국 무함마드 알리
오스만 제국 무스타파 파샤
오스만 제국 者자르 파샤
오스만 제국 압둘라 파샤 알아즘
오스만 제국 무라드 베이
오스만 제국 이브라힘 베이
오스만 제국 壓달라 베이
오스만 제국 하임 파르히
영국 랄프 아베크롬비 틀:DOW
영국 고든 드러먼드
영국 새뮤얼 그레이엄
영국 존 무어
영국 로지 램지
영국 존 헬리허친슨
영국 윌리엄 베레스포드
영국 시드니 스미스
영국 虛레이쇼 넬슨

영국 안토닌 드 펠리抛

프랑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프랑스 章바티스트 클레베르  
프랑스 토마알렉상드르 뒤마
프랑스 자크 프랑수아 므누   항복
프랑스 張 란
프랑스 루이 샤를 앙투안 드制
프랑스 組아킴 뮈라
프랑스 루이 니콜라 다부
프랑스 안 張 마리 르네 새버리
프랑스 腸앙투안 베르디에
프랑스 章바티스트 베시에르
프랑스 프랑수아 폴 드 브뤼에  
프랑스 피에르 빌뇌브
프랑스 앙투안 샤를 루이 드 라살
프랑스 外製 드 步아르네

프랑스 루이 보나파르트

이집트-시리아 遠征 (Campaign in Egypt and Syria)은 1798年 부터 1801年 까지 프랑스 軍隊가 이집트 , 시리아 로 遠征을 했던 戰爭이다. 簡單히 이집트 遠征 ( 프랑스語 : Expedition d' Egypte )이라 하며, 東方 遠征 이라고도 한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가 이끄는 5萬名의 프랑스軍은 몰타 를 통해,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近處에 到着했다. 途中 나폴레옹의 歸還 後, 約 3年間에 걸쳐 맘루크 軍隊와 地方의 여러 勢力, 英國軍, 그리고 以後 戰爭을 宣布한 이집트, 시리아를 間接 支配하는 오스만 帝國 의 正規軍과도 싸웠다.

背景 [ 編輯 ]

나폴레옹이 이집트 로 遠征하게 된 것은 大陸 制霸를 하려는 프랑스 에게 바다 건너 便에 있어 손을 대지 못하고 있는 이른바 눈의 가시였던 英國을 牽制하기 위해서였다. 印度 에 重要한 植民地를 가진 英國은 植民地와 本國의 連絡을 取하기 위해 이집트를 經由했다. 따라서 이집트를 빼앗는 것은 英國 本國과 印度 植民地, 또한 印度와 地中海 의 關係를 끊을 수 있으며, 이렇게 된 以上 印度의 植民地 奪取와 連結된 戰略的으로 軍事行動이었다.

한便 이집트는 300年間 오스만 帝國의 統治 下에 있었지만, 오랜 支配 期間 持續되어 온 이스탄불 帝國 政府의 支配力은 衰退하고 있었으며, 이집트는 州知事로서 24個로 나뉜 株를 支配하는 맘루크 의 有力者 파샤가 事實上 左之右之하고 있었다. 카프카스의 體루케스인 等의 非아랍系의 白人 奴隸로 構成된 맘루크는 奴隸 戰士로 이집트로 데려 온 傭兵이었지만, 土着하여 콥트人 等 이집트 原住民을 地下는 勢力을 갖게 되었다. 프랑스는 이 맘루크 支配에서 이집트의 民衆을 解放시키고, 友邦인 오스만 帝國의 正統的인 支配를 돕는다는 名分을 내세우고 이집트를 侵攻하게 되었다.

經過 [ 編輯 ]

피라미드 戰鬪
《自派에서 페스트 患者를 病問安하는 나폴레옹》, 앙투안腸 그로

1798年 7月 3日, 아부 킬 港口에서 이집트에 上陸한 프랑스軍은 다음날에는 地中海안의 가장 重要한 都市 알렉산드리아 를 占領했다. 그들은 이집트의 首都 카이로 에 最短 거리로 가기 위해 沙漠 한가운데를 行軍하여 카이로에 肉薄하여, 7月 21日 마침내 到着한 카이로 近郊 나일江 邊 마을 에무바베에서 기다리고 있던 이집트 맘루크 軍隊를 擊破했다.

3大 피라미드 있는 記者에서 不過 15 km 떨어진 이 地域에서 피라미드 를 바라보면서 戰鬪가 進行되었기 때문에 “ 피라미드 戰鬪 ”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이 戰鬪에서 華麗한 衣裳으로 몸을 감싸고, 목도리를 껴입고 엄청난 速度로 말을 몰고 다가오는 中世를 彷彿케 하는 맘루크 技士에게 銃劍을 裝着한 步兵을 中心으로 防塵 隊形을 이룬 現代的인 프랑스軍이 壓勝을 거두었다. 맘루크의 突擊은 프랑스軍의 日帝 射擊 앞에 銃劍으로 다져진 防塵 戰列을 뚫지못하여 完敗했고 프랑스軍은 塹壕를 瞬息間에 突破하여 이집트軍을 殲滅했다.

戰鬪가 너무 가까운 거리에서 벌어졌기 때문에 “敵의 옷이 我軍의 總 發火 裝置에 걸려서 敵의 옷에 불이 붙었다. 우리가 짠 防塵 周圍에는 敵의 屍體가 겹겹이 불탔다”라고 從軍 兵士가 말했다. 1,500基의 맘루크를 壞滅시켰던 激戰이었음에도 不拘하고 프랑스軍의 死傷者는 不過 數十 名에 不過했다.

피라미드 戰鬪에서 勝利한 프랑스軍이 南珍하자 다음 날 카이로 市內는 프랑스 軍隊에 降伏했다. 7月 25日, 나폴레옹은 카이로에 入城했고, 到着에서 不過 3週 만에 이집트 征服을 거의 끝냈다. 그러나 이집트를 빼앗긴 模樣새가 된 오스만 帝國은 當然히 프랑스에 對해 宣戰 布告를 하고 第2次 大프랑스 同盟 에 加入하여, 카이로를 征服한 지 不過 1週日 後인 8月 1日에 호레이쇼 넬슨 이 이끄는 地中海 艦隊 가 아부 龍骨을 지키고 있던 프랑스 艦隊를 殲滅 ( 나일 海戰 )하여, 프랑스軍의 普及과 退路를 끊었다. 또한 上部 이집트(이집트 南部)에서는 카이로에서 逃亡친 맘루크가 다시 勢力을 모아 抵抗을 繼續하고 있었다. 프랑스軍과 카이로 市民들 等 이집트人들과의 關係도 解放者와 被害房子의 關係가 될 수 없었으며 카이로에 入城한 지 不過 3個月 뒤인 10月 21日에는 카이로에서 暴動이 일어나 프랑스 兵士 300名이 群衆에 依해 殺害되었고, 이집트 사람도 2,500名 以上이 죽었다. 叛亂을 鎭壓하기 위해 아즈下 모스크 等 宗敎 施設을 攻擊한 것도 이집트人의 反感을 높이는 契機가 되었다.

프랑스軍은 上部 이집트 를 平定하기 위해 別動隊를 派遣하는 한便, 오스만 君을 擊退하기 위해 시리아 地域으로 北進하여, 다음 해 1799年에 팔레스타인에 들어가 욥바 를 占領( 욥바 攻防戰 ) 했지만, 아카( 아코 )의 攻掠에 失敗하여 撤收했다( 아코 攻防戰 ). 이 때 욥바의 프랑스軍 內에서 傳染病이 돌자 나폴레옹은 많은 傳染病 患者를 放置하여 죽였다는 非難을 현대 歷史家들에게 받게된다. 一說에는 阿片 을 주어 安樂死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폴레옹 自身도 나중에 그 責任을 물을 것을 생각을 하고, 當時는 만질 수조차 꺼려하는 傳染病 患者에게 直接 病問安 그림을 그리게 한다. 그것이 有名한 ‘自派의 페스트 患者를 病問安한 나폴레옹’이다.

그 무렵 프랑스 本國에서도 英國, 오스트리아가 프랑스에 對한 攻擊을 再開했다. 나폴레옹은 繼續的인 오리엔트 攻掠을 抛棄하고 프랑스로 돌아갈 것을 決意했다. 아부키르 戰鬪 에서 오스만君을 擊退한 뒤 8月 22日, 나폴레옹은 몇 名의 側近과 함께 몰래 이집트를 脫出했고, 以後 많은 兵士들이 普及이 끊겨 現地人의 抵抗과 傳染病 속에 放置되었다. 나폴레옹이 脫出한 後 드제 가 이끄는 이집트 別動隊는 맘루크 首長 무라드 베이 에게 降伏을 받는데는 成功했지만, 指揮官이 없는 프랑스軍은 이미 英國과 오스만 帝國의 攻勢에 힘겹게 抵抗을 繼續하는 것이 고작이었다. 1801年 2年 間에 걸친 戰鬪 끝에 生存한 15,000名의 프랑스軍은 英國과 오스만 帝國에 降伏을 한 뒤 프랑스로 歸國했다.

學術的 業績 [ 編輯 ]

로제타 스톤

나폴레옹은 이집트 遠征에서 167名의 科學者와 建築 技術者로 構成된 學術調査團을 同行시켰다. 數學者인 가스파르 몬쥬가 調査團의 指導的 役割을 擔當했다. 以外에도 數學者 조제프 푸리에 와 化學者인 클로드 벨트레 等이 包含되어 있었다. 그들은 이집트의 地形과 産物을 調査하는 外에도, 古代 遺跡의 調査를 擔當했다.

調査團의 가장 有名한 業績은 로제타 스톤 의 發見이다. 또한 드제 와 同行하여 上部 이집트로 向한 無理는 룩소르 카르나크 神殿 王들의 溪谷 을 世界 最初로 學術的으로 記錄했다. 이러한 業績은 後에 이집트 저널 《 Description de l' Egypte 》에 整理되었다.

에드워드 사이드 는 나폴레옹의 이집트 遠征과 《이집트 저널》의 誕生이 유럽의 오리엔탈리즘을 形成한 하나의 契機가 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書籍 [ 編輯 ]

  • Burleigh, Nina. Mirage . Harper, New York, 2007. ISBN   978-0-06-059767-2
  • Cherfils, Christian (1914). 《Bonaparte et l'Islam d'apres les documents francais & arabes》. Pedone. OCLC   253080866 .  
  • Cole, Juan (2007). 《Napoleon's Egypt: Invading the Middle East》. Palgrave Macmillan. ISBN   1403964319 .  
  • Strathern, Paul. Napoleon in Egypt: The Greatest Glory . Jonathan Cape, Random House , London, 2007. ISBN   978-0-224-076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