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이인수 (滿洲보민회)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이인수 (滿洲보민회)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이인수 (李寅秀, ? ~ ?)는 大韓帝國 時期에 一進會 會員으로, 日帝强占期 當時에 滿洲 地域에서 滿洲보민회 會員으로 活動했던 人物로, 본적은 京城府 수창동( 1926年 當時 住所이며 現在의 大韓民國 서울特別市 鍾路區 내수동)이다.

生涯 [ 編輯 ]

1906年 부터 1909年 까지 3年 동안 一進會의 忠淸南道 支部會長을 맡았다. 1910年 韓日 倂合 條約 이 締結된 뒤 一進會가 解體되었을 때 一進會 會員들에게는 解散分配金이 賞金 格으로 주어졌다. 이때 이인수는 分配金 250원을 受領했으며 後에 흑룡회 가 세운 日韓合邦記念塔 에도 合邦 功勞者로 이름이 새겨져 있다.

1920年 天道敎 에서 一進會 系列이 分離되어 創始한 新興 宗敎 濟愚敎 (濟愚敎)에서 布敎師(布敎師)로 活動하다가 1920年 滿洲 地域에서 萬주보민株式會社(滿洲保民株式會社)가 設立되었을 때 發起人이 되었다. 1920年 10月부터 11月까지 일어난 日本軍 肝도 出兵 때 主導的으로 抗日 勢力을 索出하는 데에 나섰고 濟愚敎度를 中心으로 組織된 南滿洲의 密偵 團體 滿洲보민회 에서는 최정규 의 뒤를 이어 本部 會長을 맡았다.

滿洲보민회 會長職을 歷任하는 동안에는 主로 滿洲 곳곳에서 巡廻 講演으로 열면서 朝鮮人을 相對로 思想 敎育과 宣傳 作業을 實施하는 한便 抗日 部隊員에 對한 歸順 工作을 폈다. 關東軍 乙 등에 업은 滿洲보민회는 많은 抗日 人士를 逮捕하고 殺傷하였다. 이로 인해 日本人 巡査를 帶同한 이인수 一行이 싱징 現(興京縣, 興京縣) 영릉가(永陵街)에서 抗日 獨立 運動 團體의 襲擊을 받은 일도 있으며 大韓民國 臨時 政府 의 機關紙 《 獨立新聞 》은 그를 "보민회 頭目 이인수"라 指稱하며 여러 次例 非難했다. 이인수는 "滿洲보민회 會員 數百 名이 獨立軍에게 報復 殺害되어 遺族들의 怨恨이 크니 殺害된 工作員 遺家族에게 經濟的인 支援을 해달라"며 歎願하기도 했다.

같은 期間 濟愚敎 內에서도 實力者로 成長하여 1921年 4月에는 不敎令(副敎領)이 되었고 1923年 부터 1926年 까지는 敎主 格인 大橋令(大敎領)으로 在職했다. 1924年 4月 滿洲보민회가 解體되었을 때는 日本 政府로부터 解散分配金 300원을 받았다. 1941年 11月 2日 京城府 박문사 에서 열린 滿洲보민회 會員 招魂祭와 合同慰靈祭에 參席하는 等 太平洋 戰爭 時期까지 生存해 있었지만 以後의 行跡에 對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事後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資料 [ 編輯 ]

  • 親日反民族行爲眞相糾明委員會 (2007年 12月). 〈이인수〉 (PDF) . 《2007年度 調査報告書 II - 親日反民族行爲決定理由서》. 서울. 2220~2231쪽쪽. 發刊登錄番號 11-1560010-0000002-10.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