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作家 情報
本名 William Carlos Williams
出生 1883年 9月 17日 ( 1883-09-17 )
뉴저지州 , 러더포드
死亡 1963年 3月 4日 ( 1963-03-04 ) (79歲)
뉴저지州 , 러더포드
國籍 美國
民族 英國人, 푸에트리코인
職業 醫師
學歷 펜실베니아 大學校 醫學博士
母校 펜실베니아大學校
受賞 퓰리쳐 上 (1963)
配偶者 플로렌스 허만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 英語 : William Carlos Williams ; 1883年 9月 17日 ~ 1963年 3月 4日 )는 誇張된 象徵主義를 排除하고 平面的 觀察을 基本으로 한 ‘客觀主義’의 詩를 標榜하며 作品을 쓴 美國의 詩人이다. 그의 詩世界는 透徹한 現實 認識과 人間味로 解體된 世界에 詩的 統一을 줬다고 評價받는다. 詩集 《패터슨》, 《브뢰겔의 그림,기타》이 있다. 詩集 《브뢰겔의 그림,기타》로 1963年 퓰리처 賞 을 받았다. 그 中에서도 5部作 《패터슨》은 特히 有名해 卑近한 制裁로 日常의 言語를 驅使하여 壯大한 敍事詩를 엮어냈다.

生涯 [ 編輯 ]

윌리엄스는 뉴저지州 러더포드 에서 英國人 事業家 아버지와 푸에르토리코 界(系)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外할머니는 Basque(바스크) 사람으로 마뜨니끄(Martnique) 出身이며, 外할아버지는 네덜란드 스페인 유태系(Dutch-Spanish-Jewish)의 後孫이었다. 윌리엄스는 스페인語와 佛語를 英語 만큼이나 잘했다. 그의 宗敎的 背景 또한 다양하다. 어머니는 Catholic으로 태어났고 아버지는 Episcopalian(監督制主義者)였으나 Unitarianism(唯一敎徒)으로 돌아왔다

윌리엄스는 뉴욕의 Horace Mann High School의 學生이었을 때 詩를 쓰기 始作했다. 펜실베이니아 大學校 醫學部에서 工夫하고 小兒科 醫師를 하면서 繼續해 詩를 썼다. 윌리엄즈는 1906年부터 1909年까지 뉴욕시에서 인턴 生活을 했으며, 患者들 틈에서 詩를 썼다. 그는 1909年에 最初의 冊 《詩集(Poems)》을 發表했다. 그 다음에 그는 1909年에 小兒科 疾病을 硏究하기 위해 라이프誌히(Leipzig)에서 留學했으며, 그 後에는 故鄕인 러더포드로 돌아와서 醫師로 開業하고 平生토록 거기에서 머무르며 詩作(詩作)에 沒頭하였다.

E.파운드 等과의 交遊에서 死傷主義의 影響을 받아 初期의 詩集 《신 葡萄 (Sour Grape)》(1921) 《봄과 모든 것 (Spring and All)》(1923)으로 新鮮한 卽物的 詩風을 確立하였다. 1950年代에 비트 詩人 앨런 긴즈버그(Allen Ginsberg)의 詩集 <아우聲과 기타 Howl and Other Poems>의 序文을 썼다. 詩集 《브뢰겔의 그림,기타》로 1963年 퓰리처賞을 받았다.

그는 詩를 "觀念이 아니라 事物 그 自體로(No ideas but in things)" 表現해야 한다고 하면서 思想注意(imagism) 運動을 심화시킨 客觀主義(Objectivism) 를 主唱하였다. 이 밖에도 《自敍傳 Autobiography》(1951)과 小說 《흰 노새 White Mule》(1937) 《In the Money》(1940) 等과 評論이 있다.

그 뒤 詩뿐만 아니라 短篇小說과 戱曲도 썼다. 短篇小說 가운데 널리 읽히는 것은 醫師 經驗을 土臺로 쓴 《暴力의 使用(The Use of Force)》이다. 뉴저지 注意 패터슨 時(Paterson)를 主題로 쓴 詩들을 써 엮어 낸 5卷의 詩集이 美國 詩文學史의 큰 業績으로 남아 있다.

作品世界 [ 編輯 ]

그는 아마도 안톤 체호프 (Anton Chekhov)以來 醫師라는 職業을 가지고 文學活動을 한 가장 重要한 文學家日 것이다. 그의 고집스러운 美國性에도 不拘하고 그의 背景과 敎育은 汎世界的이다. 그는 1902年에 펜실바니아 大學 醫學部에 特別試驗으로 合格하였다. 그곳에서 그는 힐다 두리틀 (Hilda Doolittle)과 에즈라 파운드 라는 두 詩人을 만났다. 파운드와의 交際는 永遠한 影響을 끼쳐서 그는 自身의 삶을 파운드 以前과 파운드 以後로 나눌 수 있다고 말했을 程度이다.

윌리엄즈는 英國의 浪漫的 方式으로 詩를 썼기 때문에 《自敍傳》(Autobiography)에서 “키츠는 나의 神이었다. ‘엔디미온’(Endymion)이 正말로 나의 잠을 깨웠다”라고 말하고 있다. 파운드는 特히 스페인과 伊太利의 浪漫 文學을 硏究하고 있었으며, 윌리엄즈에게도 自己와 똑같이 하라고 繼續 强要했다. 윌리엄즈는 파운드에게 漸漸 더 非協調的으로 되었고, 그들이 平生토록 親舊關係를 維持하기는 했지만, 서로 一致하지 않는다는 點을 깊이 認識하고 있었다.

1913年에 파운드의 周旋으로 그의 두 番째 作品集 《기질》(The Tempsers)李 런던에서 出版되었다. 그러나 대단히 獨創的인 그의 最初의 冊은 《그것을 願하는 그에게》(Al Que Quiere! To Him Who Wants It)로 1917年에 보스턴에서 出版되었다. 이때는 윌리엄즈가 外國語로 題目을 定하던 때였다. 그는 이러한 習慣을 곧 버렸다.

그 다음 몇 年 동안 그는 詩뿐만 아니라 短篇小說, 長篇小說, 에세이, 自敍傳 等도 썼다. 1946年에 그는 오랫동안 품어왔던 意圖를 실현시키기 始作했다. 卽 그는 《패터슨》(Paterson)第 1卷을 發表함으로써 敍事詩를 쓰기 始作했다. 《패터슨》은 1948, 1949, 1951, 1958年에 第 2, 3, 4, 5卷이 各各 出版되었고, 그가 죽을 때는 제 6卷이 執筆 中이었다.

윌리엄즈는 美國 口語에 土臺를 두고 있는 詩를 쓰기 始作했다. 그는 파운드와 엘리엇의 海外移住 및 美國國籍 喪失에 對해 反感을 가졌으며, 《荒蕪地》(The Waste Land)의 出版은 “대단한 破滅”로서 그것은 그 才能에 依하여 地域的인 狀態에서의 第 1次的 推進力, 卽 모든 藝術의 기초적인 原則의 再發見을 中斷시켰다고 말했다. 그는 自身을 藝術家로 紹介하기를 拒否하면서, 그 代身에 自身이 다른 사람들과 똑같다고 主張하고, 점잔빼는 일을 避하기 위해 俗語를 使用하고, 自身이 섬세한 技術者로 생각되기 보다는 바보로 생각되기를 바랐다. 그는 世上사람들과 直接 이야기하는 것에 反對했다. 그래서 그는 《봄 그리고 모든 것(Spring and All)》에서 讀者와 世上과의 直接的인 接觸에 對한 그의 意識 사이에는 ”끊임없는 障壁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가 1920年代에 編輯한 《接觸》(Contact)이라는 雜誌에 쓴 宣言書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나는 接觸이라는 것을 다음과 같은 意味로 생각한다. 三段論法을 使用하지 않는 사람, 패러디를 使用하지 않는 사람, 스피노자의 倫理가 缺如된 사람, 事物과 事物의 느낌만 갖고 있는 사람. 이 角度에서 볼 때 ‘接觸’은 ‘文化’의 對應物이 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윌리엄즈는 그에 依해 우리의 가장 著名한 네안데르탈人 中의 한 사람이 된다. 藝術에 있어서의 槪念에 對한 그의 憎惡는 結果的으로 공언되고, 그 過程에서 매우 正當하게 完全히 公平無私한, 形式上 完全한 公平無私함을 가져온다. 그러나 윌리엄즈는 그 源泉으로 돌아가야 한다. 그리고 그 過程이 아름답다는 것은 否認할 수 없다.

이 接觸, 이 直接性과 瞬間的 終局性을 確保하기 위하여 새로운 詩形이 考案되어야 한다. 그는 “行動의 場으로서의 詩”(The Poem as a Field of Action)에서 “나는 詩的 構造의 처음부터 끝까지 이르는 全體的인 變化를 提案한다. 적어도 劇的인 詩를 위해서 우리가 卽刻 認識하는 것으로서의 약강 5補格은 使用하지 말아야 한다. 또 韻律을 맞춘 4行硯, 普通의 詩戀人 소네트에서의 소리의 着實한 連鎖는 使用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윌리엄즈는 휘트먼(Walt Whitman)李 大膽하기 때문에 稱讚하고 포우(Edgat Allen Poe)는 背景을 깨끗이 하기 때문에 稱讚한다. 윌리엄즈는 블레이크의 활기찬 힘과 같은 熱情으로 “우리가 살고 있는 그 永遠한 瞬間을 세련되게 하고, 明確하게 하고, 强化하기 위해서는 한 가지 힘, 卽 想像力만이 있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文學에서 唯一한 리얼리즘은 想像力의 리얼리즘”이기 때문이다.

월리스 스티븐스 (Wallace Stevens)는 윌리엄즈의 有名한 한 批評에서 그의 作品을 “反詩的”(antipoetic)이라고 말했는데, 이 말은 萬一 그의 詩가 딱딱하고 暗示的으로 여겨진다면 適切하다고 할 수 있다. 윌리엄즈는 詩는 그 自體의 慣用語를 가져야 한다. 市는 五官의 直接的인 精密한 調査 下에 있는, 卽 코 밑에 있는 事物들을 다루어야 한다고 恒常 强調한다. 그는 《“붉은 손수레”(The Red Wheelbarrow)》에서 偉大한 主題를 無視하며 어떠한 事物이든 올바르게 보아지기만 한다면 그 나름대로의 獨特한 特性을 誇示할 수 있는 方法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는 特別한 事物은 우리를 空間을 통해 回轉해 가도록 하는 結末을 提供한다고 생각했다. 各 行은 그것을 完結하기 위해, 그 行이 또 다른 行을 必要로 하도록 하기 위해 未決定人 狀態로 있고, 詩篇 全體는 모든 것이 붉은 손수레에 依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詩篇에서 붉은 손수레가 하는 役割은 이 世上에서 小宇宙가 하는 役割과 같다.

다른 作家들의 干涉에서 벗어나면서 윌리엄즈는 “빛나는 要點”을 追求했다. 이것들은 그가 생각하는 바 파운드의 最高의 瞬間이나 魔法의 瞬間과 그다지 다르지 않다. 그 瞬間에 到達하기 위해서는 部分的인 經驗이나 模倣的 經驗 보다는 經驗의 全體性이 있어야 한다. 엘리엇이 “슬퍼하는 少女”(La Figlia Che Piange)를 쓴 것에 對應하여 그는 “貴婦人의 肖像”(Portrait of a Lady)을 썼는데 이는 엘리엇의 詩가 “輩出된 모든 것의 正確히 올바른 量 만큼 確證한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反面에 윌리엄즈는 모든 것이 包含되도록 하기를 願한다. 그는 象徵主義에 反對했지만, 細部事項이 象徵的인 무게를 갖는 境遇가 種種 있다.

비록 윌리엄즈가 美國人의 氣質을 눈에 띠게 지니고 있으나, 煽動家는 決코 아니다. 그는 “나는 모든 藝術은 地方的인 것에서 始作하고 그것에서 始作해야 한다고 믿는다. 왜냐하면, 그래야만 五官이 그들의 材料(素材)를 發見할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한다. “우리 自身의 言語는 美國詩를 獨特하게 만들고, 繼續 獨特하게 만들 것의 始初”라고 그는 말한다. 이와 같은 沈着함의 淨化와 새로운 形態 및 活氣차고 地方的인 言語에 對한 探索은 윌리엄즈로 하여금 《패터슨》을 着床하도록 이끌었다. 이 作品에서 그 都市는 風景 가운데 있는 巨人이며 都市이고 사람이다. 이 作品은 특별한 것들을 詩에 導入하기는 어렵다는 것에 關한 것으로 특별한 것들을 詩에 導入하는 過程에서 現代 都市에서의 感情과 思想의 흐름에 妨害가 暗示된다. 《다리》(The Bridge)에서의 크레인(Hart Crane)과 마찬가지로 윌리엄즈度 荒蕪地로부터 出發한다. 그 自身은 이 作品에 關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내가 이 作品을 어떻게 끝내려 하는가에 關하여 나는 熱心히 생각해야 했다. 雄壯하면서 唯一한 結論을 내리는 것은 充分치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나는 내 主題에서 아무 것도 볼 수 없기 때문이다. 그것은 主題에 屬하지 않았다. 바다나 비둘기의 飛行이나 사랑의 終末과 人間의 運命의 굽이침에 關하여 아름다운 소네트를 씀으로써 멋지게 끝내는 것이 더 쉬웠을 것이다. 그 代身에 그 어린 少女가 大都市의 可憐한 洗練에 窮極的으로 말려들게 된 後에, 그女 自身 보다 더 패배당하고, 理解할 수 있고, 甚至於는 사랑스럽기까지 할 때 우리는 드디어 바다에 오게 된다. 오디세이는 人間이 恒常 그래야 하듯이 헤엄을 치고, 溺死하지 않는다. 그는 대단히 能力이 있지만 그의 개를 同伴하여 (캠덴을 向하여) 內陸으로 치고 들어가 다시 始作한다.

이러한 循環的인 結論은 조이스(James Joyce)의 《피네間의 竟夜》(Rinnegans Wake)의 結論과 類似하다. 그러나 이 作品은 여러 面에서 파운드의 《詩篇들》(Cantos)에 더욱 가깝다. 파운드의 《詩篇들》에서는 率直함과 技巧의 結合과 더불어 完全한 表現을 위하여 다른 種類의 問題가 導入된다. 파운드는 윌리엄즈가 뒤섞여져 있는 훌륭한 材料에 關心을 갖고 있는 反面에 自身은 完成된 生産物에 關心이 있다고 主張했다. 그러나 《詩篇들》에도 뒤섞여 있는 훌륭한 材料가 많이 있고, 윌리엄즈의 作品에도 完成된 生産品이 많이 있다.

詩의 特徵 [ 編輯 ]

윌리엄즈(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가 말하기를 想像力은 “地上의 모든 것을 소멸시키고 世界를 새롭게 만드는 能力”(윌리엄스, 91)이라고 했다. 그는 그러한 想像力을 통해 “事物의 堅固하고 獨立的인 存在를 强調하고, 그 表面을 注意 깊고 正確하게 認識” [1] 하고자 努力했던 것이다. 이런 意味에서 그의 詩는 “自然의 單純한 複寫가 아니라 想像力에 依해 創造된, 自然 속의 事物과 全혀 다른 새로운 事物” [2] 이 된다. 그래서 그의 詩는 유난히 다양한 解釋을 可能케 한다. 매터슨(Stephen Matterson)의 말처럼 그의 詩는 “讀者로 하여금 自由롭게 構成하게 하고, 讀者가 市의 結果의 主人이 되도록”(Matterson) 만든다. 본 고는 윌리엄즈의 詩에 對한 다양한 解釋과 接近 中에서 ‘官能性’(sexuality)에 焦點을 맞춘다

윌리엄스 詩의 特徵은 徹底히 日常的인 미국어를 써서 理念에 依하여 事物을 稀釋하거나 誇張함이 없이 日常生活의 周邊事物을 그대로 그려내는 것이다. 美國의 感受性을 美國的 話法과 英語의 리듬을 바탕으로 表現하려고 했기에 그의 詩는 같은 時期의 모더니스트보다 오히려 以前의 프로스트, 휘트만의 詩的 傳統과 닿아있다. “觀念이 아닌 事物로 말하라”(Say it, no ideas but in things)는 말은 윌리엄스 市의 모토이다. 多分히 史上主義的인 즉물視(卽物詩)를 固執한 그는 思想注意 市의 主唱者인 파운드의 詩論에는 同調하면서도 그의 詩에 對해서는 決코 好感을 갖지 않았다. 그는 파운드 T. S. 엘리엇 의 詩에서 볼 수 있는 國籍도 脂肪性度 없는 詩, 그리고 宗敎的, 思想的, 文化的 이데올로기에서 出發한 詩를 排擊했다. 그는 市에서 事物과의 直接的인 接觸(contact)을 强調했고 對象과 職대면하여 感覺으로 綿密히 檢證한 事物들을 다루었다.

윌리암스는 그의 詩를 통하여 讀者들에게 道德이나 敎訓 같은 것들을 가르치려고 했던 것이 아니라, 그의 詩에 녹아있는 그의 눈을 통하여 讀者들이 現實(The Real)의 아름다움을 보기를 願했었다. 우리는 'no ideas but in things (觀念이 아니라 事物에서)'라는 表現에서처럼 그의 作品觀을 어렵지 않게 推測할 수 있다. 史上注意(Imagism - 1912年頃에 일어난 市의 風潮: 韻律에 重要性을 두어 正確한 映像으로 表現의 明確性을 꾀함)의 影響을 받은 윌리암스는 이미지스트(史上注意 詩人)의 여섯 가지 原則을 忠實히 反映하였다.

윌리엄즈는 難解한 實驗派 詩人으로 《기질》에서는 사상파의 技術을 使用했다. 그는 口語를 使用하여 日常生活을 率直한 自由詩로 읊었다. 그는 市에서 本質的인 것만을 캐려고 했다. 그의 것은 마치 한 토막씩 잘라 놓은 것 같은, 冷徹하고 날카로운 詩가 되었다. 그는 까다로운 사상파 詩人이다. 그의 長篇 敍事詩 《패터슨》의 名稱은 그의 故鄕에 붙인 이름인데, 윌리엄즈는 여기서 美國의 豐富한 日常生活을 美學의 缺乏과 情緖의 貧困과 對照시키면서 描寫하고 있다.《패터슨》에서 한 格言을 說明하면서 윌리엄즈는 “事物 속에서가 아니라면 아무런 槪念이 없다. 詩人은 그가 다루고 있는 것의 文脈에서 發見될 수 있는 것 以上으로 自己 自身이 나아가는 것을 許容해서는 안된다. 詩人은 自身의 詩를 갖고 생각해야 한다.”라고 말하고 있다.

이미지스트(史上注意 詩人)의 여섯 가지 原則 [ 編輯 ]

  • 日常的 言語를 使用하되 반드시 正確하게 써야 한다. 模糊하고 慣習的인 言語는 排斥한다.
  • 새로운 感情은 새로운 리듬으로 表現해야 한다. 이미 있어온 리듬을 模倣해서는 안된다. 그것은 이미 있어온 感情을 模倣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自由詩를 위하여 싸운다. 詩人의 個性은 傳統的인 形式보다 自由詩로서 더 잘 表現될 것으로 생각한다. 詩에서의 새로운 韻律은 새로운 思想을 의미한다.
  • 在在의 選擇은 자유로워야 한다. 새로운 再製를 노래한 詩가 반드시 새로운 藝術은 아니다. 그 制裁를 보는 눈이 새로워야 한다.
  • 明確한 思想(이미지)을 주어야 한다. 詩가 徹底하게 個別性을 志向하여야 하며, 絶對로 模糊한 一般性을 다루는 것이 아님을 믿는다.
  • 堅固하고 明瞭한 詩를 쓸 것. 模糊하거나 不分明한 言及을 避할 것. 集中的 表現을 尊重해야 한다.
  • 마지막으로 '壓縮'李 詩의 本質임을 잊지 말아야한다.

影響 [ 編輯 ]

윌리엄즈는 한 때 예이츠 T. S. 엘리엇 보다 많은 追從者들을 輩出했었다. 그는 特히 美國에서 戰後時(post-war poetry)의 中心에 位置하고 있다. 그의 影響을 받은 많은 젊은이들과 女人들은 今世紀의 많은 다른 重要한 詩人들을 所謂 베를렌느(Verlaine)가 “文學”이라고 處理해버린 것의 製造者로 여겼다. 그들은 萬一 이들 元老 詩人들이 解放者로 생각된다면, 윌리엄즈는 그들로부터 詩를 解放시켜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생각에 윌리엄즈는 그의 追從者들과 같은 立場이었다. 그는 大部分의 글들이 잘못된 方向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생각했으며, 設令 그것이 失手하는 때가 있기는 하더라도 自身의 努力만이 적어도 올바른 方向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여겼다.

이러한 謙遜과 斷言의 混合이, 例를 들면 “러시아 춤”(Danse Russe)같은 詩에서도 發見된다. 이 作品에서 自身의 거울 앞에서 作家가 옷을 벗고 춤추는 것은 처음에는 그를 가소로운 人物로 特徵짓지만 나중에는 “우리 家庭의 幸福한 天才”로 특징짓는다. 勿論 윌리엄즈 自身은 옷을 벗은 狀態에 對해 偏見을 갖고 있지 않다. 예이츠는 1912年에 쓴 “코트”(A Coat) 및 다른 作品에서 自身이 “발가벗고 걸어다닌다”고 말하고 있다. 발가벗었다는 認識을 强力히 捕捉하려는 것은 블레이크(윌리엄 Blake) 時代 以後 大部分의 詩人들의 주된 努力이었다.

詩에 關한 윌리엄즈의 많은 金言들이 엘리엇이나 파운드가 한 것과 同一한 要點을 主張하고 있다. 그는《패터슨(Paterson)》에서 “言語가 낡았다”고 말하는데 파운드는 詩篇(Cantos)에서, 엘리엇은 네 四重奏(Four Quartets)에서 같은 말을 했다. 그가 1913年에 《詩(Poetry)》誌의 編輯者 해리에트 몬로(Harriet Monroe)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을 때, 비록 그 自身은 그들과 反對 立場에 있다고 생각했으나, 크게 보아 그들과 같은 便에 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제 삶은 예전의 瞬間에도 그랬듯이 人生을 破壞하는 어떤 瞬間에도 다른 무엇보다도 恒常 새롭고 不規則하다. 생생하게 되기 위해서 詩는 그 속에 同一한 水準의 무엇, 制度 廢止의 어떤 幾微, 그 屬性이 만져보아서 알 수 없는 무엇, 絶妙한 逆轉 等을 注入해야만 한다. 나는 現代詩에 關하여 말하고 있는 것이다.

파운드는 비록 먼 過去의 많은 것들이 現代化될 수 있다는 自身의 믿음으로 인하여 윌리엄즈를 성가시게 하였지만, 똑같은 方式으로 “그것을 새롭게 하기”(making it new)를 主張했다.

著書 [ 編輯 ]

  • 《自敍傳 Autobiography》(1951)
  • 《In the Money》(1940)
  • 《흰 노새 White Mule》(1937)
  • 《暴力의 使用(The Use of Force)》

代表 始作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 Cary Nelson. “American Literature Internet Site” . 2010年 4月 25日에 確認함 .  
  • 윌리엄스, 윌리엄 C. Imaginations. ed. Webster Schott. New York: New Directions, 1970.
  • Breslin, James E. B.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Minneapolis: UP, 1963.
  • Nelson, Cary. 'The Fate of Gender in Modern American Poetry,' Marketing
  • Modernisms: Self-Promotion, Canonization, and Rereading. ed. Kevin Dettmar and Stephen Watt.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6.
  • http://www.english.uiuc.edu/maps/poets/s_z/윌리엄스/spring.htm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 (May 7, 2002).
  • Kinnahan, Linda A. Poetics of the Feminine: Authority and Literary Tradition in
  •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Mina Loy, Denise Levertov, and Kathleen Fraser.
  • Cambridge UP. 1994.
  • 이창배 全集 11卷, 《現代 영미詩鑑賞2》 東國大學校 出版部 (2002)

各州 [ 編輯 ]

  1. Breslin, 34
  2. Williams,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