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오 (春秋)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오 (春秋)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紀元前 11世紀 ~ 紀元前 473年
수도 오(吳)
政治
政治體制 君主制
국성 희성 告發氏(姬姓 姑?氏)
지리
位置 쑤저우
人文
데모님 五族

吳나라 (吳, 紀元前 ? - 紀元前 473年)는 只今의 쑤저우 (蘇州)에 位置한 나라로 酒태王의 長男 太白이 三南人 戒力에게 王位를 讓步하려고 次男인 重翁과 함께 장강남안으로 가서 建國한 나라로 周나라와는 血族國家이다. 국성은 희씨이다. 初期의 國號는 구오(句吳)였다가 睡夢王 때에 吳(吳)라고 改稱하였으며 以後 부차王의 孫子인 루양에게 千字로부터 오(吳)라는 姓을 下賜받아 姓氏를 오라고 부르게 되었다. 春秋五霸 中 하나인 闔閭 王을 輩出했으며, 그의 아들인 부차 (夫差) 王 때 全盛期를 맞이하였으나, 이웃 越나라 에게 滅亡하였다.

歷史 [ 編輯 ]

初期 [ 編輯 ]

司馬遷 (司馬遷)의 詐欺 內容 中 오태백世가(史記 吳太伯世家)에 記錄이 되어 있다. 周나라의 古公亶父(古公亶父, 駐太王(周太王), 周나라 時調)에게 세名의 아들이 있었다. 長男 太白 (太伯, 吳나라의 始祖, 酒태王의 長子)과 次男 重옹(仲雍)은 막내동생 戒力(季歷, 住公界(周公季), 酒태王의 三南, 太白의 셋째 동생)에게 後繼者의 자리를 讓步하여 장강남안(長江南岸)의 衡山(衡山)으로 가서 定着하여 그 땅의 諸侯가 되었다. 나중에 戒力은 兄인 太白과 重翁을 중원으로 불러들이려고 했지만 太白과 重翁은 戒力의 말을 拒絶하였고, 온몸에 文身을 새겼다. 當時에 文身을 새기는 것은 異民族의 風習이니, 스스로 文身을 새긴것은 중원으로 돌아갈 생각이 없다는 것을 보여 준 것이다. 太白과 重翁은 自身의 나라를 세우고 國號를 구오(句吳)라 稱하고, 그 뒤에 太白이 死亡하자, 아들이 없어서 그 뒤를 重翁이 이어 받았다. [1]

繁榮期 [ 編輯 ]

第19代 君主 睡夢이 卽位를 하자 國號를 구오에서 舊(句)라는 글字를 빼고 오(吳)나라로 國號를 改稱하고, 王을 稱하였다. 第24代 君主(吳王으로서는 第6代) 闔閭의 時代에 가장 强盛하였다. 名臣, 孫武 伍子胥 를 데리고 當時 超强大國이었던 楚나라를 滅亡直前까지 몰고 갔다. 新興의 越나라 를 侵犯하여 闔閭 는 重傷을 입고 아들인 부차 에게 復讐를 盟誓하게 하고, 後치우 에 묻혀 最後를 마친다.

다시 힘을 키운 부차 伍子胥 의 補佐를 받아, 越나라를 滅亡 直前까지 몰아넣는다. 월왕 九千 은 敗戰의 멍에를 지고, 屬國으로 例를 다하여, 當時 最高의 美人인 序詩 等의 禮物을 바치며 謝罪를 한다.

滅亡 [ 編輯 ]

伍子胥 는 後患을 없애야 한다고 積極 主張하지만, 警戒心이 풀어진 부차 는 그를 外面하고 오히려 伍子胥 를 自殺하도록 만든다.

結局 범려 의 計略에 말려든 吳나라는 紀元前 473年 越나라에 依해 滅亡하고, 吳王 부차 는 自殺을 하게 된다.

歷代 君主 [ 編輯 ]

臺數 稱號 在位 在位 硏修 備考
1 太白 (太伯) 周나라의 古公亶父 (古公亶父)인 週 太王(周太王)의 長子.
2 重옹 (仲雍) 오 太白의 동생.,
3 系間 (季簡)
4 熟達 (叔達)
5 主張 (周章) 吳나라의 諸侯로 封함.
6 웅수 (熊遂)
7 假想 (柯相)
8 강구이 (彊鳩夷)
9 餘敎義誤 (餘橋疑吾)
10 가로 (柯盧)
11 主要 (周繇)
12 굴禹 (屈羽)
13 이오 (夷吾)
14 金처 (禽處)
15 (轉)
16 波高 (頗高)
17 口碑 (句卑) 紀元前 671年 ~ 紀元前 622年 50年
18 巨濟 (去齊) 紀元前 621年 ~ 紀元前 586年 36年
19 수몽 (壽夢) 紀元前 585年 ~ 紀元前 561年 25年 稱王을 始作함.
20 除番 (諸樊) 紀元前 560年 ~ 紀元前 548年 13年
21 女帝 (餘祭) 紀元前 547年 ~ 紀元前 544年 4年
22 여매 (餘昧) 紀元前 543年 ~ 紀元前 527年 17年
23 (僚) 紀元前 526年 ~ 紀元前 515年 12年
24 闔閭 (闔閭) 紀元前 514年 ~ 紀元前 496年 19年
25 부차 (夫差) 紀元前 495年 ~ 紀元前 473年 23年

같이 보기 [ 編輯 ]

吳나라와 越나라의 다툼은 많은 考査와 遺跡地를 만들어 내었다.

各州 [ 編輯 ]

  1. 出處: zh:吳姓 (오씨), zh:泰伯 (오태백), zh:吳國 (吳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