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呂不韋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呂不韋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呂不韋 (呂不韋, ? ~ 紀元前 235年 )는 戰國 時代 末期 秦나라 의 官僚이다.

司馬遷 (司馬遷)은 呂不韋가 여러 諸侯國을 洞貫하며 國力을 正確히 꿰뚫어 보고 人材를 登用하는 人事權을 가지고 있어 秦始皇 의 嫡統(嫡統)을 維持한 實勢라 評했다.

生涯 [ 編輯 ]

商人 時節 [ 編輯 ]

呂不韋는 商人 出身으로 出生地를 두고는 記錄이 갈리는데 有香 (衛) 福量으로 [1] 司馬遷은 量的(陽翟) [2] 으로 記錄했다.

呂不韋는 여러 곳을 오가며 富를 쌓았다는 記錄으로 보아 行商人 出身으로 推測되며 異人을 만나기 前부터 千金을 쌓아두었다는 記錄으로 보아 이미 相當한 財力家였던 것으로 推測된다 [3]

그러던 中 (趙) 한段에서 장사를 하다가 秦나라의 王族으로 조나라의 볼모 로 잡혀있던 異人 (異人, 後날 自招로 改名. 秦의 장양왕으로 卽位)을 보고 "奇異한 物件이니 사둘만하다(此奇貨可居)"라 중얼거렸다. [4] 以後 全國冊의 記錄에 따르면 呂不韋는 自身의 아버지를 찾아가 '王을 세우는 일은 그 利益이 代代로 남는 일이다'라고 아버지를 說得한다. [5]

異人은 陳 소양왕의 太子 안國軍(後날의 효문王)의 아들이기는 했지만, 生母가 이미 안國軍의 寵愛를 잃은 데다 스무 名이나 되는 兄弟들 사이에 끼어 변변찮은 待遇를 받으며, 王이 될 可能性도 別로 없이 他國으로 人質로 보내진 狀態로 本國에서는 그의 목숨이 어떻게 되건 別로 아쉬울 것도 없는 身世였다. 더욱이 眞과 弔意 사이가 갈수록 惡化되면서는 덩달아 弔意 人質로 와 있는 異人 自身의 處遇도 極惡해져서 生活費도 제대로 調達하지 못할 地境이었다.

이인의 世子 擁立, 그리고 中部(仲父) [ 編輯 ]

呂不韋는 自身의 돈으로 이人이 弔意 實力者들의 社交界(社交界)에 接近하도록 하고, 自身은 陣으로 들어가 안國軍의 寵妃였던 華陽婦人(華陽夫人)을 만났다. 華陽夫人에게 呂不韋는 이인의 賢明함을 말하며 華陽婦人을 親어머니처럼 思慕하며 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傳했다. 이어 火洋婦人의 언니도 만나 自身의 財物 一部를 주며 包攝, 그 언니를 通해 이人을 火洋婦人의 養子로 들이고 안國軍의 世子로 삼게 할 것을 說得하였다. 華陽夫人은 안國軍의 寵愛를 받고는 있었지만 그 사이에 子息은 없었기에 自身의 地位가 흔들릴 것을 두려워하고 있던 참이었고, 呂不韋의 提案을 따랐다. 안國軍도 이 이야기를 승락했고, 異人을 自身의 世子로 삼기로 決定하였다.

組로 돌아온 呂不韋는 이人에게 이 消息을 傳하고, 異人은 呂不韋를 自身의 後見人으로 삼았다. 異人은 그 뒤 養어머니 火洋婦人의 出身을 따서 自身의 이름을 自招(子楚)라 바꾸었고, 後날 歸國하여 드디어 秦의 王이 되었다(장양왕). 한便 司馬遷의 《詐欺》 等에서는 이때 呂不韋가 自身의 愛妾이었던 조희를 마음에 들어하던 自招에게 바쳤는데, 嘲戱는 이미 呂不韋의 아이를 妊娠한 狀態였고, 그 아이가 바로 後날 秦의 王으로 卽位하게 될 鄭(政, 後날의 秦始皇帝)였다고 하는 記錄을 남기고 있다.

紀元前 252年 에 津에서 소양왕이 在位 55年만에 薨逝하고 次男이 효문王으로 卽位하면서 自招 또한 진으로 돌아와 太子가 되었다. 그리고 효문왕이 얼마 안 되어 薨逝하고, 字草家 太子로써 卽位하였다. 呂不韋는 自招를 支援한 공으로 眞意 丞相이 되고 文身後(文信侯)에 封해졌으며, 紀元前 246年 에 장양왕이 죽고, 王太子 이 13歲로 王位에 오르자 上方 (相邦)李 되어, 王의 아버지에 버금가는 地位라는 뜻의 中部(仲父)로 불리며 王을 도왔다.

一字千金 [ 編輯 ]

當時 孟嘗君 이나 信陵君 戰國 時代의 四君子 라 불리는 各國의 有力者들이 食客을 모아 天下에 이름을 떨치고 있던 가운데, 呂不韋 또한 自身의 집에 3千 名의 食客을 모아들였고, 呂不韋 집안의 소사가 1萬 名을 헤아렸다고 한다. 그 食客 가운데는 後날 眞意 丞相이 되는 理事 도 있었는데, 그 才能을 눈여겨보게 된 辰王 情이 그를 拔擢해 宰相으로 삼았다.

紀元前 239年 呂不韋는 自身의 食客으로 있던 碩學들을 모아 《 呂氏春秋 》라는 이름의 著作을 編纂하였다. 이 冊은 當時 諸子百家의 冊과는 다른 思想的으로는 中立을 維持하는, 오늘날의 百科事典에 該當되는 것이었다. 呂不韋는 完成된 《呂氏春秋》를 晉의 首都인 咸陽性 城壁에 陳列해 놓고, "이 冊에 적힌 글 가운데 한 글字라도 더하거나 뺄 수 있는 者가 있다면 그에게 千金을 주겠다"고 하였다고 한다. 이 逸話는 後날 一字千金(一字千金)이라는 故事의 由來가 되었다.

沒落 [ 編輯 ]

權勢가 누구와도 비길 데 없었던 呂不韋였지만, 辰王 정의 生母인 太后와 密通하고 있었다. 元來 色을 밝혔던 太后는 장양왕 事後에 呂不韋를 繼續해 誘惑했고, 呂不韋로서도 元來 自身의 愛人이었던 太后에 對한 未練을 버리지 못했다. 그러나 辰王 情이 자라면서 國母(?母)가 된 太後와의 不倫을 持續하는 것이 危險하다는 것을 깨달은 呂不韋는 盧애(??)라는 擧筋(巨根) 사나이를 太后에게 소개시키고, 그를 宦官으로 꾸며 後宮에 들였다. 太后는 盧애와의 사이에서 두 아들을 두기까지 했다.

그 뒤 盧애는 太后의 寵愛를 등에 업고 長身後(長信侯)로 封해져 權勢를 얻었고, 太後와의 密通이 發覺되자 辰王 情에 對한 謀反을 꾀하다 진압당했다. 盧애는 車裂刑에 處해지고 盧애의 두 아들도 처형당했다. 이 事件 以後 呂不韋度 勝常直을 잃고 蟄居에 들어갔다. 只今까지의 功을 勘案한 減刑이었다.

그러나 蟄居하게 된 뒤로도 呂不韋를 찾는 客은 끊이지 않았고, 여러 나라에 이름도 높았다. 紀元前 236年, 呂不韋는 自身을 찾는 客들과 여러 다른 나라와 謀議해 叛亂을 일으키려 했다는 嫌疑를 받았다. 辰王 鄭은 呂不韋에게 "나라를 위해 한 일도 많지 않으면서 무슨 廉恥로 이제껏 中部로 불리며 豪奢를 누립니까?"라고 詰問 蜀志(蜀地)로 갈 것을 命했고, 自身의 最後를 깨달은 呂不韋는 絶望한 나머지 이듬해, 스스로 毒을 마시고 죽었다.

評價 [ 編輯 ]

呂不韋에 關한 主要 情報는 司馬遷의 《詐欺》 呂不韋前科 乳香의 《 全國 》 그리고 《설원》(說苑)이 있다. 司馬遷은 呂不韋를 두고 《論語》 顔淵篇 20張을 引用해 '名聲 있는 者'(聞, 卽 實속은 없으면서 所聞만 번드르하게 난 人間)라는 것은 呂不韋를 두고 한 말이라고 評했다.

各州 [ 編輯 ]

  1. 有, 香. 《戰國策》. 嗔責.  
  2. 元來 韓國式 發音은 良策이나 詐欺 索隱에 따라 量的으로 읽는다
  3. 사마, 千. 《詐欺》. 呂不韋 列傳.  
  4. 사마, 千. 《詐欺》. 呂不韋 列傳.  
  5. 有, 香. 《戰國策》. 嗔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