神大門子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이즈모 國 文字
神大門者의 一種인 誤시테( ヲシテ )

신대 文字 (神代文字, 日本語 : 神代文字 眞多이모지, 加味要某地 [ * ] , 英語 : jindai moji, kamiyo moji, characters of the Age of the Gods )는 類似私學 에서 漢字가 傳해지기 前에 古代 日本 에서 썼다고 傳해지는 여러 文字 들, 例를 들어, 히後尾( 日文 ), 아나이치( 天名地? ), 아히루 文字 ( 阿比留文字 ) 等을 일컫는다. 一部는 符籍 이나 紳士의 器物에 새겨지는 文字로 使用되기도 한다. [ 出處 必要 ] 그러나 酒類 學界에서는 이러한 文字들이 모두 後代에 創作된 것이라고 여기고 있다. [1]

形態와 種類 [ 編輯 ]

신대 文字들은 普通 처음 發見된 곳의 이름을 따서 부르는데, 그 例示로는 아히루쿠社 文字 , 아비루 文字, 이즈모 文字 , 호츠마 文字 等이 있다. 생김새는 篆字體 와 비슷한 것, 이집트 象形文字 와 비슷한 것 等 여러 가지가 있다.

存在 與否 [ 編輯 ]

신대 文字의 實存 與否는 여러 論難을 일으켰다. 特히 아비루 文字는 한글 과 그 字形이 비슷하여 《 환단고기 》 信奉者들은 이 文字가 가림토 에서 왔다고 主張하고, 過去 一部의 日本 學者는 이 文字가 한글의 起源이라고 主張하였다. [2]

그러나, 이러한 神大門者들이 實存했던 文字가 아니라는 反駁도 많다. 만요슈 를 爲始해 資料를 利用해 推定하는 古代 日本語 母音 數는 只今 日本語 보다 많은데도 신대 文字가 表現할 音節 數와 種類는 現代 日本語 와 비슷하다. 신대 文字 碑石에 새겨져 있는 글 中에는 古代 日本語 에 없는, 現代 日本語에서 쓰이는 表現과 槪念이 있는 것도 있다. 또한 碑石을 爲始해 日本의 신대 文字 關聯 遺物은 모두 에도 時代 以後 遺物로 그 前에 신대 文字가 있었다는 것을 證明할 어떤 飼料나 遺物도 없다. 이미 1953年 日本의 國文學者 야마다 요시오 (山田孝雄)가 著書 《所謂 神大門者의 논》(所謂神代文字の論)에서 神대文字論을 完全히 否定하였다.

各州 [ 編輯 ]

  1. Tsukishima, Hiroshi (1964). 《Kokugo-gaku》 ?語? (日本語). Japan: Tokyo University Publishing. 47?48쪽.  
  2. 吉田靖雄 (1995年 03月). “日本古代史と?書?卒論を考える三回生K君へ?” . 《?史?究》 (大阪?育大??史??究室) 32 : 93?107. ISSN   0386-9245 .  

參考 文獻 [ 編輯 ]

  • 박영준 外, 《우리말의 수수께끼》, 김영사, 2002, ISBN   89-349-0928-5
  • 世界文字硏究會, 《世界의 文字》, 범우사, 1997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