視力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視力 檢査에 一般的으로 쓰이는 스넬렌 視力 檢査表 의 모습.

視力 ( 英語 : V isual A cuity , 略稱: VA)은 時刻 의 뚜렷함을 나타내며, 이는 안의 網膜 焦點의 鮮明함과 腦의 解釋 機能의 敏感度에 影響을 받는다. [1]

視力은 時刻 系統의 空間的 解像度의 測定이다. 一定 距離를 두고 視力 檢査表 앞에서 글字나 數字 따위를 識別함으로써 視力 檢査가 이루어진다. 視力 檢査表의 글字들은 흰 바탕 위에 검은 빛깔(最大 對備 )로 되어 있다. 사람의 눈과 視力 檢査表 사이의 距離는 水晶體 가 焦點을 맞출 때 大略的 無限大에 가까운 充分한 距離에 있어야 한다. 6미터(20피트)가 時刻 遠近感에서 本質的으로 無限 하다.

眼球의 길이와 關聯하여 너무 높거나 너무 낮은 屈折 以上은 近視 遠視 의 原因으로 된다. 다른 原因으로는 亂視 , 곧 角膜의 不規則性을 들 수 있다. 이는 眼鏡 , 콘택트 렌즈 , 視力矯正手術 과 같은 手段으로 矯正할 수 있다.

歷史 [ 編輯 ]

鳶島 事件
1843 視力 檢査 形態가 1843年 獨逸의 眼科醫師 하인리히 퀴흘러 (Heinrich Kuechler, 1811?1873)에 依해 發明된다. 視力 檢査의 標準化의 必要性을 論하고 記憶이 不必要한 읽기 차트들을 만든다.
1854 빈의 Eduard Jager von Jaxtthal 는 하인리히 퀴흘러가 만든 眼球 차트 테스트 類型을 改善한다.
1862 네덜란드의 眼科醫師 허먼 스넬렌 위트레흐트 에서 視力 檢査表 글字(Optotypes)에 基盤한 最初의 視力 차트인 "Optotypi ad visum determinandum" ("Probebuchstaben zur Bestimmung der Sehscharfe")를 出版하며, 標準化된 視力 테스트의 必要性을 擁護한다. 스넬렌의 視力 檢査表 글字들은 오늘날 쓰이는 테스트 글字들과 類似하지 않다. 이들은 이집트 파라곤 글꼴로 印刷되어 있다. (예: 세리프 를 使用하여). [2] [3]
1888 에드먼드 란돌트 는 란돌트 링이라 알려져 있는 망가진 링을 導入하는데, 나중에는 國際 標準으로 된다. [4] [5]
1894 베를린의 Theodor Wertheim은 周邊視 의 正確度를 詳細하게 測定하는 方法을 提示한다. [6] [7]
1978 Hugh Taylor는 "Tumbling E Chart"에 對해 세 個의 디자인 哲學을 使用하여 나중에는 오스트레일리아 原住民 의 視力 硏究에 使用된다. [8] [3]
1982 國立안연구소 릭 페리스 는 슬로건 레터와 함께 導入된 LogMAR 차트 레이아웃을 選擇하여 ETDRS(Early Treatment of Diabetic Retinopathy Study)를 위한 標準化된 方式의 視力 測定 方式을 構築한다. 이 차트들은 以後의 모든 臨床 硏究에 使用된다. ETDRS의 데이터는 各 줄에 모든 文字를 使用하지 않으면서 各 줄마다 同一한 平均的인 難解함을 提供하는 文字 組合의 選擇에 使用되었다.
1984 ICO(International Council of Ophthalmology)는 상기 言及된 機能들을 統合한 새로운 視力 測定 標準(Visual Acuity Measurement Standard)을 承認한다.

視力의 表現 [ 編輯 ]

視力 尺度
피트 미터 10陣 LogMAR
20/200 6/60 0.10 1.00
20/160 6/48 0.125 0.90
20/125 6/38 0.16 0.80
20/100 6/30 0.20 0.70
20/80 6/24 0.25 0.60
20/63 6/19 0.32 0.50
20/50 6/15 0.40 0.40
20/40 6/12 0.50 0.30
20/32 6/9.5 0.63 0.20
20/25 6/7.5 0.80 0.10
20/20 6/6 1.00 0.00
20/16 6/4.8 1.25 -0.10
20/12.5 6/3.8 1.60 -0.20
20/10 6/3 2.00 -0.30

視力은 一般的으로 란돌트 C 터블링 E 와 같은 各其 다른 記號의 크기나 스넬렌 視力 檢査表 에 나타나는 글字 크기에 따라 測定된다.

이름 준말 正義
손가락 世紀(Counting Fingers) CF 주어진 거리에서 손가락의 數를 셀 수 있음.
손 움직임(Hand Motion) HM 患者의 얼굴 앞에서 손이 움직이는지 아닌지를 區別할 수 있음.
빛 認知(Light Perception) LP 어떠한 빛이라도 認知할 수 있음.
빛 認知 不能(No Light Perception) NLP 어떠한 빛도 볼 수 없음. 完全한 盲目.

法的 定義 [ 編輯 ]

  • 視力 檢査表로부터의 距離
    • D (distant, 먼 距離) - 20피트 (6.1미터)
    • N (near, 가까운 距離) - 15.7인치 (40센티미터)
  • 視力 測定을 받는 눈
    • OD ( oculus dexter ) - 오른쪽 눈
    • OS ( oculus sinister ) - 왼쪽 눈
    • OU ( oculi uterque ) - 兩쪽 눈
  • 視力 測定 時 補正機(眼鏡 따위)의 利用
    • cc ( cum correctore ) - 補正機 着用
    • sc ( sine correctore ) - 補正機 着用 안 函
  • 핀홀 遮蔽機 (PH)

最大 矯正 視力 [ 編輯 ]

最大矯正視力이란 矯正視力과는 差異가 있는 槪念이다. 矯正視力이란 意味는 眼鏡,렌즈 等을 着用한 狀態에서 屈折異常 狀態를 除去하여 視力을 矯正하는 것을 意味한다.

그러나 最大矯正視力이란 正確히 말하면 網膜에 像이 올바로 맺히게 屈折異常을 矯正하여 最大限 잘 나온 視力을 意味한다.

最大矯正視力은 矯正視力과 같을 수도 다를 수도 있다. 屈折異常(近視,亂視,遠視)等을 矯正하여 視力을 測定하는 點은 矯正視力과 같지만 差異點은 흔히 眼鏡이나 렌즈의 무게等으로 인하여 사람들은 最大矯正視力에 依한 眼鏡을 着用하지 않는다.

最大 矯正視力은 事實上 屈折異常을 眼科에서 試驗用 矯正렌즈等을 利用하여 校正한 것이어서 一般的인 網膜이나 視神經에 問題가 없는 限 頂上視力이 나오기 마련이다. 또한 矯正視力보다 視力이 높게 나오기 마련이다.

法的 身體等位判定의 基準도 2009年 以後 最大矯正視力으로 變更되었으며 國民年金法에 依한 障礙年金度 屈折異常(近視,亂視,遠視)等이 있다고 하여 矯正視力만으로 障礙年金을 障礙等級을 判定하지 아니하고 最大矯正視力을 基準으로 等級을 判定한다.

頂上 視力 [ 編輯 ]

頂上 視力은 빛이 얼마나 正確하게 網膜에 焦點을 맞추는지, 또 눈의 神經 要素들의 無結成과 腦의 解釋 能力에 따라 달라진다. [9] "正常" 視力은 허먼 스넬렌 (Herman Snellen)李 定한 基準을 主로 따르는데, 나이가 어린 사람을 基準으로 視力檢査表 에 5分 角度로 對할 때 스넬렌의 檢査表로 1.0 (10陣), 0.0 logMAR, 20/20피트, 6/6미터를 認知할 수 있는 것을 正常으로 看做한다. 屈折 以上 이 있는 健康한 젊은 사람의 平均 視力은 6/5에서 6/4 미터로, 6/6 視力(10陣으로 1.0)을 完璧한 視力으로 看做하는 것은 不正確하다.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 Duane's Clinical Ophthalmology , V.1 C.5, V.1 C.33, V.2 C.2, V.2 C.4, V.5 C.49, V.5 C.51, V.8 C.17,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4.
  • (러시아語) Головин С.С. Сивцев Д.А. Таблица для исследования остроты зрения. 3 изд. М., 1927
  • Clinical Procedures for the Ocular Examination, Third Edition, McGraw Hill, Carlson & Kurtz, 2004

各州 [ 編輯 ]

  1. Cline D; Hofstetter HW; Griffin JR. Dictionary of Visual Science . 4th ed. Butterworth-Heinemann, Boston 1997. ISBN   0-7506-9895-0
  2. Herman Snellen (www.whonamedit.com)
  3. “Colenbrander A (2001). Measuring Vision and Vision Loss” (PDF) . 2014年 12月 4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09年 7月 10日에 確認함 .  
  4. Landolt E. (1888), Methode optometrique simple , Bull. Mem. Soc. Fran. Ophtalmol. 6:213?214.
  5. Grimm, Rassow, Wesemann, Saur, Hilz (1994). Correlation of optotypes with the Landolt Ring ? a fresh look at the comparability of optotypes ,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71(1), 6?13
  6. Strasburger, Rentschler, Juttner (2011). Peripheral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a review. Journal of Vision, 11(5):13, 1?82
  7. Wertheim, T. (1894). Uber die indirekte Sehscharfe. Zeitschrift fur Psycholologie & Physiologie der Sinnesorgane, 7, 172?187.
  8. Taylor HR. (1981). Racial Variations in Vision, Am. J. Epidemiol. 113(1): 62?80
  9. Carlson, N; Kurtz, D.; Heath, D.; Hines, C. Clinical Procedures for Ocular Examination. Appleton & Lange: Norwalk, CT.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