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便紙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便紙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書信 에서 넘어옴)

典型的인 便紙와 便紙封套

便紙 (便紙, 片紙)는 相對方에게 消息이나 用務를 傳하는 글을 말한다. 干黷 (簡牘) 또는 書札이라고도 한다.

팩시밀리 , 携帶 電話 , 컴퓨터 디지털 機器의 發達로 相對方에게 消息이나 用務를 傳하는 效率性이 높아졌다. 디지털 機器의 發達과 함께 인터넷 의 登場으로 便紙를 보내는 일이 이메일 , 文字 메시지 , 메신저 , SNS 等의 方式으로 質的으로, 量的으로 增加했다. 過去의 ' 아날로그 敵 感性'을 所重하게 생각하여 이러한 機器를 排除한 方式을 使用하는 사람들도 있고, 疏通의 效果를 極大化하고자 디지털 方式과 아날로그 方式을 折衷해서 使用하는 사람들도 있다. [1] [2] [3] [4] [5] 新約聖書 의 一部가 사도 들의 便紙이며, 便紙를 통해 當時 歷史를 理解할 수 있을 만큼 便紙의 歷史 는 깊다. [6]

인터넷의 發達은 政治的, 經濟的, 社會的, 文化的으로 便紙의 힘을 極大化시켰다. [7] [8] [9] [10] [11] [12] [13] [14]

便紙를 다른 말로, 書簡 (書簡), 書信 (書信)이라고도 하며 便紙는 옛말로 書翰 (書翰)이라고 불렸다.

親書 (親書)는 한 나라의 怨讐로부터 他國의 元首에게 보내는 署名이 된 書信으로, 元來는 '自筆의 書信'이라는 意味이다. 現在는 受賞으로부터의 書信의 境遇에도 使用된다. 正式의 外交文書는 아니나 外交上 頻繁히 使用된다. [15]

便紙글 [ 編輯 ]

便紙글이란 하고 싶은 말을 相對에게 傳達하기 위해 쓰는 文章으로, 사람이 社會生活을 하는 데 要緊하게 쓰이는 가장 實用的인 文章이다. 書簡文(書簡文)이라고도 한다.

便紙글이 지닌 가장 重要한 特徵은, 學術論文이나 文學作品처럼 多數의 사람들을 對象으로 쓴 글이 아니라, 특정한 相對를 對象으로 하여 쓰는 글이란 點이다. 따라서 便紙에서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할 것은 相對가 누구인가 하는 點이다.

그 다음은 用件(用件)李 무엇인가를 생각해야 한다. 便紙를 쓰는 데에는 반드시 어떤 用件이 있을 것이다. 비록 그것이 別 具體的인 用件 없이 相對의 安否를 묻고 自己의 近況을 알리는 便紙라 해도 그것 亦是 文案(問安)이 곧 用件인 것이다.

便紙의 相對와 用件이 決定되면, 이番에는 그 事緣을 어떻게 하면 效果的으로 傳達할 수 있을까를 硏究해야 한다. 오늘날 잘 쓴 便紙란 相對方을 만나서 말을 하듯 자연스럽게 쓴 便紙를 말한다. 그래야만 글이 生動感을 갖게 되어 받는 이에게 共感을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便紙는 相對와 直接 얼굴을 對하고 하는 말과 달라서, 表情이나 音程, 語感이 傳達되지 않는 탓에 用件의 內容이 充分히 傳達되지 못할 憂慮가 있기 때문에 더욱 細心하게 格式과 禮儀를 따져서 써야 한다. 또한 自身의 筆體가 直接 남에게 傳達되는 글이므로 精誠껏 맞춤法에 맞추어 깔끔하게 써야 한다. 反面 便紙글에는 말로써 直接 하지 못하는 用件을 間接的으로 眞實하게 表現할 수 있다는 利點이 있다. 생각을 整理하여 條理 있고 簡潔하게 表現함으로써 直接的인 音聲言語보다 더 큰 呼訴力을 가질 수 있는 것 또한 便紙글의 한 長點이다. [16]

一般 構成 [ 編輯 ]

一般的으로 使用하고 있는 便紙글의 構成 形式은 다음과 같다. [17]

  1. 呼稱 및 書頭
  2. 季節에 關한 人事
  3. 問安 人事
  4. 自身의 安否
  5. 事緣(用件)
  6. 끝人事
  7. 날짜, 署名

普通 便紙글은 위의 일곱 段階로 이루어진다. 勿論 便紙글이 반드시 이 일곱 가지 規格을 다 갖출 必要는 없다. 便紙의 相對·種類·內容에 따라 適當한 融通性이 있게 마련이다.

呼稱 및 書頭 [ 編輯 ]

相對方의 稱號와 함께 便紙글을 始作하는 部分이다. 從來의 便紙에 있어서 呼稱은 相對에 따라 여러 가지로 까다로웠지만, 오늘날에는 우리말로 자연스럽게 相對方을 부르는 말로 쓰고 있으며, 때로는 省略할 수도 있다. 다만 웃어른에게 쓰는 便紙에서는 呼稱이 禮儀에 어긋나지 않도록 注意하여야 한다.

季節에 關한 人事 [ 編輯 ]

季節에 關한 人事란 相對方의 安否를 묻기 前에 季節과 聯關시켜 자연스럽게 人事를 始作하는 部分이다. 사람의 健康은 季節과 密接한 關係가 있으므로, 相對方의 安否를 묻기 前에 季節에 關한 이야기를 하는 것이 慣習化된 것이다.

'驚蟄이 지나니 이제 宛然한 봄입니다' '매미 울음소리가 무척이나 힘차게 들립니다' 等 自己가 보고 느낀 것을 그대로 자연스럽게 쓰면 된다.

問安 人事 [ 編輯 ]

問安 人事는 便紙글 中에서 가장 鄭重하고 禮儀를 갖추어야 할 部分이다. 건성으로 묻는 것 같은 印象을 주거나 人士가 지나쳐 阿諂을 하는 것처럼 보여서는 안 될 것이다. 安否 人事에서 가장 重要한 點도 精誠이 깃들여 있어야 한다는 點이다.

安否 人事에는 大槪 相對方의 健康에 關한 것, 그 相對가 아끼는 家族에 關한 것, 그의 事業이나 職場일, 그의 趣味에 關한 것들이 이야기되면 充分할 것이다.

自己의 眼部 [ 編輯 ]

相對方의 安否를 묻고 나면 이番에는 相對方의 궁금症을 풀어주고 親密感을 表示하기 위해 自己의 近況도 相對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父母님이나 兄弟, 가까운 親戚에게는 그들이 安心할 수 있도록 具體的으로 安否를 알리고, 事務的인 일로 便紙를 쓰는 境遇 等은 가볍게 쓰고 지나가면 된다. 自己의 安否를 적는 部分에 自己 安否뿐만이 아니라 相對方과 關係가 있는 분들의 이야기를 곁들이는 것도 좋은 方法이다.

事緣 [ 編輯 ]

自己 安否까지 傳하고 나면 그 다음은 事緣을 쓰게 된다. 事緣이 始作되기 前까지는 이 事緣을 말하기 위한 禮儀 節次에 지나지 않는다.

事緣은 '드릴 말씀은 다름이 아니오라' '다름 아니오라'라는 말로 始作하는 것이 一般的이나 그것마저 빼고 줄을 바꾸어서 바로 事緣을 始作하여도 괜찮다. 便紙의 事緣은 무엇 때문에 그 便紙를 쓰는가 하는 便紙의 種類에 따라 달라진다. 便紙 事緣의 基礎는 事實의 敍述이다. 正確하고 빠짐 없이 있는 事實 그대로 眞心으로 쓰는 것이 原則이라 할 수 있다. 事實을 敍述할 때는 반드시 要點이 明確해지도록 힘써야 한다.

便紙 事緣 끝에는 事緣의 結論에 該當하는 말을 덧붙임으로써 받는 이의 注意를 喚起시키거나, 理解를 求하는 것이 좋다.

  • '찾아 뵙고 말씀드림이 마땅한 줄 알면서도 便紙로 아뢰어 罪悚하오며'
  • '바쁘신 中 귀찮은 일을 아뢰어 매우 罪悚합니다'라고 쓰는 것

等이 그것이다.

끝人事 [ 編輯 ]

사람끼리 만나서 이야기하다 헤어질 때 人事가 있듯이 便紙에도 끝人事가 있게 마련이다.

  • '부디 몸操心하십시오'
  • '健康하시기를 비옵니다'

等이 그것이다.

끝人事가 끝나면 막음말이 온다.

  • '그럼 이만'
  • '이만 줄입니다' 等이 無難하다.

날짜, 署名 [ 編輯 ]

便紙에는 반드시 發信 날짜를 쓰는 것이 좋다. 그렇게 해야만 便紙 事緣 中의 일이 언제 일어난 일인지를 보다 明確히 알 수 있고, 나중에 參考하기도 좋기 때문이다. 날짜 다음에는 自己의 이름을 써야 한다. 그리고 自己 이름 위에 쓰는 自己 稱號는 相對에 따라 쓰는 法이 定해져 있다.

  • 父母님께 '小子 ○○上書'
  • 스승님께 '弟子 李○○ 上書'
  • 어른들께 '侍生 李○○ 拜'
  • 兄님에게 '동생 ○○ 拜'

그리고 집안 어른이 아랫사람에게 하는 便紙에는, 또 夫婦 사이의 便紙에는 署名을 하지 않는다.

  • '父 書' '아비 씀'
  • '夫 拜'
  • '妻 拜上'
  • '水原 누이 씀'
  • '從兄 ○○ 書'

署名 아래 쓰는 말로는 '拜, 上書, 올림, 드림' 等이 가장 無難하다.

기타 [ 編輯 ]

便紙에 署名까지 하고 나서 새로 할 말이 생각난다든지, 便紙의 본 事緣과는 全혀 相關 없는 일을 따로 알릴 必要가 있다든지, 內容 中에 빠진 部分이 있을 때는 끝 餘白에 添加하면 된다. 그때에는 '追告, 追白'이라고 始作한다.

封套 쓰기 [ 編輯 ]

封套쓰기는 세로쓰기와 가로쓰기가 있으나 遞信部(只今의 情報通信部)에서 1984年부터 가로쓰기로 統一했다.

便紙를 받았을 때 第一 먼저 對하는 것이 겉封이므로 封套쓰기度 便紙글 쓰기 못지 않게 重要하다.

封套쓰기에 있어 留意할 點은 이름字는 住所보다 크게, 그리고 住所와 이름 첫글字는 위아래로 나란히 써야 한다는 것이다. 이때 自己의 郵便番號를 分明히 적어야 한다. 그것은 相對가 答狀을 쓸 때 郵便番號를 찾아보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드리는 禮義이다.

郵票를 添附할 때에도 定해진 자리에 端正히 붙이고, 풀을 붙여 봉한 자리에 ×標를 하는 境遇가 있는데, 이는 日本式이니 避하는 것이 좋다. '封·敬' 等의 글字를 쓰면 좋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정철훈. 文學…小說家 金薰·아나운서 임성민 . 國民日報. 2001年 12月 24日.
  2. 나성엽. "디지털 終着點은 아날로그"…사람냄새 풍겨야 感動 . 東亞日報. 2002年 2月 26日.
  3. ‘손글씨의 美學’ 캘리그래피의 世界 . 東亞日報. 2004年 6月 24日.
  4. 정세라. ‘1324世代’ 따뜻한 디지털 꿈꾼다 . 한겨레新聞. 2005年 5月 1日.
  5. 안수영. 갤럭시노트2, 100% 活用하기 - 핸드라이팅 . 東亞日報. 2013年 4月 1日.
  6. 김진오. 燦爛한 文明과 野蠻의 두 얼굴…'聖經의 에베소' . 노컷뉴스. 2014年 3月 10日.
  7. “SNS는 國民에게 보내는 便紙입니다” . 政策브리핑. 2011年 10月 13日.
  8. 이재훈·김지훈. 고승덕 딸 “‘아들 때문에 울었다’는 記事 보고 公開 便紙” . 한겨레新聞. 記事入力 2014年 6月 1日. 記事修訂 2014年 6月 2日.
  9. 안호천. 소셜네트워크 戰爭 最終 勝者는 `이메일` . 電子新聞. 2013年 6月 3日.
  10. 이지상. 眞正한 參與 政治의 始作... '스마트 폴리틱'時代 왔다 . 해럴드經濟. 2010年 5月 18日.
  11. 트위터의 힘?, 이메일을 탈바꿈시키다 . 해럴드經濟. 2010年 5月 28日.
  12. 오정호. 人間 關係는 進化하는가 . PD저널. 2013年 4月 5日.
  13. 지홍구. 體面 던진 최문순 江原知事, 감자販賣度 `쑥` . 每日經濟. 2014年 1月 22日.
  14. 정명진. 江北三星病院, 키오스크로 映像便紙,손便紙 傳達 서비스 始作 . 파이낸셜뉴스. 2013年 3月 4日.
  15.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 〈親書〉
  16.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 〈便紙글〉
  17.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 〈便紙의 一般的 形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