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넉번 戰鬪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배넉번 戰鬪
第1次 스코틀랜드 獨立 戰爭 의 一部
날짜 1314年 6月 23日 ~ 6月 24日
場所
結果 스코틀랜드의 決定的 勝利
交戰國
指揮官
兵力
5000 ~ 10000 名 13700 ~ 25000 名
被害 規模
400 ~ 4000 名 起兵 700名
步兵 4000 ~ 11000 名

배넉번 戰鬪 (Battle of Bannockburn)는 스코틀랜드 獨立 戰爭 期間 中인 1314年 6月 23日부터 24日에 걸친 이틀 동안에, 스코틀랜드 王 로버트 1歲 가 이끄는 스코틀랜드軍이 스코틀랜드 스털링의 배넉번에서 잉글랜드 王 에드워드 2歲 가 이끄는 잉글랜드君의 侵攻을 막아 낸 戰鬪이다. 以後 스코틀랜드가 公式的으로 獨立한 것은 14年 後이지만 배넉번에서의 勝利가 크게 寄與를 했다는 것은 顯著한 事實이다. [1]

1313年 로버트 1世는 退位당한 스코틀랜드 王 존 발리올 에게 如前히 충성하는 支持者들에게 領地를 잃고 싶지 않으면 로버트 1歲를 王으로 認定할 것을 要求했다. 또한 當時 잉글랜드軍에 依해 占領當한 스털링 誠意 指揮官은 1314年 6月 24日까지 包圍가 풀리지 않으면 스코틀랜드에 降伏하겠다는 約束을 로버트 1世와 한 狀態였다. [2] 이를 名分으로 에드워드 2世는 25,000名의 軍士와 2,000名의 中長期病을 이끌고 스코틀랜드를 侵攻했다. 이에 맞서는 스코틀랜드軍은 6,000名이었고 로버트 1世는 이를 3個의 스킬트론 으로 나눠 各自 自身과 동생 에드워드 브루스 , 조카 토마스 랜돌프 가 이끌게 했다. [1]

첫날 戰鬪에서 잉글랜드君의 中長期病 指揮官 中 하나인 헨리 드 寶運 이 로버트 1歲의 도끼에 맞아 죽자 잉글랜드軍은 밤까지 退却했다. [3] 이 날 잉글랜드君의 脫營兵에게서 잉글랜드群 基地의 位置와 낮은 詐欺로 因한 雰圍氣를 들은 로버트 1世는 自身의 스킬트론을 이끌고 總攻勢를 計劃했다. 이어진 回戰 에서 스코틀랜드軍은 길버트 드 클레어 , 로버트 드 클리퍼드 等의 잉글랜드軍의 主要 指揮官들을 處置하며 勝利했다. [1]

배넉번 戰鬪의 勝利는 스코틀랜드 歷史上 가장 記念되는 戰鬪이고 數 世紀 동안 詩와 藝術로 기려졌다. 1964年에는 正確한 戰鬪의 位置는 不確實하지만, 이 戰鬪가 있었을 것으로 推定되는 곳에 이 戰鬪의 記念碑가 세워졌다. [4]

1960年代에 로이 윌리엄슨 이 作詞 및 作曲한, 스코틀랜드의 事實上 國家인 《 스코틀랜드의 꽃 》은 이 배넉번 戰鬪에서의 勝利를 다루고 있다.

背景 [ 編輯 ]

스코틀랜드 잉글랜드 사이의 第1次 스코틀랜드 獨立 戰爭 1296年 始作되었다. 開戰 初期 에드워드 1歲 의 指揮 아래 잉글랜드軍은 던바 戰鬪 베릭을 陷落 하며 乘勝長驅했다. 스코틀랜드의 王 존 발리올 이 王座에서 물러나게 된 것도 잉글랜드君의 勝機에 寄與했다. 스코틀랜드軍은 1297年 스털링 다리 戰鬪 에서 잉글랜드君을 擊破하였으나 에드워드 1世가 이끄는 잉글랜드軍은 폴커크 戰鬪 에서 反擊했다. 1304年 에 스코틀랜드는 完全히 점령당했으나 1306年 로버트 1歲 가 스코틀랜드 王座를 차지하면서 戰爭이 다시 始作되었다. [5]

에드워드 1世가 죽은 뒤, 그의 아들 에드워드 2歲 1307年 卽位하였으나 그의 아버지가 보여준 리더쉽을 發揮하기엔 力不足이었고 그의 地位도 흔들렸다. [5]

1313年 , 로버트 1世는 남아있는 발리올 支持派의 忠誠과 잉글랜드 側 要塞인 스털링 性 의 降伏을 要求하며 拒絶하면 그들의 領地를 빼았을 것이라고 했다. 스털링 姓은 北쪽의 하이랜드 地方으로 가는 길을 統制하고 있었기에 잉글랜드 軍의 主要 據點 中 하나였다. 姓은 1314年 로버트 1世의 동생 에드워드 브루스 에 依해 包圍되었으며, 1314年 6月 24日까지 包圍를 풀지 못하면 스코틀랜드軍에 降伏하겠다는 合意를 했다. [5]

잉글랜드는 이를 無視할 수 없었고 스코틀랜드로의 遠征을 準備했다. 에드워드 2世는 이 遠征을 위해 잉글랜드 , 웨일즈 , 아일랜드 等地에서 2,000名의 中長期兵科 25,000名의 臟弓으로 武裝한 兵士들을 召集했다고 알려져있으나 實際로 이中 約 折半 以上만이 到着한 것으로 推定된다. 그럼에도 如前히 잉글랜드 歷史上 가장 큰 規模의 스코틀랜드 遠征이었다. 스코틀랜드軍은 6,000餘名으로 推定되며, [1] 騎兵은 500名 以下였다. [5] 또 잉글랜드君의 騎兵과 달리, 스코틀랜드君의 騎兵은 敵陣에 突擊하기엔 裝備가 不實했고 散兵戰 이나 偵察 에만 적합했다. 스코틀랜드君의 步兵들은 도끼나 檢, 파이크 等으로 武裝했으며 오직 少數의 弓手만 있었다. [2]

스코틀랜드軍에 비해 잉글랜드軍의 正確한 數値的 差異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現代의 硏究陣은 스코틀랜드軍이 잉글랜드軍과 맞닥뜨렸을 때의 電力 差異가 1.5倍에서 3倍 程度라고 推定하고 있다. [6]

戰鬪 [ 編輯 ]

戰場의 位置 [ 編輯 ]

배넉번 戰鬪가 일어난 正確한 位置에 對해서는 여러 意見이 있으나, 大部分의 現代의 歷史家들은 現在의 記念碑와 觀光 案內所가 位置한 遺跡地 [7] 는 正確하지 않다고 보고 있다. [8]

많은 場所들이 提示되었지만 現代의 年史家들은 但只 두 곳만이 眞摯하게 考慮할 價値가 있다고 믿는다. [9]

  • 遺跡地 東쪽으로 約 .75 마일 (1.21 km) 떨어진 발키데落 마을 外郭의 土炭 地帶. [10]
  • 遺跡地 北東쪽으로 約 1.5 마일 (2.4 km) 떨어진 발키데落 低地帶. 이 곳은 내셔널 트러스트 抛 스코틀랜드 가 有力한 곳으로 採擇한 地域이다. [11]

戰鬪 첫째 날 [ 編輯 ]

배넉번 戰鬪 첫째 날의 樣相

大部分의 中世 戰鬪는 길어도 數 時間동안만 持續되며 짧게 끝나지만, 배넉번 戰鬪는 異例的으로 이틀동안 持續되었다. 1314年 6月 23日 잉글랜드軍은 두 個의 騎兵隊를 進擊시켰다. 그中 하나는 글로스터 의 伯爵 길버트 드 클레어 헤리퍼드 의 伯爵 험프리 드 寶運 이 이끌었다. 그들은 로버트 1世가 이끄는 스코틀랜트軍과 맞딱드렸고 이어 로버트 1世와 험프리 드 寶運의 조카 헨리 드 寶運 은 서로 交戰을 始作했다. 드 寶運은 로버트 1歲에 突擊을 敢行하였으나 로버트 1歲의 도끼에 머리가 두동강났다. [12] 그 後 스코틀랜드軍은 잉글랜드君을 向해 突擊했고 나뭇가지로 가려진 얕은 구덩이들을 避해 좁은 隊列을 이루던 英國의 中長期病은 힘을 發揮하지 못하고 後退했다. 戰鬪 中 글로스터 伯爵은 負傷을 입고 말을 잃었으며 그의 部下들에 依해 救助되었다. [13]

戰鬪 둘째 날 [ 編輯 ]

배넉번 戰鬪 둘째 날의 樣相

밤 동안 英國軍은 배넉번으로 알려진 江을 건너 그 너머의 平野에 그들의 基地를 세웠다. 잉글랜드軍에서 에드워드 2世를 위해 싸우던 스코틀랜드 出身의 記事 알렉산더 새턴은 밤 사이 잉글랜드君을 脫營하고 로버트 1世에게 잉글랜드君의 士氣가 떨어졌다는 消息과 함께 攻擊을 부추겼다. [5]

다음 날 이른 아침 스코틀랜드軍은 進擊했고 東이 튼지 얼마되지 않아 숲을 나와 잉글랜드君의 基地 앞까지 到着했다. 잉글랜드君의 글로스터 伯爵과 헤리퍼드 伯爵은 누가 선봉을 이끌지에 對해 論爭했고 글로스터 伯爵은 王에게 이番 戰鬪에서는 한발 물러나야 한다고 說得했다. 그러나 이로 인해 王은 그를 怯쟁이라고 非難하게 되었다. 그 非難에 마지못해 글로스터 伯爵은 進擊했으나 그를 따라간 사람은 少數에 不過했고 그가 敵陣에 到着하자마자 포위당해 殺害되었다. [5]

잉글랜드君의 騎兵隊는 漸次 밀려났으며 스코틀랜드君의 스킬트론 에 依해 落馬했다. 잉글랜드君의 臟弓兵들은 我軍을 射擊 할까봐 騎士들의 進擊을 돕지 못했다. 그에 잉글랜드軍은 臟弓病들을 側面으로 迂廻시키려 했으나 그들은 스코틀랜드群 怨讐 로버트 키스 警 이 이끄는 500名의 騎兵隊에 依해 敗退했다. [14] 이 後 에메르 드 발랭스 의 判斷 아래 잉글랜드 王은 500名의 警護 記事들과 함께 後退했다. [14]

잉글랜드君의 後退 [ 編輯 ]

에드워드 2世는 個人 警護隊와 함께 도망쳤으며 이 消息을 接한 남은 잉글랜드軍은 魂飛魄散이 되었다. 에드워드 2世는 먼저 스털링 城으로 逃走했으나 誠意 指揮官 필립 드 모브레이는 性이 곧 降伏할 것이라며 그를 拒絶했다. [15] 그 後 에드워드 2世는 제임스 더글라스가 이끄는 追擊代를 被害 던바 性 으로 後退했고 배를 통해 베릭으로 逃走했다. 남은 잉글랜드 軍士들은 戰場으로부터 南쪽으로 90 마일 (140 km) 떨어진 잉글랜드 國境의 安全한 곳으로 脫出을 試圖했다. 많은 敗殘兵들이 스코틀랜드 軍隊나 그들이 거쳐간 시골의 住民들에 依해서 죽었다.

各州 [ 編輯 ]

  1. “BBC ? Scotland's History ? The Battle of Bannockburn” . 《BBC》 . 2018年 12月 2日에 確認함 .  
  2. Fawcett, Richard (1995). Stirling Castle. B.T. Batsford/Historic Scotland. ISBN 0-7134-7623-0 . p.23
  3. Maxton, Sir Herbert, Robert the Bruce and the struggle for Scottish independence, 1909
  4. “Robert the Bruce statue returned to Bannockburn battle site” . 《BBC》.  
  5. Black, Jeremy. (2005). The Seventy Great Battles of All Time . pp. 71?73. Thames & Hudson Ltd. ISBN   0-500-25125-8 .
  6. Watson, F., "In Our Time: The Battle of Bannockburn" , BBC Radio, 3 February 2011
  7. “OS 25 inch map 1892?1949, with Bing opacity slider” . 《National Library of Scotland》. Ordnance Survey . 2017年 10月 12日에 確認함 .  
  8. Mackenzie, W. M. (1913). The Battle of Bannockburn: a Study in Mediaeval Warfare , Publisher: James MacLehose; Glasgow.
  9. Barrow, Geoffrey W.S. (1998). Robert Bruce & The Community of The Realm of Scotland . ISBN   0-85224-604-8
  10. Barron, E.M., The Scottish War of Independence: a Critical Study , 1934
  11. Christison, Philip , Bannockburn: The Story of the Battle , 1960, Edinburgh: The National Trust for Scotland.
  12. Hyland, Ann. The Warhorse 1250?1600 , UK: Sutton Publishing, 1998, p 38
  13. The Battle of Bannockburn britishbattles.com. Retrieved 14 June 2014.
  14. Scott, Ronald McNair (1982). Robert the Bruce King of Scots. London: Hutchinson & Co.
  15. Barrow, Geoffrey W.S. (1988). 《Robert Bruce and the Community of the Realm of Scotland》. Edinburgh University Press. 23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