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바룩서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바룩서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바룩 또는 바룩서 코이네 그리스어 로 飜譯되거나 執筆된 舊約聖經 (또는 히브리聖經)인 70인譯 聖經의 一部分으로 基督敎와 유대敎에서 畏敬 또는 第2情景으로 삼는다. 70인譯 에서 題目은 "바루크" (Βαρουχ)이며, 原本이 코이네 그리스어 로 作成된 것이 確實하고 콥트語 시리아어 等의 譯本이 있다. 70인譯 의 畏敬 中에서는 內容이 敵은 總6章으로 構成되었다. 本文에서 著者는 예레미야 의 弟子이며 同僚인 "바룩"으로 紀元前 7-6世紀 人物이라고 밝히나, 實際로는 本文이 다양한 內容과 時代的 背景을 지닌 文獻으로 構成되어, 傳承된 여러 文書를 바룩의 思想에 따라 蒐集하고 整理한 이름 모를 編輯者를 著者로 본다. 改新敎會 에서와 유대敎 에서는 舊約 畏敬 으로, 東方正敎會 로마 가톨릭교회 에서는 舊約聖經 第2 經典 으로 認定하고 있다.

本文 序文에서 著者는 예레미야 의 弟子이자 同僚였던 네리야의 아들 "바룩"으로 나온다. [1] 하지만 實際的으로 本文은 다양한 著者들의 글을 編輯한 것이고, 本文의 編輯된 글들은 各各의 作成 時期가 紀元前 2世紀에서 紀元前 1世紀 警까지로 區分할 수 있으며, 本文의 文體를 分析해 보면 히브리어 飜譯文과 코이네 그리스어 文獻이 섞여서 構成되었다. 그러므로 實際 編輯本을 完成한 著者는 紀元前 1世紀 警에 살았고, 예레미야 의 同僚인 네리야의 아들 바룩 예레미야서 에서 예레미야 가 傳했던 豫言의 말씀을 받아쓰고, 예레미야 代身 聖殿에서 朗讀한 事件 [2] 의 模本을 따라서 豫言者들의 글을 編輯하여 바룩처럼 한데 모아 그 時代에 傳하는 目的을 위해서 作成한 것으로 보인다. 編著者는 이러한 傳承을 文書 構造에도 繼承하여 바룩서의 本文 構成은 舊約 豫言者의 글, 卽 豫言書의 構成을 따르며 意圖的으로 紀元前 6世紀 바빌론 致賀 時代를 背景으로 놓고 作成했다.

바룩의 構成은 歷史的 序論과 告白과 舊怨, 智慧의 讚美, 예루살렘을 위한 希望, 예레미야의 便紙로 이뤄졌다. 冊의 題目은 著者로 밝히는 바룩 이 作成했다는 主張보다는 紀元前 6世紀 바벨론 治下의 어려운 時期에서도 豫言이 끊어지지 않았던 것처럼, 紀元前 1世紀 狀況에서도 그 豫言이 傳해지고 있다는 事實을 强調하고자 한 作品의 題目으로 보는 것이 적합할 것이다. 바룩度 다른 70인譯 코이네 그리스어 文獻처럼 코이네 그리스어 를 使用하고 헬라文化에서 살아가는 이들 中 唯一神 信仰을 지닌 유대人과 유대敎 入門者에게 唯一神 信仰과 豫言者의 思想을 理解하도록 旣存의 文獻을 飜譯하고 編輯하여 完成한 것이다.

네리야의 아들 바룩은 豫言者 예레미야 의 豫言을 받아쓰고, 聖殿에서 朗讀한 人物로서 尊重되어 祈願後에 形成된 文書에서도 바룩의 이름으로 쓰여진 冊이 여러 卷 傳해지며, 네리야의 아들 바룩의 이름으로 有名한 文書는 畏敬 以外에도 "바룩의 默示錄"으로 불가타 譯本을 통해 傳해진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共同飜譯 聖書》바룩 1:1, "이 冊에 記錄된 말씀은 바룩이 바빌론에서 쓴 것이다."
  2. 《共同飜譯 聖書》예레미야 36:4 "그래서 예레미야는 네리야의 아들 바룩을 불러 왔다. 바룩은 예레미야가 불러 주는 대로 야훼께서 하신 말씀을 그 두루마리에 모두 記錄하였다.", 36:8 "네리야의 아들 바룩은 豫言者 예레미야가 시킨 대로 야훼의 말씀이 적힌 冊을 가지고 야훼의 聖戰에 가서 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