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민현식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민현식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민현식
2002年 5月 韓國藝術綜合學校
人物 情報
國籍 大韓民國
出生 1946年 10月 21日 ( 1946-10-21 ) (77歲)
美 軍政 朝鮮 慶尙南道 안의군
出身 大學 서울大學校
Architectural Association School of Architecture|AA建築學校
所屬 建築士事務所 기오헌
韓國藝術綜合學校 美術員 建築과
業績
建築物 신도리코 牙山工場
臨津閣 平和누리
한국전통문화학교
동숭敎會
國立國樂中高等學校
프로젝트 光州 아시아文化中心都市 基本構想
가고 싶은 섬 賣物도
火星 歷史文化都市 基本構想
濟州特別自治道 警官 및 管理計劃
受賞 金壽根 文化賞 ( 1992年 )
한국건축가협회 特別賞 아천상 ( 1993年 )
韓國建築文化大賞 ( 1993年 )
한국건축가협회 上 ( 2000年 )
한국건축가협회 엄덕문上 ( 2003年 )
一脈文化大賞 文化藝術賞 ( 2009年 )

민현식 (閔賢植, 1946年 10月 21日 ~)은 大韓民國 의 建築家이다.

서울大學校 建築學科를 卒業한 後 空間硏究所, 願都市 建築 에서 實務를 익혔으며, 런던 AA 스쿨 에서 修學하였다. 1996年 建築士事務所 기오헌(寄傲軒) 을 設立하였고, 1997年 以後 韓國藝術綜合學校 美術員 建築科 敎授로 在職하였다. [1] [2]

生涯 [ 編輯 ]

민현식은 1946年 大韓民國 慶尙南道 에서 태어났다. 空間그룹에서 김수근 밑에서 經歷을 쌓았고, 願都市 建築으로 옮겨와 實務를 繼續하였다. 1980年 以來로는 建築家 윤승중 願都市 建築 에서 파트너로 協業하였다. 以後 1989年 에서 1990年 사이 1年間 런던 AA스쿨에서 修學하였고, 1992年 부터 自身의 建築事務所(민현식 建築硏究所, (現)기오헌寄傲軒)를 運營하였다. 민현식은 最近까지 敎授로 在職했던 韓國藝術綜合學校 美術員의 建築科를 1997年 에 設立한 主要 構成員이다.

活動 [ 編輯 ]

마당 깊은 집, 봉천동 아파트, 동숭敎會, 서울과 牙山 및 中國 칭다오 等에 一連의 (週) 신도리코 建物들, 國立國樂中高等學校 , 한국전통문화학교 , 대전대학교 , KIST 複合素材硏究所 等 硏究敎育施設, 坡州 出版都市設計, 아시아文化中心都市 光州 基本構想, 濟州特別自治道 警官 및 管理計劃, 水原華城 歷史文化都市 基本計劃, 가고 싶은 섬- 賣物도 等 都市關聯프로젝트 等의 作品과 作業들, 그리고 4.3建築가 그룹, 건미준(建築의 未來를 準備하는 모임)等의 社會活動을 통하여, “비움의 構築”이라는 話頭를 가지고, 이 땅, 이 時代 建築과 都市의 새로운 理論을 構築하며, 그것의 建築的 實踐에 沒頭하고 있다. [3] [4]

4.3그룹 建築展, 1996 / 2002 베니스 建築비엔날레, 구림마을 흙의 祝祭 等 建築展에 參加하였으며, 美國 펜실베니아 大學校 招請‘비움의 構築’(민현식+ 승효상 ) 建築展,“S(e)oul-scape” 等을 가진바 있다. 著書로는 ‘땅의 空間-땅의 形局을 抽象化하는 作業’(미건사),‘비움의 構築’(동녁),‘建築에게 時代를 묻다-민현식의 韓國現代建築읽기’(돌베개) 等이 있다. [5]

그의 注目할 만한 大衆과의 疏通의 始作은 1992年 ‘時代의 反響’ 展示에서 ‘마당 깊은 집’이라는 作品으로부터 始作되었다. [6] 以後 그는 새로운 이슈를 가지고 繼續하여 作業을 선보여 왔는데, 現象學的 美學, 不確定的 空間으로서의 마당, 建築的 랜드 스케이프, 비움의 構築과 같은 主要 話頭는 그의 作品을 理解하는 키워드이다. 그의 建築的 關心은 都市의 問題로 擴張되어, 坡州出版都市, 아시아文化中心都市 光州 의 計劃 디자인 等 여러 都市計劃과 都市 디자인에 參與하였다. 恒常 論爭의 中心에 있었던 그의 作業과 建築에 對한 생각들은 韓國現代 建築과 都市의 問題에 있어 重要한 轉換點이 되었다. 무엇보다도 그의 作業의 中心에는 韓國의 傳統思想에서 起因한 비움의 構築이라는 話頭가 자리한다.

땅의 地形을 抽象化하는 것을 통해 그는 獨特한 建築的 랜드스케이프를 構築한다. 그의 建築哲學은 建築의 다른 次元을 硏究하는 方法을 提示하고 있다. 그의 作業들은 單純히 韓國現代建築의 獨自性을 밝히는 것뿐만 아니라 未來의 理論을 발전시키고 擴張시키는 役割을 한다. 여러 建築作業들과 出版, 記事, 敎育, 그리고 1996 / 2000 / 2002年 베니스 비엔날레를 包含한 國際展示, 2003年 펜실베니아 大學校 에 依해 招待된 “비움의 構築”展 과 2005年 베를린 ‘坡州出版都市’展 等을 통해 드러난 그의 建築에 對한 根本的이고 創造的인 생각들은 建築領域에서의 그의 넓은 影響力을 보여준다. 空間對象 建築賞, 김수근 文化相, 建築家協會 아천상, 建築家協會 엄덕문上, 韓國建築文化大賞 設計部門 優秀賞, 國立中央博物館 國際懸賞設計 佳作, 一脈文化大賞 文化藝術賞, 數回의 建築家協會賞 等을 受賞하였으며, 文化財委員(景觀分科), 한국건축가협회 名譽移徙(FKIA), 美國建築家協會 名譽會員( Hon. FAIA )으로 推戴되었다. [7] [8]

建築家 金泰洙 는 “建築科 社會 그리고 藝術魂의 眞實性에 對한 그의 知識과 理解의 깊이는 견줄 데 없다. 萬一 우리가 建築家는 知的 感受性을 가지고 普遍性을 探究하는 사람이라는 데 同意한다면, 그는 그런 사람이다.”라고 評價했다. [5]

主要 經歷 [ 編輯 ]

代表作 [ 編輯 ]

建築物 [ 編輯 ]

圖書 [ 編輯 ]

  • 땅의 空間:땅의 形局을 抽象化하는 作業 . 미건사 ( 1998年 ). ISBN   9788975410178
  • 비움의 構築 (민현식外 2人) . 東녘 ( 2005年 ). ISBN   9788972974789
  • 建築이란 무엇인가:우리 時代 建築가 열한 名의 省察과 事由 (민현식外 10人) . 열화당 ( 2005年 ). ISBN   9788930101714
  • 建築에게 時代를 묻다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 돌베개 ( 2006年 ). ISBN   9788971992487

各州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