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民族共同社會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民族共同社會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民族共同社會 ( 獨逸語 : Volksgemeinschaft 폴크스 게마인샤프트 [?f?lks???ma?n?aft] [ * ] )란 元來 第1次 世界大戰 當時 獨逸人들의 戰爭 支持 口號로 使用된 말이었고, 以後 엘리트主義 를 克服하고 모든 階級이 民族的으로 團結해 國家의 目的을 達成해야 한다는 思想으로 發展했다. [1] :39

民族共同社會라는 말은 고틀로프 아우구스트 티텔 이 1791年 존 로크 의 著述을 飜譯하면서 처음 獨逸語에 登場했다. [2] [3] 19世紀 들어 "民族共同社會"라는 말을 使用한 人物들로는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 프리드리히 카를 폰 사비니 , 카를 테오도어 벨커 , 요한 카스派어 블룬트슐리 , 헤르만 슐체 , 빌헬름 딜타이 , 빌헬름 분트 等이 있었다. [4] 그 中 가장 影響力이 컸던 것은 페르디난트 퇴니스 의 『 共同社會와 利益社會 』(1887年)였다. [5] 數十年 뒤인 1932年, 퇴니스는 나치가 自身의 共同社會 槪念을 利用하는 것을 反對하여 獨逸社會民主黨 에 入黨했고, 히틀러 政權은 퇴니스를 名譽敎授職에서 쫓아냈다. [6]

1914年, 獨逸 皇帝 빌헬름 2歲 는 議會에서 “ 城內平和 ”를 宣言했다. 그 內容인즉 앞으로 독일국 (라이히)에 屬한 모든 存在는, 地域差를 갖는 諸侯國들이건, 經濟的으로 上中下層 階級이건, 宗敎的으로 天主敎件 改新敎件, 環境的으로 農村이건 都市건, 그런 差異들은 存在하지 않으며, 戰爭이 끝날 때까지는 오로지 獨逸 民族만이 存在할 것이라는 內容이었다. "城內平和"가 發生시킨 大同團結의 感覺은 1次大戰 中 많은 獨逸人들 사이에 共有되었고, 戰爭 以後에도 그 共有가 繼續되었다. 이런 過程을 거치면서 1次大戰期의 "城內平和"가 癲癎期의 "民族共同社會"로 用語의 轉換이 이루어졌다.

바이마르 共和國 에서 民族共同社會 槪念은 獨逸이 마주하게 된 經濟危機를 大同團結해서 이겨내자는 經驗의 共有로 作動했다. 그 뒤 나치당 은 이 槪念을 받아들여 유대人 , 戰爭謀利輩 , 마르크스주의자 , 協商國 等의 勢力이 獨逸의 民族的 團結을 沮害하여 1918年 1次大戰 敗戰을 惹起했던 存在들이라고 非難했다. [1] :39

나치 政權 下衣 1933年-1945年 동안 나치가 이야기한 民族共同社會 建設이 成功했는지 與否는 歷史學者들 사이에 아직도 論爭 中이다. 나치와 히틀러가 이 用語를 아주 模糊한 意味로 使用한 것도 論爭의 어려움을 더한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Peter Fritzsche. Life and Death in the Third Reich .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2008.
  2. Norbert Gotz. “Die nationalsozialistische Volksgemeinschaft im synchronen und diachronen Vergleich.” ‘Volksgemeinschaft’: Mythos, wirkungsmachtige soziale Verheißung oder soziale Realitat im ‘Dritten Reich’? Detlef Schmiechen-Ackermann (ed.). Paderborn: Schoningh, 2012. 55?67, at 57.
  3. John Locke, Vom menschlichen Verstande. Zu leichtem und fruchtbarem Gebrauch zergliedert und geordnet von Gottlob August Tittel , Mannheim 1791, p. 41f.; cf. John Locke, Works , vol. 1, London 1751, p. 17.
  4. Gotz. Ungleiche Geschwister: Die Konstruktion von nationalsozialistischer Volksgemeinschaft ...
  5. Francis Ludwig Carsten, Hermann Graml. The German resistance to Hitler . Berkeley and Los Angeles, California, US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93
  6. Ferdinand Tonnies, Jose Harris. Community and civil societ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first edition in 1887 as Gemeinschaft und Gesellschaft ). Pp. xxxii-xxxi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