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역국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국그릇에 담긴 미역국의 모습.

미역국 미역 을 넣고 끓이는 이다.

大韓民國 에서는 産母가 과 함께 미역국을 먹는데, 미역에는 칼슘 아이오딘 이 많아 피를 맑게 하고, 血液循環 을 促進하는 等 健康에 도움이 된다.

또한 미역국은 生日 을 記念하여 끓이기도 하며, 三七日 이나 百日 에도 밥과 미역국을 끓여 三神에 올린다.

風習 [ 編輯 ]

朝鮮 時代 女性의 風習에 "産母가 첫 국밥을 먹기 前에 産母 房의 西南쪽을 깨끗이 치운 뒤 쌀밥과 미역국 세 그릇씩 장만해 三神床을 차려 바쳤는데, 여기에 놓았던 밥과 국을 産母가 모두 먹었다"고 했다. [1] 現代에 와서는 産母 뿐 아니라 男便과 子女 모두 미역국을 같이 먹는데, 이는 頉 없는 出産 을 함께 祈願하고 祝賀한다는 家族共同體의 마음이 담겨 있으며, 特히 成長한 子女가 自身의 生日을 記念하여 먹는 미역국은 妊娠 , 出産, 養育 으로 苦生한 어머니의 恩惠를 잊지 않으며 우러르는 敬意와 感謝의 表現이다.

禁忌 [ 編輯 ]

出産에 앞서 사는 미역은 그 값을 깎지 않으며, 국에 넣는 미역 줄기는 끊지 않는데 理由는 값을 깎으면 難産일 수 있으며 미역을 자르면 아기의 運勢 또한 꺾인다는 믿음 때문이다.

또 흔히 '미역국 먹다'( 文化語 : 落第국 먹다 [2] )는 말은 試驗에서 떨어지거나, 公務員이 解任되었다는 寬容 表現으로 쓰이기도 한다.

흔히 미역의 觸感이 미끌거리고 길을 가다 미끄러져 落傷한다는 어상의 類似性으로 인하여 미역국이 試驗 落榜이나 公務員의 解任을 연상시킨다는 解釋하고, 1907年 大韓帝國 軍隊 解散 事件의 解散(解散)李 주는 否定的 意味가 妊産婦가 아이를 낳는 解散(解産)을 떠올리게 하여, 解産 後에 미역국을 먹는 表現에 否定的 影響을 微忱으로써 只今과 같은 '미역국 먹다'라는 表現이 始作되었다는 解釋이 있다.

이 때문에 韓國에서 子女가 高等學校 3學年이 되는 해에는 미역국을 끓이지 않으며 修能 치는 날 미역국을 팔지 않는 食堂도 存在한다.

以外에도 考試를 準備하는 사람들 亦是 미역국이 告示 落榜을 떠올리기 때문에 먹지 않는 傾向이 있다.

各州 [ 編輯 ]

  1. 이능화, 朝鮮餘束고
  2. 標準語로 "落第國을 먹다", 곧 落第하다는 表現을 뜻함.

參考 文獻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