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無給勞動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無給勞動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家族을 위해 食事를 準備하는 것으로 無給 家事勞動에 參與하는 女性

無給 勞動 은 直接的인 報酬를 받지 않는 勞動이다. 無給勞動은 다음 두 가지 範疇 中 하나에 屬하는 非市場 勞動이라고 할 수 있다. (1) 國內 總生産 (GDP)과 같이 유엔 國民 計定 體系 (SNA)의 生産 範圍 內에 配置되는 無賃金 勞動 , 또는 (2) 家庭 內에서 發生하는 家事 勞動과 같이 生産活動의 境界를 벗어난 無賃金 勞動 (비 SNA 勞動). [1] 無給 勞動은 다양한 形態로 發見되며 家事勞動 에만 局限되지 않는다. 다른 類型의 無給 勞動은 自願奉仕 와 無給 雇傭 形態의 인턴도 包含된다.

유엔 統計委員會(UNSD)에서 蒐集한 資料에 따르면 全 世界的으로 無給 勞動을 擔當하는 것은 女性이다. 家庭 內 無給 勞動의 不均衡은 女性이 公的 및 私的인 領域에 參與하는 것에 影響을 미친다. 無給 勞動의 一般的인 形態 中 하나는 가사이다. 이러한 勞動은 一般的으로 집에 있는 女性이 맡는다. 女性이 無給 家事 勞動에 쏟는 엄청난 時間은 女性의 勞動 市場에 큰 影響을 미치며, 結果的으로 兒童, 社會, 國家에 影響을 미친다.

無給 家事 勞動 [ 編輯 ]

類型 [ 編輯 ]

無給 돌봄 勞動 [ 編輯 ]

英國의 無給 돌봄 勞動 關聯 인포그래픽

無給 돌봄 勞動에는 一般的으로 料理, 洗濯, 淸掃, 어린이, 老人, 患者 및 障礙人 돌보기 等과 같은 日常的인 活動이 包含된다. 無給 돌봄 勞動이라는 用語는 主로 家族 構成員을 돌보는 것으로 定義되지만, 無給 SNA 勞動이 自給自足을 위한 勞動을 包含하는 生産的인 活動을 다룬다는 點을 留意해야 한다. [2]

生殖勞動 [ 編輯 ]

無給 돌봄 勞動은 完全히 生物學的인 勞動은 아니지만 (部分的으로) 生殖的인 勞動이다. Debra Satz는 生殖 勞動을 市場 規範에 따라 處理되어서는 안되는 특수한 勞動이라고 여겼다. 이는 出産과 養育 子女 및 家族 構成員에 對한 돌봄이 包含한다. [3] 出産은 女性의 生殖 器官을 가진 사람만이 遂行할 수 있는 일이다. 旣婚 女性, 未婚母, 또는 다른 女性 家族 構成員 (女子 兄弟, 姨母 等)은 無給 生殖 勞動의 主要 勞動者로 여겨진다. [4] 養育은 生殖 및 돌봄 勞動 모두에 屬하므로 母乳 授乳 後에는 家族 構成員 누구나 遂行할 수 있다. [5]

歷史 [ 編輯 ]

家庭에서 女性과 男性의 役割은 植民化 帝國主義 에 依해 强化되었다. 例를 들어 패트리샤 그림쇼(Patricia Grimshaw)의 하와이 硏究에서, 뉴잉글랜드 宣敎師들은 하와이 原住民에게 基督敎的 價値를 傳播하여 帝國 主義者와 植民主義者와 같은 役割을 했다. 元來, 原住民들은 一夫多妻制를 實施하고 家事에 對한 問題를 겪지 않았다. 基督敎 女性들은 家庭을 돌보고 男便에게 服從해야 한다는 女性性을 原住民에게 가르치는 것이 그들의 責任이라고 여겼다. [6] 歷史的으로 家庭 內 女性의 地位는 ‘좋은 아내’이자 ‘좋은 어머니’가 되기 위한 前提 條件으로 看做되었다. 그러나 1960年代 以後 世界化의 山으로 女性이 社會에 進出할 수 있는 새로운 機會가 생겼고, 이는 家庭을 돌보는 者로서 女性의 役割에 對한 挑戰이었다. [7]

世界化의 擴散으로 인해 女性들이 經濟活動에 參與할 수 있는 機會는 增加했지만, 無給 勞動에 割愛하는 時間을 줄이지는 못했다. [8] 勞動市場에 參與하는 동안 就業에 成功한 女性은 勞動의 ‘二重 負擔’을 떠안아야 한다. 有給勞動과 無給勞動 사이의 均衡, 日?家庭 均衡( 워라벨 )을 찾는 것은 아이를 키우거나 老人 家族을 돌보면서 職務 經歷을 쌓으려는 女性들의 끊임없는 鬪爭이다. 女性들은 時間과 돈을 어디에 投資할지 繼續해서 決定해야 하는데, 이것은 自己 開發에도 影響을 미친다. [2] 結果的으로, 이러한 決定은 國民들의 所得 統計에 依해 測定되는 家庭의 生活 水準에 影響을 미친다.

社會規範 과 社會에서 要求하는 女性像을 因해 無給 勤勞의 負擔은 主로 家庭에서 女性에게 주어진다. 男性은 職場에서 집으로 돌아온 後 돌봄 勞動을 遂行할 수 있다고 해도, 女性이 主로 돌봄 勞動을 맡는 境遇가 더 많다. [1]

傳統的인 家族觀에 따르면 專業主婦인 女性이 家計를 扶養해야 했지만, 맞벌이 夫婦가 늘고 高齡化가 進行되면서 家事 勞動의 商業化는 不可避해졌다. 無給 家事勞動의 價値는 無給 勞動者의 搾取를 防止하기 위해 恒常 考慮되어야 하며, 따라서 法的인 雇傭으로 여겨야 한다는 主張이 提起되었다. 또한 無給 家事 勞動者에게 ‘看病 手當’을 支給해 勞動의 價値를 認定해야 한다는 主張이 있다. [9]

方法論에 關係없이, 다양한 硏究에 따르면 家事 勞動은 아내에게 過度한 負擔을 준다. 그런 渦中에, 夫婦間 負擔하는 家事勞動의 隔差가 어느 程度 줄어들고 있다는 事實도 드러났다. [10] 例를 들어 2000年代 經濟 不況期에 低所得層 男性들이 女性에 비해 더 많은 時間 동안 歌詞 勞動을 遂行하기도 했다. [11]

無給 돌봄 勞動에서 女性의 資質 [ 編輯 ]

全 世界的으로 社會가 만든 性 規範에 依해 女性은 無給 돌봄 勞動의 主體로서 여겨졌다. 女性이 家庭 밖에서 正規職으로 雇用되었음에도, 家事와 育兒 活動을 더 많이 遂行했다. [10] 世界化 의 結果로, 女性들은 留級과 無給 勞動 兩쪽에서 더 많이 일할 것으로 期待되어 왔고, 如前히 無給 勞動者의 主體로서 勞動하고 있다. [12] 이러한 不平等은 雇用市場에서 性 不平等을 드러내며 世界化로 인해 變해가는 雇傭 패턴을 보여주기도 한다. 또한, 社會의 젠더 規範이 어떻게 돌봄 勞動에 對한 女性들의 二重 負擔을 招來했는지 드러낸다. 이러한 ‘二重負擔’ 救助는 金融 危機에 處한 女性의 經濟難에 寄與했다. 一般的으로 女性은 男性보다 더 많은 不利益을 받는 傾向이 있기 때문에 金融危機 동안 더 큰 苦痛을 겪는다. [13]

二重負擔 [ 編輯 ]

正義 [ 編輯 ]

二重 負擔은 女性이 職場에서 留級 勞動을 한 뒤 집에 돌아와 하루 終日 家事 勞動을 해야 하는 現象을 의미한다. 社會的 規範과 期待로 인해 男性과 職場에서 같은 時間을 일하더라도 無給 勞動의 負擔은 主로 女性에게 돌아간다. [14]

女性에게 미치는 影響 [ 編輯 ]

有給 및 無給 勞動의 均衡을 맞추는 것은 女性에게 負擔이다. 이로 인한 스트레스 水準 增加와 關聯한 報告도 많다. [15] 事實 女性들은 낮은 삶의 滿足度와 웰빙 (well-being)을 包含한 憂鬱症 , 不安에 對한 症狀을 더 많이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女性이 留級 勤勞 時間을 늘리면, 그에 相應하는 無給 勞動時間을 短縮하지 못한다. 또한 男性 亦是 女性의 留級 勞動 比重을 늘린 것과 같은 比率로 無給 勞動 比重을 늘리지 않는다. [10] 2015年 UN 人間 開發 報告書 에 따르면, 63個國에서 女性의 日常 中 31%가 無給 勞動에 使用되는 反面, 男性의 境遇 10%을 使用한다. [16] 女性이 貧困에 시달리며 基本的인 인프라 가 不足한 社會에서는 이러한 二重負擔이 더욱 심해진다고 한다. [1] 食糧과 물을 쉽게 求할 수 없는 地域에서는 女性의 家事勞動 時間이 增加한다.

데이터 [ 編輯 ]

無給 家事勞動을 測定하는 方法으로는 生活時間調査가 가장 자주 使用된다. [2] 生活時間調査는 料理와 같은 無給 家事勞動에 消費되는 時間과 같이 다양한 서비스를 提供하는 데 얼마나 많은 時間을 所要하는지 評價하기 위한 方法이다. [2] 사라 감마地(Sarah Gammage)는 生活時間調査를 使用하여 과테말라 에서 家口 內, 家族 構成員 間 無給 家事勞動에 消費되는 時間을 測定했다. [15] 이 硏究는 女性이 家庭 內의 모든 家事 勞動 中 70%를 遂行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15] 마찬가지로, 데비 버들렌거(Debbie Budlenger)는 6個國에서 生活時間調査를 實施했으며, 各 國家의 女性들이 每日 無給 家事 怒濤의 大部分을 遂行하는 것을 發見했다. [17] 그의 硏究 結果는 아래 차트에 要約되어 있다.

하루 동안 無給 家事 勞動에 使用된 時間(粉)
國家 女性 男性
아르헨티나 293 101
印度 354 36
韓國 224 38
니카라과 318 66
남아프리카공화국 273 91
탄자니아 262 44

다른 調査에서, Liangshu Qi와 Xiao-yuan Dong은 中國 에서 女性이 하루 中 138分 동안 無給 勞動을 하는 反面, 男性들이 58分을 割愛하는 것을 알아냈다. [18]

유엔 統計委員會가 蒐集한 時系列 데이터는 女性이 全 世界 家事 勞動의 折半 以上을 遂行한다는 主張을 直接的으로 뒷받침한다. 女性과 男性 無給 勞動 時間의 不均衡은 開發 道上國 에서 가장 크다. 이 데이터는 80個國에서 7日間 24時間 다이어리를 통해 蒐集한 資料에 對한 平均이다. 上位 10個國은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네덜란드, 핀란드 , 스칸디나비아 國家 3곳 (時間의 不均衡이 가장 낮은 國家부터 높은 國家 順)이다. 스웨덴은 3.33時間을 記錄하며 가장 작은 差異를 보였다. [19]

이에 비해 알제리 , 튀니지 , 멕시코 , 이라크 , 과테말라 等은 女性과 男性의 時間 差가 하루 平均 18時間 以上이었다. 멕시코와 과테말라 모두 女性의 家事勞動 比率이 하루 平均 約 3時間을 超過했다. [19]

男性 家事 勞動만 調査한 말라위의 데이터에 따르면 男性은 하루 平均 1.25時間 家事 勞動을 하며 이는 2004年 캄보디아 男性이 家事 勞動에 割愛한 時間과 同一하다. 기타 男性의 家事 勞動 參與가 劣惡한 國家로는 파키스탄 (男性 : 1.81時間, 18.06時間 不一致), 말리(男性 : 2.50時間, 17.92 時間 不一致), 日本 (男性 : 2.92時間, 12.01時間 不一致), 팔레스타인 (男性 : 3.06時間, 16.11 時間 不一致) 等이 있다. [19]

反面, 말라위에서 女性이 家事 勞動에 消費하는 時間은 週當 最小 8.68時間이다. 2014年 美國의 데이터에 따르면 女性은 週當 14.58時間의 家事 勞動을 遂行한다. 1年 치 以上의 데이터를 保有한 國家의 歌詞 勞動 分業 推移를 살펴보면 35個國 中 14局에서 平均 0.99~12.99時間 程度 女性의 無給 勞動 比率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9]

性別과 無給 勞動 [ 編輯 ]

性 役割은 男性과 女性의 특정한 範疇에 對한 理想的이고 適切한 行動을 規定한다. 女性에게는 經濟的으로 男性에게 依存하는 役割이 附與되어왔고, 女性은 男性이 책임져야 할 對象으로 看做되었다. 이러한 構造는 女性이 經濟力을 가질 수 있는 方法으로 男性과의 結婚을 擇하도록 길들였다. 이러한 不平等은 女性의 欲求와 權利를 非可視化하여 男性이 繼續해서 女性을 支配하고 女性을 從屬되는 對象으로 여기도록 만들었고, 女性과 男性 사이의 依存을 隱蔽한다. [20] 非可視化된 ‘二重 依存’은 女性이 男性의 消毒에 依存하는 것처럼 男性 亦是 家庭 및 生辰 勞動 側面에서 女性에게 依存하는 것을 말한다. [20]

많은 社會에서 女性의 役割로 出産, 老弱者 돌보기, 飮食과 衣服 準備 等을 要求한다. [20] 더불어, 女性의 性 役割은 經濟的인 側面에서도 固定되어 있다. 그들의 經濟的 寄與는 再婚이나 有料 서비스에 依해 쉽게 代替가 可能하기 때문이다. 돌봄 勞動은 사고팔 수 있는 對象이지만, 大部分의 돌봄 勞動은 無給이며 公式的으로 認定되지 않는다. 男性이 生計를 책임지고 女性이 家事를 책임지는 社會的 性 役割은 男性과 女性의 關係를 서비스 提供으로 交換하는 經濟的 觀點에 依해 强化되었다. 이러한 構造는 家父長的 統制를 基盤으로 하며, 이는 女性을 家庭을 보살피는 關係形으로, 男性을 오직 돈 提供만을 위한 個人的인 對象으로 만든다. 結果的으로 無賃金 돌봄 勞動 分野에서 男性은 性別 勞動 分業에 依해 女性보다 적은 責任을 진다. [20]

影響 [ 編輯 ]

女性에게 賦課되는 無給 勞動의 不均衡的인 分業은 家庭 밖의 生活에 否定的인 影響을 미친다. 그들의 無給 勞動은 雇傭 市場에 進入하는 데에 障壁이 되거나, 就業이 되더라도 如前히 勞動의 二重 負擔을 떠안아야 한다. [21]

1995年 UNDP의 女性 및 開發 報告書는 ‘産業’, ‘開發 道上’, ‘轉換 經濟’로 區分된 國家의  生活時間 調査를 遂行하여 女性과 男性이 留級 및 無給 勞動과 地域 社會 勞動에 消費하는 時間을 分析했다. [12] 그들은 거의 모든 나라에서 女性들이 男性들보다 더 오래 일했지만 經濟的 補償을 덜 받았다는 事實을 發見했다. 이 境遇는 ‘産業都市’와 ‘開發途上國’ 모두에서 男性들은 收益의 安定을 保障받았지만 女性의 勞動은 如前히 無賃金, 非人情, 低評價된 狀態였다. 또한 留級 및 無給 勤勞 時間의 境遇, ‘産業都市’에서 女性은 勞動 時間 中 3分의 2를 無給 勞動에 나머지를 留級 勞動에 支出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開發途上國 女性들은 3分의 2를 無給 勞動에 使用하였고, 男性은 4分의 1을 使用하였다. [12] 루스 피어슨 (Ruth Pearson)은 開發 道上國의 男性들은 ‘女性의 일’을 拒否하는 傾向이 있어 女性들이 無給 勞動을 遂行한다고 主張했다. [8] 特히 나이지리아와 에콰도르와 같은 開發途上國에서 女性들이 男性의 參與를 誘導하기 보다 大家族의 無給 勞動을 遂行하고 있음에도 不拘하고 性別 間 不均等한 分配는 世界的으로 維持되고 있다. [8]

無給 家事勞動이 女性에게 미치는 影響 [ 編輯 ]

유엔 女性機構 - 無賃金 勞動

生活時間調査 는 女性이 男性보다 無給 勞動을 하는데 훨씬 많은 時間을 消費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1] 女性들이 男性들보다 더 많은 無給 家事 勞動을 遂行하는 가운데, 女性은 또한 就業市場에서 더 적은 時間을 消費하고 있고 따라서 家庭에 더 낮은 所得을 가져다준다. [1] 傳統的으로 女性은 男性보다 收入이 적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女性들은 敎育과 技術에 對한 投資를 꺼리기도 한다. [1] 이는 女性들을 家事 勞動에 安住하게 하여 社會的 規範과 性 不平等을 固着化시킨다. [1]

이러한 形態의 性 不平等은 왜 가장 不利한 對象이 女性과 女性 靑少年이며, 왜 貧困 增加가 男性보다 女性에게 더 많은 影響을 미칠지에 對해 說明하는 젠더 리스크(gender risk)에 影響을 미친다. [13]

女性들이 職場에 들어간다고 하더라도, 그들은 如前히 家庭 內 無給 勞動을 責任져야 한다. [1] 하루 終日 職場에서 일을 하다가 집으로 돌아와 無給 勞動을 하루 終日 해야 하는 現象은 이中 負擔으로 여겨진다. [1] 二重 負擔은 女性들에게 否定的인 影響을 미친다. 왜냐하면, 女性들이 더 적은 時間을 職務에 割愛하도록 하고, 結果的으로 男性들이 職場에 더 많은 時間을 쏟게 된다. 따라서 男性이 女性보다 昇進할 可能性이 높다. [1] 二重 負擔은 또한 女性이 自身을 돌보고 充分히 休息할 時間을 줄이기 때문에 女性 個人의 幸福에도 惡影響을 미친다. [2] 이것은 또한 女性의 職場 내 業務 成果에 否定的인 影響을 미친다.

아이가 어린 동생을 돌보고 있다. 이는 無給 돌봄노동의 한 形態이다.

無給 家事勞動이 兒童에게 미치는 影響 [ 編輯 ]

統計에 依하면, 特히 貧民層에서 많은 어린이들이 家事 勞動에 參與할 것을 강요받고 있다. [1] 無給 家事勞動은 傳統的으로 女性의 役割로 여겨왔기 때문에, 無給 勞動에 對한 負擔 亦是 어린 女性 靑少年의 몫이다. 이들은 家庭 內 無給 勞動을 돕기 위해 學校를 中退하기도 한다. [22]

無給 家事勞動이 經濟에 미치는 影響 [ 編輯 ]

女性과 男性이 하루 中 無給 勞動에 쏟는 時間(OWID)

一部 經濟學者들은 無給 家事 勞動을 經濟的 寄與에 包含해야 한다고 主張한다. [1] 女性이 遂行하는 無給 勞動의 經濟的 價値는 國內 總生産(GDP)이나 國民 所得 會計 指標에 包含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女性 勞動은 非可視化되고 家計와 勞動 市場의 關係 分析이 어렵다. GDP를 測定할 때 無給勞動이 包含되었다면, 2010年에 GDP를 26 % 올렸을 것이다. [23]

無給 勞動은 食事와 家庭의 淸潔 等과 같은 重要한 財貨와 서비스를 生産하여 經濟에 寄與한다. [1] 이는 다른 家族 構成員이 女性과 같이 家事 勞動에 參與한다면 全體 經濟力에도 寄與할 수 있다는 것을 意味한다. [1] 이러한 理由로 인디라 히르웨이 (Indira Hirway)는 無給 家事 勞動은 消費보다 經濟的 生産으로 看做되어야 한다고 主張한다. 그는 無給 家事 勞動이 無料度, 自由도 아니기 때문에 標準的인 經濟財 義 屬性을 가지고 있다고 指摘한다. [1]

無給 家事勞動이 國家에 미치는 影響 [ 編輯 ]

無給 家事勞動은 國家의 豫算 策定에 肯定的인 影響을 미친다. [1] 家族 構成員이 그들의 家族을 扶養하고 있지 않다면 家事勞動이라는 福祉는 國家가 國民들에게 提供해야 한다. [1] 이것은 保育, 老人 管理, 醫療, 營養 等을 包含한다. 이러한 福祉는 無給 家事 勞動者가 提供하고 있기 때문에, 國家는 國民들에게 이러한 鉏費를 提供하기 위해 資源을 消費할 必要가 없다. [1] 따라서 無給 家事 勞動은 政府가 支出해야 하는 金額을 節減시킨다. [1] 그러나 靑年, 老人, 患者 및 障礙人을 위한 看護 서비스에 對한 支出을 削減할 때, 이러한 돌봄은 主로 女性이 負擔하며, 이는 國家의 支出 減少가 女性 勞動에 影響을 준다는 것을 意味한다. [2]

Aslanbeigui와 Summerfiel가 指摘한 바와 같이, 社會的 支出 減少는 女性과 아이들에게 가장 큰 影響을 미친다. 特히 財政 危機 동안 女性과 아이들은 가장 큰 苦痛을 겼는다. 그들은 醫療, 敎育에 對한 支援 減縮은 女性에게 不利하게 作用하고 長期的으로는 女性을 貧困하게 만들어 國家에 더욱 依存하게 한다고 主張한다. [13]

經濟와 留級勞動 市場間의 關係 [ 編輯 ]

世界 市場 經濟 秩序를 維持하기 위해서는 無給 돌봄 勞動力이 必要하다. 헨더슨(Henderson)의 케이크 모델에 따르면, 生殖 勞動과 돌봄 勞動은 “모든 經濟가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열쇠(key to the functioning of all economies.)”다. [4]

돌봄 勞動은 留級 勞動을 遂行하는 사람들의 웰빙을 維持하고 生産性을 높인다. 生産性 (시스템 內에서 個人의 利益을 위해 使用되는 能力)은 資本을 生産하는 데에 寄與한다. [24] 資本에는 두 가지 類型이 있다. “價値 있는 것”으로 看做되는 모든 것에 金錢的 價値를 附與함으로써 世界의 資本主義 慣行을 維持하는 金融 資本 과 “個人 또는 集團이 所有한 技術, 技術, 知識 經驗”을 의미하는 人的 資本 이 있다. 經濟學者들은 敎育, 訓鍊, 醫療 等에 關한 硏究를 人的 資本에 對한 投資로 看做한다. 金融 資本을 生産하기 위해 일하는 사람들의 健康과 웰빙을 促進하기 때문이다. [25] 그러나 人的 資本에 寄與하기 위한 勞動은 女性들이 遂行하기 때문에 金融勞動에 비해 低評價된다. [26]

한 家口當 한 名 以上의 個人이 留級 勞動 人口에 參與해야 하는 必要性이 커지면서 돌봄 勞動이 시장화됐다. [12] (特히 料理, 淸掃, 養育 / 料理師, 淸掃夫, 保育院) 돌봄 分野의 勞動者들은 種種 搾取 當하고 낮은 賃金을 받으며 不安定한 環境에서 일한다. [4]

評價 [ 編輯 ]

無給 家事老等의 價値를 특정하는 方法은 機會費用法, 代替費用法, 入出力費用法 3가지다. [14]

機會費用法 [ 編輯 ]

機會費用 法은 無給 家事 勞動者가 就業 市場에서 일할 境遇 벌 수 있는 金額을 計算해 無給 家事勞動의 價値를 測定한다. [27] 例를 들어, 現在 辯護士인 女性이 專業主婦라면, 1時間의 無給 家事勞動의 價値는 그가 辯護士로서 일할 때 버는 時急이다. [27] 이 方法은 큰 缺陷은 無給 家事勞動者 두 名이 同一한 熟鍊度로 同一한 일을 遂行할 수는 있지만, 勞動者의 敎育 및 技術 水準에 따라 業務 價値가 變한다는 點이다. [27] 職場에서 일을 한다면 얼마나 많은 돈을 벌지 不分明하기 때문에 職業이 없는 女性들에게도 問題가 된다. [27]

市場 代替 原價法 [ 編輯 ]

代替 原價法은 無賃金 家事 勞動의 價値를 該當 서비스를 有料로 利用할 때 드는 金錢的 費用으로 計算한다. [2] 例를 들어, 無給 保育은 베이비 시터 를 雇用하는 費用으로, 食事 準備는 비슷한 水準의 食堂에 가는 費用으로 代替한다. [2] 이 方法은 낯선 사람이 아닌 엄마와 時間을 보내는 것에서 오는 附加的인 感性的 價値를 說明할 수 없다는 것이다. [27]

投入 算出 原價法 [ 編輯 ]

投入 算出 原價法은 無給 家事勞動으로 生産된 經濟財와 서비스의 金錢的 價値가 市場에서 얼마에 팔릴지 計算하여 無給 勞動의 價値를 測定한다. [27]

政策 [ 編輯 ]

性平等을 위해서는 無給 勞動의 價値를 巨視的 次元에서 强調하고 無給 勞動力을 家口에 再分配하는 積極的인 政策이 必要하다. 다음은 다른 學者들이 提示한 政策에 對한 簡略한 說明이다.

國家 次元에서의 데이터 蒐集 [ 編輯 ]

微視的, 巨視的 水準의 데이터의 品質과 有用性은 家計 內 勞動 分業에 미치는 影響을 硏究하고, 無給 勞動의 價値를 計算하기 위해 必要한 領域이다. 유엔 統計委員會와 같은 團體들은 女性과 男性이 留級, 無給, 勞動에 割愛하는 時間과 總 勤勞時間을 定量的 데이터로 蒐集한다. 더불어 定性的인 데이터를 蒐集하는 것은 市場 代替 原價法에 有用하게 쓰일 것이다. [2]

公共 인프라를 위한 投資 [ 編輯 ]

公共基金을 資源에 對한 接近性을 높이는 投資로 轉換하는 公共 인프라 政策은 特히 開發途上國의 無給 勞動 不均衡을 解消하는 데에 必須的이다. Koolwal과 van de Walle가 2013年 指摘한 바와 같이, 農村과 開發途上國의 女性들은 물을 모으는 데 相當한 時間을 割愛한다. 中東, 北아프리카, 사하라 以南 아프리카, 東南아시아의 國家를 對象으로 한 硏究에서 公共 인프라로 물에 對한 接近性이 높아졌을 때, 女性들은 留級 勞動 市場에서 일자리를 얻지는 못했지만 無給 勞動에 對한 負擔을 줄일 수 있었다. [28]

兒童, 老人 돌봄 서비스 [ 編輯 ]

國家의 役割 中 良質의 低廉한 醫療 서비스를 提供할 수 있다는 것을 看過해서는 안 된다. 無給 돌봄 勞動은 所得創出에 效果가 없기 때문에 勞動者가 勞動에 對한 補償을 받고 家族이 서비스를 利用할 수 있도록 支援할 必要가 있다. [29] 유엔 持續 可能 發展 目標 5가지에서도 無給勞動의 價値를 認定하는 公共 서비스, 인프라 및 社會 保護 政策 提供을 主張하고 있다. [30]

에너지 政策 [ 編輯 ]

家庭에서 쓰이는 燃料를 蒐集하는 데 所要되는 時間을 줄이기 위해 政府는 再生 에너지 資源을 支給해야 한다. [31] 더불어, 바이오 가스 生産에 投資하는 것은 室內 空氣 汚染 減少로 이어진다는 點에서 對案이 될 수 있다.

家族 親和的인 勤勞 政策 [ 編輯 ]

勤勞 時間 短縮, 柔軟한 有給 休暇 在宅勤務 는 가구 內 無給 勞動의 再分配 問題를 解決할 수 있다. [29] 낸시 프레이저(Nancy Fraser)의 1994年 記事 記事 "家族 賃金 以後 : 性 平等과 福祉 國家"에 따르면, 家口의 週當 勤勞 時間의 減少가 性 平等을 保障하는 가장 效率的인 方案이라고 提案한다. [32] 同時에, 立法 機關은 맞벌이 家口에 局限되지 않고 便父母 家庭이 經濟的으로 脆弱하지 않도록, 家口 力學을 認知하는 것이 重要하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Hirway (2015年 3月). “Unpaid Work and the Economy: Linkages and Their Implications” (PDF) . 《Indian Journal of Labour Economics》. doi : 10.1007/s41027-015-0010-3 .  
  2. Folbre, Nancy. “Measuring Care: Gender, Empowerment, and the Care Economy”.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7 (2).  
  3. Satz, Debra (1992). “Markets in Women's Reproductive Labor”. 《Philosophy & Public Affairs》 21 : 107?131.  
  4. Olmsted, Jennifer C. "Development and Reproductive Rights: Placing Social Sustainability at the Center of the Agenda." 2016, pp. 1-21.
  5. Heilman, Madeline E.; Chen, Julie J. (2005). “Same Behavior, Different Consequences: Reactions to Men's and Women's Altruistic Citizenship Behavio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 (3): 431?441. doi : 10.1037/0021-9010.90.3.431 .  
  6. Grimshaw, Patricia (1989). 《New England missionary wives, Hawaiian women, and "The Cult of True Womanhood"》. 19?44쪽.  
  7. Sayer, Liana C. (2005). “Gender, time and inequality: Trends in women's and men's paid work, unpaid work and free time”. 《Social Forces》 84 (1): 285?303. doi : 10.1353/sof.2005.0126 .  
  8. Pearson, Ruth (2000). “All change? Men, women and reproductive work in the global economy”. 《The European Journal of Development Research》 12 (2): 219?237. doi : 10.1080/09578810008426773 .  
  9. 《UNIFEM: Progress for the World's Women 2005》 (PDF) , 2005, 58?73쪽, 2016年 3月 4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20年 12月 13日에 確認함  
  10. Negrey, Cynthia; Sirianni, Carmen (2000). “Working Time as Gendered Time”. 《Feminist Economics》 6 : 59?76. doi : 10.1080/135457000337679 .  
  11. Khitarishvili, Tamar; 金, 機種 (2015). “The Great Recession and Unpaid Work Time in the United States - Does Poverty Matter?”. 《International Journal of Time Use Research》 12 (1): 19?48. doi : 10.13085/eIJTUR.12.1.19-48 .  
  12. Worldbankiudresearchgroup (1995). “WHO special programme for research, development and research training in human reproduction, World Bank: IUD Research Group. The TCu380A IUD and the frameless "FlexiGard", interim three-year data from an international multicenter trial”. 《Contraception》 52 (2): 77?83. doi : 10.1016/s0010-7824(95)00140-9 . PMID   8536451 .  
  13. Aslanbeigui, Nahid; Summerfield, Gale (2001). “Risk, gender, and development in the 21st century”.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tics, Culture, and Society》 15 (1): 7?26. doi : 10.1023/a:1011184220863 .  
  14. MacDonald, Martha; Phipps, Shelley; Lethbridge, Lynn. “Takings Its Toll: The Influence of Paid and Unpaid Work on Women's Well-Being”. 《Feminist Economics》 11 (1): 63?94. doi : 10.1080/1354570042000332597 .  
  15. Gammage, Sarah (2010年 9月 9日). “Time Pressed and Time Poor: Unpaid Household Work in Guatemala”. 《Feminist Economics》 16 (3): 79?112. doi : 10.1080/13545701.2010.498571 .  
  16. “Human Development Report 2015” (PDF) . 2015.  
  17. Budlender, Debbie (2008年 12月). “The Statistical Evidence on Care and Non-Care Work across Six Countries” (PDF) . 《United Nations Research 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  
  18. Liangshu, Qi; Dong, Xiao-yuan (2015年 5月 8日). “Unpaid Care Work's Interference with Paid Work and the Gender Earnings Gap in China”. 《Feminist Economics》 22 (2): 143?167. doi : 10.1080/13545701.2015.1025803 .  
  19. Statistics, Commodity Trade, and Statistics Branch. "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New York (2012).
  20. Olmsted, Jennifer C. (2005). “Is paid work the (only) answer? Neoliberalism, Arab women's well-being, and the social contract”. 《Journal of Middle East Women's Studies》 1 (2): 112?139. doi : 10.1215/15525864-2005-2005 .  
  21. "Human development report 1999".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Online. Internet. 13 Oct. 2016.
  22. Marphatia, Akanksha; Moussie, Rachel (2013). “A question of gender justice: Exploring the linkages between women'sunpaid care work, education, and gender equa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Development》 33 (6): 585?594. doi : 10.1016/j.ijedudev.2013.05.005 .  
  23. Benjamin Bridgman; Andrew Dugan; Mikhael Lal; Matthew Osborne; Shaunda Villones (2012), 《Accounting for Household Production in the National Accounts》 (PDF) , 23쪽  
  24. Wood, Ellen Meiksins (The origin of capitalism: a longer view). 《The origin of capitalism: a longer view》. Verso (2002에 出版됨).  
  25. Becker, Gary S. (2008). 〈Human Capital〉. 《The Concise Encyclopedia of Economics》. Library of Economics and Liberty.  
  26. Folbre, Nancy. "Caring Labor." Transcription by Oliver Ressler. 2003, UMass Amherst. Video.
  27. Luxton, Meg (1997年 6月). “The UN, women, and household labour: Measuring and valuing unpaid work”. 《Women's Studies International Forum》 20 (3): 431?439. doi : 10.1016/s0277-5395(97)00026-5 .  
  28. Koolwal, van de Walle, Gayatri and Dominique (2013). “Access to Water, Women's Work, and Child Outcomes”. 《Economic Development and Cultural Change》 61 (2): 369?405. doi : 10.1086/668280 .  
  29. Olmsted, Jennifer (2016). “Development and Reproductive Rights: Placing Social Sustainability at the Center of the UN's Agenda”. 《Feminist Economics》. In Review.  
  30.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5: Gender equality” . 《UN Women》.  
  31. Sidh, Basu, Shiv, Sharmistha (2011). “Women's Contribution to Household Food and Economic Security: A Study in the Garhwal Himalayas, India”. 《Mountain Research and Development》 31 (2): 102?111. doi : 10.1659/mrd-journal-d-10-00010.1 .  
  32. Fraser, Nancy (1994). “After the Family Wage: Gender Equity and the Welfare State”. 《Political Theory》 22 (4): 591?618. doi : 10.1177/0090591794022004003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