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몬타노케라톱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몬타노케라톱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몬타노케라톱스
化石 範圍:
白堊紀 後記
몬타노케라톱스
몬타노케라톱스
生物 分類 ??
驛: 眞核生物
界: 動物界
文: 척삭動物門
江: 爬蟲綱
亞綱: 離宮亞綱
下降: 支配爬蟲下降
上木: 恐龍上木
목: 兆反目
(未分類): 新鳥盤類
亞目: 各各亞目
河目: 角龍河目
과: 렙吐케라톱스과
속: 몬타노케라톱스속
( Montanoceratops )
種: 몬타노케라톱스 케로린코스
學名
Montanoceratops cerorhynchos
Brown and Schlaikjer, 1935年

몬타노케라톱스 ( Montanoceratops )는 中生代 白堊紀 後記(藥 7,600萬年 前~6,700萬年 前)에 棲息한 草食 恐龍 이다. 化石은 美國 몬태나주 에서 發見되었다. 學名은 化石이 發見된 地名에서 由來하여 '몬태나의 뿔을 가진 얼굴'이라는 意味를 갖고 있다. 머리는 작고, 鸚鵡새를 닮은 입과 큰 목덜미 裝飾을 가지고 있다.코 위에 작은 뿔이 있다. 앞다리가 길고, 뒷다리는 굵은 便이다. 렙吐케라톱스 ( Leptoceratops )와 비슷하게 생겼다. 꼬리에 突起가 높게 돋아 있다. 全體 몸 길이는 約 3m, 體重은 300 kg~400kg程度 되었을 것으로 推定된다.

어원 [ 編輯 ]

속名人 몬타노케라톱스는 "몬태나의 뿔 달린 얼굴" 이란 意味로 완모式標本 의 發見知人 몬태나 州의 이름과 "뿔"이라는 意味의 그리스어 "케라스" (κερα?)와 "얼굴이라는 意味의 "옵스" (ωψ)의 合成語이다. [1] 모식종 이며 唯一하게 有效한 種은 몬타노케라톱스 케로린코스 ( Montanoceratops cerorhynchos )이다.

發見과 種 [ 編輯 ]

王立 티렐 古生物學博物館 에 展示된 化石

現在 몬타노케라톱스로 알려져 있는 最初의 化石 몬태나 週 버팔로 湖水 西쪽 블랙핏 인디언 保護區域 (Blackfeet Indian Reservation)의 세인트메리 리버 層 (St. Mary River Formation)에서 發見되었다. 1916年에 美國 自然史博物館 의 바넘 브라운과 피터 C. 카이센이 白堊紀 마스트리흐트節 , 約 7千萬年 前에 쌓인 育成堆積層에서 標本을 採取했다. 브라운과 그 助手인 에릭 슐라이커 (Erich M. Schlaikjer)가 1935年에 렙吐케라톱스 케로린코스로 報告하였다.

바넘 브라운이 發見한 元來의 模式標本은 AMNH 5464 로 매우 不完全한 頭蓋骨과 아래턱, 完全한 경추 열한 個, 胸椎 열두 個, 遷推 여덟 個, 完全한 미추 열세 個와 두 個의 中心體, 몇 個의 갈비뼈 그리고 오른쪽 齒骨과 오른쪽 長骨 끝部分을 除外한 骨盤 全體, 兩쪽 大腿骨 (346mm), 왼쪽 脛骨 (355mm), 왼쪽 腓骨과 왼쪽 목말뼈, 왼쪽 두番째 손가락과 세番째 손가락 全體, 왼쪽 뒷발 첫番째 세番째 네番째 발가락의 마지막 마디로 構成되어 있다. [2] 이 標本은 美國 뉴욕 의 美國 自然史博物館에 保管되어 있다.

1986年에 데이비드 B. 웨이샴펠이 몬태나 글래시어 카운티의 세인트메리 리버 層의 리틀 로키 쿨리 位置에서 몬타노케라톱스로 分類될 수 있는 化石들을 追加로 發見했다. 이 標本은 마스트리흐트절로 보이는 育成堆積層에서 發見되었다. 1998年에 브렌다 치네리와 웨이샴펠이 이 標本에 對한 論文을 發表하였다. [3] 2001年에 마코비키가 不完全하지만 保存狀態가 좋은 腦머리뼈 人 AMNH 5244를 硏究하고 論文을 發表하면서 이것을 몬타노케라톱스로 分類하였다. 이 標本은 1910年에 바넘 브라운이 發見한 것으로 캐나다 앨버타 注意 호스슈캐년 層, 톨만 페리 附近 레드디어 江 東쪽 江둑의 陸成堆積物에서 發見했다. [4] 이 標本 亦是 美國 自然史博物館에 保管되어 있다.

分類 [ 編輯 ]

1942年에 브라운은 模式標本人 AMNH 5464 을 렙吐케라톱스 속으로 分類하면서 이것을 프로토케라톱스과의 一員이라고 結論내렸다. 1951年에 찰스 모트람 스터버그 가 렙吐케라톱스에 屬하는 標本들을 더 硏究하고 AMNH 5464는 別個의 속이라고 보아 새로운 속인 몬타노케라톱스로 再分類하였다. [5] 1996年에 치너리와 웨이샴펠은 原始的인 神角龍類들에 對한 系統發生學的 分析을 遂行하여 프로토케라톱스課가 다契桶軍 (polyphyetic group) 이므로 有效하지 않은 分類群이라는 것을 보이고 몬타노케라톱스를 原始的 신각룡류 中에서 가장 分化된 것이라고 보았다. [6] 2001年에 마코비키는 몬타노케라톱스가 렙吐케라톱스과 에 屬한다고 結論내리면서 렙吐케라톱스 그라킬리스를 비롯해 트리케라톱스호리두스보다 렙吐케라톱스에 가까운 모든 種을 包含하는 것으로 렙토케라톱스과를 定義했다. [4] 라이언 外의 2012年 硏究에서 이 分類를 再確認했다. [7]

다음 분지도 는 마이클 J. 라이언, 데이비드 C. 에반스, 필립 J. 커리, 칼렙 M. 브라운과 돈 브링크만의 2012年 系統發生學的 分析 에 基盤한 것으로 몬타노케라톱스가 렙吐케라톱스과 로 分類된 속들 안에 包含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7]

코로勞使우리아
렙吐케라톱스과

아시아케라톱스

케라시놉스

몬타노케라톱스

프레노케라톱스

렙吐케라톱스

우다노케라톱스

奏請케라톱스

그리抛케라톱스

우네스코케라톱스

그라킬리케라톱스

프로토케라톱스과

바街케라톱스

프로토케라톱스

주니케라톱스

케라톱스과

다른 속과 區分되는 解剖學的 特徵 [ 編輯 ]

어떤 有機體 (或은 有機體의 그룹)를 다른 有機體들과 區分해주는 解剖學的 特徵을 綜合的으로 記述하는 것을 診斷이라고 부른다. 診斷에 記述되는 어떤 特徵들은 (모든 特徵들이 아니라) 單獨派生形質 (autapomorphies)이다. 單獨派生形質은 該當 有機體만이 가지고 있는 獨特한 解剖學的 特徵이다.

브라운과 슐라이커 (1935) 에 依하면 몬타노케라톱스는 다음 特徵으로 區分할 수 있다.

  • 코뼈 가 크고 깊고 무거우며 뿔審(horncore)李 잘 發達되어 있다.
  • 下顎骨 이 길고 아래쪽 面이 곧게 뻗어 있다.

古生物學 [ 編輯 ]

코의 뿔이 잘못 復元된 骨格

몬타노케라톱스는 여러 側面에서 以後의 鐘들과 區分되는 典型的인 遠視 각룡류이다. 발굽이 아니라 발톱을 가지고 있고 이빨이 없는 부리 代身 위턱에 이빨이 있다. 코에 뿔이 있다고 생각된 적이 있는데 뺨에 있어야 할 뿔을 錯覺한 것이었다. [8] 또 하나 特異한 點은 꼬리의 美醜에 突起가 높이 솟아 있는 것이다. 살아 있을 때는 크게 눈에 띄지 않았을 수 있지만 斷面을 보면 유난히 위아래로 길었을 것이다. 꼬리는 매우 柔軟해서 위아래로 길다는 것까지 勘案하면 種內에서 信號를 보내는 데 使用되었을 可能性도 있다. [8] [9] [10] 몬타노케라톱스는 다른 각룡류들과 마찬가지로 草食動物 이었다. 날카로운 부리로 植物의 잎을 뜯어 먹었을 것이다.

고병리學 [ 編輯 ]

AMNH 5464 의 미추 몇 個에서는 神經胚突起가 膠着 되어 있다. 이것은 甚한 負傷 때문에 생긴 것으로 보이며 죽을 때까지 이 狀態가 持續되었을 것이다. 미추의 膠着을 일으킨 負傷의 證據는 왼쪽 長骨 의 바깥쪽 表面에서도 볼 수 있는데 骨折이 있었던 部位에 크고 不規則的인 模樣으로 뼈가 웃자라 있다. [11]

古生態學 [ 編輯 ]

棲息地 [ 編輯 ]

몬태나에서 發見된 어린 個體의 化石

세인트메리리버 層 (St. Mary River Formation) 은 放射性同位元素 年代測定法으로 連帶를 測定하지는 않았지만 層서 對比를 통해서 보면 7400萬年에서 6600萬年 前에 堆積된 것으로 보인다. 이 當時는 북아메리카대륙을 가르는 베어抛 水路(Bearpaw Seaway) 가 後退하던 마지막 時期였다. 세인트메리리버 層은 南쪽으로 몬태나 注意 글래시어 카운티에서부터 北쪽으로는 앨버타의 리틀步우리버까지 分布하고 있다. 세인트메리리버 層은 西쪽으로는 로키산맥 , 東쪽으로는 캐나다 楯狀地 까지 걸쳐 있는 앨버타주 南西쪽, 鉏캐나다 堆積盆地의 一部로 호스슈캐년 層과 같은 時代의 地層이다. 恐龍이 살던 곳은 西쪽이 山脈으로 막혀 있고 海峽과 작은 蓮못, 江, 그리고 氾濫原이 있던 地域이다.

호스슈캐년 層 (Horse Shoe Canyon Formation) 은 放射性同位元素 年代측정法 으로 測定한 結果 7400萬年에서 6700萬年 사이에 만들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西部內海水로 (Western Interior Seaway) 가 後退하고 있던 白堊紀 後期의 샹파뉴節 마스트리흐트節 동안에 堆積된 地層이다. 陸成層人 호스슈캐년 層은 에드먼튼 層群 (Edmonton Group)의 一部인데, 에드먼튼 層群에는 캐나다 에드먼튼 州에 位置한 배틀 層과 화이트머드 層원이 包含된다. 恐龍들이 살았던 溪谷에는 蛇行川, 곧게 흐르는 江, 土炭 늪지 , 三角洲 , 氾濫原 , 海岸과 濕地 等이 있었다. 海水面 變動으로 인해 호스슈캐년 層은 앞바다 및 近海의 海洋 棲息地, 潟湖 와 같은 海岸 棲息地, 그리고 潮間帶 等 다양한 環境을 보여준다. 濕度가 높고 따뜩하여 溫帶에서 亞熱帶에 該當하는 氣候였다. 샹파뉴節에서 마스트리흐트절로 넘어가기 直前에 이 地域의 年平均氣溫 및 降水量이 急激히 떨어졌다. 이 層에서 發見되는 恐龍들은 에드몬토니안 陸上脊椎動物時代를 構成하며 上部와 下部의 動物群과는 確然한 差異를 보인다. [12] [13]

高動物群 [ 編輯 ]

세인트메리리버 層이 堆積되던 當時 몬타노케라톱스는 角龍類 안키케라톱스 ( Anchiceratops )와 파키리老社友루스 카나덴시스 ( Pachyrhinosaurus canadensis ), 甲옷을 지닌 怒濤社友루스 류인 에드몬토니아 弄氣켑스 ( Edmontonia longiceps ), 오리주둥이를 가진 하드로社友루스 에드몬토사우루스 레갈리스 ( Edmontosaurus regalis ), 獸脚類 社友로르니토이데스 ( Saurornithoides ), 사우로르니톨레스테스 ( Saurornitholestes )와 트로오돈 ( Troodon ), 그리고 티라노사우루스과 알베르토社友루스 (Albertosaurus) 等과 같은 棲息地에 살았으며 알베르토사우루스가 아마도 最上位 捕食者였을 것이다. [14] 몬타노케라톱스와 같은 時期에 살았던 세인트메리리버 層에서 發見되는 脊椎動物로는 早期魚類 人 아미아 ( Amia fragosa ), 레피소스테우스( Lepisosteus ), 벨로老스토무스 ( Belonostomus longirostris ), 파랄불라( Paralbula casei ), 플라타코돈( Platacodon nanus ) 等과 모사사우루스 류인 플리오플라테카르푸스 , 이宮類 캄프小社友루스 等이 있다. 이 地域에는 相當數의 哺乳類도 살았는데 여기에는 투르企圖돈 壘셀리( Turgidodon russelli ), 키몰레스테스 ( Cimolestes ), 디델포돈 ( Didelphodon ), 렙탈레스테스 ( Leptalestes ), 키몰爐돈 ( Cimolodon nitidus ), 그리고 爬羅키멕소미스 ( Paracimexomys propriscus ) 等이 있다. 無脊椎動物로는 延滯動物 中에서 굴 種類인 크라소스트레亞( Crassostrea wyomingensis ), 작은 二枚貝類인 아노미아( Anomia ), 그리고 달팽이類人 멜라니아( Melania ) 等이 있다. [15] 水中 속씨植物人 트라파고( Trapago angulata ), 良書植物잉 羊齒類 히드롭테리스( Hydropteris pinnata ), 땅속줄기植物, 그리고 針葉樹 等의 植物들도 살았다.

호스슈캐년 層의 動物群에는 몬타노케라톱스와 같은 時期에 살던 多數의 脊椎動物이 包含된다. 곡룡류 아노돈토社友루스 ( Anodontosaurus lambei ), 에드몬토니아 ( Edmontonia longiceps ), 遊娛플로케팔루스 ( Euoplocephalus tutus ), 마니랍토라 아트로키臘토르 ( Atrociraptor marshalli ), 에피키로스테노테스 ( Epichirostenotes curriei ), 리카르도에스테시아 ( Richardoestesia gilmorei , Richardoestesia isosceles ), 트로오돈과 파로니코돈 ( Paronychodon lacustris )과 命名되지 않은 트로오돈 의 한 種, 알바레즈社友루스과 獸脚類 알베로트니쿠스 ( Albertonykus borealis ), 오르니토미무스과 에 屬하는 드로美케이오美무스 ( Dromiceiomimus brevitertius ), 오르니토미무스 ( Ornithomimus edmontonicus ), 그리고 며염ㅇ되지 않은 스트壘티오美무스 ( Struthiomimus )의 한 種, 後두류 스테고케라스 ( Stegoceras ), 스파에로톨루스 ( Sphaerotholus edmontonensis ), 조각類 파르크小社友루스 ( Parksosaurus warreni ), 하드로사우루스과 에드몬토사우루스 ( Edmontosaurus regalis ), 히파크로社友루스 ( Hypacrosaurus altispinus ), 그리고 사우롤로푸스 ( Saurolophus osborni ), 角龍類 안키케라톱스 ( Anchiceratops ornatus ), 아르히노케라톱스 ( Arrhinoceratops brachyops ), 에오트리케라톱스 ( Eotriceratops xerinsularis ), 파키리老社友루스 ( Pachyrhinosaurus canadensis , Pachyrhinosaurus lakustai ), 原始的인 티라노사우루스賞과 드립土社友루스 ( Dryptosaurus ), 그리고 티라노사우루스과 알베르토社友루스 다스플레토社友루스 가 있으며 알베르토社友루스와 다스플레토사우루스가 이 環境의 最上位 捕食者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 中에서 하드로사우루스과 恐龍들이 數的인 面에서 壓倒的이었는데 該當 地域에 살던 恐龍 數의 折半 程度가 이들이었다. 호스슈캐년 層에 몬타노케라톱스와 같은 時期에 살던 脊椎動物에는 爬蟲類 兩棲類 도 包含된다. 魚類로는 상어 , 가오리 , 鐵甲상어 , 保佑핀 , 假我 그리고 가아와 비슷한 亞스피도린쿠스 ( Aspidorhynchus ) 가 發見된다. 거북과 鰐魚類는 호스슈캐년 層에서 찾기 힘든데 이 當時의 氣候가 相對的으로 추웠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퀴니와 同僚들의 2013年 硏究에서는 거북류의 多樣性이 減少한 것이 예전에는 氣候 탓으로 생각되었으나 그 代身 土壤 流出 環境의 變化와 一致하며 낮은 濕度, 地形의 不安定性 等 移住를 막는 要因에 依해 制限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으로 보였다. [13] [16] 바다물에 사는 장경룡 레우로스폰딜루스 ( Leurospondylus )가 發見되며 민물環境에 살던 動物로는 거북 , 캄프小社友루스 ( Champsosaurus ), 鰐魚 류인 레이디獒樹쿠스 ( Leidyosuchus )와 스탄게로캄프사 ( Stangerochampsa ) 等이 있다. 다구치類 와 初期 유대류 디델포돈 ( Didelphodon coyi )도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17] 이 地域에서 發見되는 脊椎動物의 痕跡化石에는 獸脚類 , 角龍類 조각類 의 발자국이 이 있어서 이들 動物도 여기에 살았음을 알려준다. [18] 여기에서 發見되는 無脊椎動物에는 海洋 無脊椎動物과 陸上 無脊椎動物이 모두 包含된다.

各州 [ 編輯 ]

  1. Liddell, Henry George and Robert Scott (1980). 《 A Greek-English Lexicon (Abridged Edition)》. United Kingdom: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910207-4 .  
  2. B. Brown and E. M. Schlaikjer. 1942. The skeleton of Leptoceratops with the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American Museum Novitates 1169:1-15
  3. B. J. Chinnery and D. B. Weishampel. 1998. Montanoceratops cerorhynchus (Dinosauria: Ceratopsia) and relationships among basal neoceratopsian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18(3):569-585
  4. P. J. Makovicky. 2001. A Montanoceratops cerorhynchus (Dinosauria: Ceratopsia) braincase from the Horseshoe Canyon Formation of Alberta. Mesozoic Vertebrate Life, D. H. Tanke and K. Carpenter (eds.),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243-262
  5. C. M. Sternberg. 1951. Complete skeleton of Leptoceratops gracilis Brown from the Upper Edmonton Member on Red Deer River, Alberta. National Museum of Canada Bulletin 123:225-255
  6. Chinnery, B. J. & Weishampel, D. B. 1996. Montanoceratops cerorhynchus and the question of monophyly of the Protoceratopsidae.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16: 27A.
  7. Michael J. Ryan, David C. Evans, Philip J. Currie, Caleb M. Brown and Don Brinkman (2012). "New leptoceratopsids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Alberta, Canada". Cretaceous Research 35: 69?80. doi:10.1016/j.cretres.2011.11.018
  8. Holtz, Thomas R. Jr. (2008) Dinosaurs: The Most Complete, Up-to-Date Encyclopedia for Dinosaur Lovers of All Ages Supplementary Information
  9. Bakker, Robert (1986). The Dinosaur Heresies . Kensington Publishing Corp. 98쪽. ISBN   0-8065-2260-7 .  
  10. Palmer, D., 編輯. (1999). The Marshall Illustrated Encyclopedia of Dinosaurs and Prehistoric Animals . London: Marshall Editions. 164쪽. ISBN   1-84028-152-9 .  
  11. Brown, B., Schlaikjer, E. 1942. The skeleton of Leptoceratops with the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American Museum Novitates. 1169: 1-15.
  12. Dodson, Peter (1996). The Horned Dinosaurs: A Natural History .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4?15쪽. ISBN   0-691-05900-4 .  
  13. Annie Quinney, Francois Therrien, Darla K. Zelenitsky, David A. Eberth. Palaeoenvironmental and palaeoclimatic reconstruction of the Upper Cretaceous (late Campanian?early Maastrichtian) Horseshoe Canyon Formation, Alberta, Canada.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Volume 371, 1 February 2013, Pages 26?44. http://dx.doi.org/10.1016/j.palaeo.2012.12.009
  14. "Alberta, Canada; 13. St. Mary River Formation," in Weishampel, et al. (2004). Pages 577-578.
  15. Kososki, B., Reiser, H., Cavitt, C., Detterman, R (1978) A Gravity study of the northern part of the Arctic National Wildlife Range, Alaska. (Geological Survey Bulletin 1440) Bibliography: p. 20-21
  16. Arbour, Victoria (2010). "A Cretaceous armoury: Multiple ankylosaurid taxa in the Late Cretaceous of Alberta, Canada and Montana, USA".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30 (Supplement 2): 55A. doi:10.1080/02724634.2010.10411819
  17. Derek W. Larson, Donald B. Brinkman, Phil R. Bell, 2010, "Faunal assemblages from the upper Horseshoe Canyon Formation, an early Maastrichtian cool-climate assemblage from Albert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lbertosaurus sarcophagus bonebed",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 47 : 1159-1181
  18. Weishampel, David B.; Dodson, Peter; and Osmolska, Halszka (eds.): The Dinosauria, 2nd,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4) 861 pp. ISBN   0-520-24209-2 .
  • Chinnery, BJ & Weishampel, DB (1998). “ Montanoceratops cerorhynchus (Dinosauria: Ceratopsia) and relationships among basal neoceratopsian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18 (3): 569?585. doi : 10.1080/02724634.1998.10011085 .  

外部 링크 [ 編輯 ]

위키미디어 公用에 몬타노케라톱스 關聯 미디어 分類가 있습니다. 위키生物種에 몬타노케라톱스 關聯 資料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