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 앙투아네트 베르사유의 薔薇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마리 앙투아네트
베르사유의 薔薇
Marie Antoinette
著者 슈테판 츠바이크
나라 오스트리아
言語 獨逸語
장르 評傳

마리 앙투아네트 베르사이유의 薔薇 》(Marie Antoinette, Die Rosen von Versailles)는 오스트리아 出身의 詩人ㆍ小說家이자 世界 3代 傳記 作家 中 하나인 슈테판 츠바이크 (1881~1942)가 1932年 發表한 悲運의 王妃 마리 앙투아네트 評傳이다.

內容 [ 編輯 ]

오스트리아 公主로 태어나 同盟을 위해 敵國 프랑스 王妃가 되었고 結局 프랑스 革命 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斷頭臺에서 삶을 마감했던 劇的인 삶으로 인해 많은 藝術 作品의 靈感의 源泉이 되고 있는 마리 앙투아네트 라는 歷史的 人物을 슈테판 츠바이크 는 "怜悧하지도 어리석지도 않으며 善을 위해 앞장서지도 惡을 行할 醫師도 全혀 없는 平凡한 女人"으로 描寫하고 있다.

기타 [ 編輯 ]

1932年 發表된 이 評傳은 스터디셀러로 6年뒤 1938年 헐리우드 映畫 로 製作됐으며 以後 다큐멘터리와 映畫, 漫畫等 마리 앙투아네트 와 關聯된 後代 作品의 參考 書籍이 됐다. 國內에서는 1979年 처음 飜譯되어 出刊됐으며, 文學과 論述의 連繫가 强化되며 프랑스 革命 과 關聯된 文學作品으로 紹介되기도 했다.

有名 文句 [ 編輯 ]

不幸 속에서야 겨우 人間은 自己가 누구인가를 알 수 있습니다

革命 直前, 마리 앙투아네트 는 便紙글에 다음 文句를 남겼으며 世上 物情 모르던 公州였지만 危機가 닥쳐오자 漸漸 成熟해졌고, 最後에는 毅然한 態度로 氣品있는 王妃로서의 威嚴을 보여줬다.

韓國語 出刊 [ 編輯 ]

  • 마리 앙투아네트 베르사유의 薔薇: 박광자 驛 | 까치 | 1979.09.01
  • 悲戀의 王妃: 박선희 驛 | 문공사 | 1993.04.01
  • 베르사유의 薔薇 : 오정숙 驛 | 명서원 | 1994.09.01
  • 마리 앙투아네트 베르사유의 薔薇: 박광자 驛 | 까치 | 1992.07.20
  • 마리 앙투아네트 베르사유의 薔薇: 박광자 전영애| 請未來 | 2005.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