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筆記體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고 로마 筆記體(cursiva antigua)와 新 로마 筆記體(cursiva nueva)

로마 筆記體 (Roman cursive)또는  라틴 筆記體 (Latin cursive)는 古代 로마 中世 의 一部 時代에 使用된 筆記 글꼴 이다. 一般的으로 高 筆記體와 新 筆記體로 分類된다.

고 로마 筆記體 [ 編輯 ]

고 로마 筆記體는 大文字 筆記體로 불리며, 日常的인 손글씨 筆記體로 商人이 帳簿에 使用하거나, 學校의 學生이 로마字 를 배울때 使用하거나, 或은 로마 皇帝 의 勅書 作成에도 使用되었다. 보다 公式的인 글꼴로는 로마 大門自體 가 있으나, 筆記體는 서둘러 非公式的으로 文書를 作成할 때도 使用되었다. 紀元前 1世紀로부터 西紀 3世紀에 걸쳐 가장 一般에 使用되었으나, 그 以前에도 存在했으리라고 여겨진다. 紀元前 2世紀 初頭에, 플라우투스 는 《 프세우돌루스 》에서 筆記體의 읽기 어려움에 對해 다음과 같이 남기고 있다.

Calidorus: Cape has tabellas, tute hinc narrato tibi quae me miseria et cura contabefacit.

Pseudolus: Mos tibi geretur. Sed quid hoc, quaeso?
Calidorus: Quid est?
Pseudolus: Ut opinor, quaerunt litterae hae sibi liberos: alia aliam scandit.
Calidorus: Ludis iam ludo tuo?
Pseudolus: Has quidem pol credo nisi Sibylla legerit, interpretari alium posse neminem.
Calidorus: Cur inclementer dicis lepidis litteris lepidis tabellis lepida conscriptis manu?

Pseudolus: An, opsecro Hercle, habent quas gallinae manus? Nam has quidem gallina scripsit.

칼리度루스: 이 便紙를 손에 들어, 어떤 災難와 患亂이 나를 괴롭히고 있는가를 말해주게.

프세우돌루스: 그러지요. 그런데, 이게 무엇입니까?
칼리度루스: 뭐가?
프세우돌루스: 제가 보기에는, 이 글字들은 아이들이 되고 싶어하는 것처럼 보이는군요. 한 글字가 다른 글字 위에 올라가 있소. 
칼리度루스: 그대의 여느때 처럼의 弄談인가?
프세우돌루스: 眞實로 폴리데우케스 에게 盟誓코, 시빌라 라면 읽어도 그 누구도 理解할 수 없을 거요.
칼리度루스: 이 優雅한 손으로 써낸 優雅한 글과 優雅한 便紙를 그대는 어째서 그리 甚하게 말하는지?
프세우돌루스: 아니, 헤라클레스 에게 盟誓코, 어떤 암탉이 이런 손을 가졌을까, 勿論 이 便紙는 암탉이 쓴 것이겠죠.

? 플라우투스, 『프세우돌루스』 21?30
클라우디우스 時代(西紀 41~54年)의 筆記體 
uobis · ujdetur · p · c · decernam[us · ut · etiam]
prolatis · rebus ijs · judicibus · n[ecessitas · judicandj]
imponatur quj · jntra rerum [· agendarum · dies]
jncohata · judicia · non · per[egerint · nec]
defuturas · ignoro · fraudes · m[onstrosa · agentibus]
multas · aduersus · quas · exc[ogitauimus]...

고 로마 筆記體는, 원 글字를 알 수 없을 程度로 變化되어, 現代의 筆記體에 익숙한 現代人이 보더라도 읽기가 매우 힘들 程度이다. 많은 境遇 合字 를 使用하고 있어, 몇가지 문자는 서로 區分을 하기 힘들다. a는 言說體의 a와 類似하나, 왼쪽 劃이 똑바로 서 있다. b/d의 區別이 어렵고, e는 s와 마찬가지로 위쪽까지 써서 써져 있으며, p와 t는 매우 類似하게 생겼고, v는 베이스라인보다 위쪽에 써져있어, 쉐브롱 과 닮은 꼴이다.  [1]

新 로마 筆記體 [ 編輯 ]

新 로마 筆記體는 小文字 筆記體 또는 後期 로마 筆記體로도 불리며, 고 로마 筆記體에서 發展된 글꼴이다. 西紀 3世紀에서 7世紀頃까지 使用되었으며, 現代人이 보기에도 알기 쉬운 文字를 使用하고 있다. a, b, d, e는 現代의 글꼴과 類似한 模樣을 하고 있으며, 그 外의 文字도 베이스라인 위에 크기나 位置가 크게 變하는 일 없이, 일정한 比率로 맞춰서 記錄되어 있다. 이 글꼴을 一部 基本으로 한 ' 카롤링 所聞自體 '로 알려진 글꼴이 發明되어, 9世紀에 아헨 투르 에서 發展을 이뤄, 칼 大帝 의 帝國의 손글씨 글꼴을 統一하는 目的으로 普及되었다. 카롤링 所聞自體는 그 後 黑字體 로 發展해가며 使用되지 않게 되었으나, 르네상스 時代 에 다시 復活하여, 現代의 小文字의 原形이 되었다. 언셜체 와 半言셜체도 이 神 로마 筆記體에서 發展된 例로 여겨지며, a, g, r, s의 模樣이 特히 매우 類似하다.  [2]

Jan-Olaf Tjader 에 依하면, 新 로마 筆記體는 언셜체 뿐만 아니라, 中世에 使用된 모둔 글꼴에 影響을 끼쳤다.  [3] [4] 게일體 는 언셜체가 後代에까지 使用된 例이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 Jan-Olaf Tjader (1955). 《Die nichtliterarischen lateinischen Papyri Italiens aus der Zeit 445?700》. Lund.  
  • Centre for the Study of Ancient Documents and the Academic Computing Development Team. “Vindolanda Tablets Online” . Oxford University . 2009年 3月 22日에 確認함 .  

關聯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