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뚝배기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뚝배기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뚝배기 料理

뚝배기 찌개 , 지짐이, 造林 等을 끓이거나 설렁湯 等을 담을 때 쓰는 오지그릇이다. 大韓民國 在來의 土俗的인 그릇으로, 아가리가 넓고 속이 조금 깊으며, 크기는 大, 中, 소의 여러가지가 있다. 뚝배기는 地方에 따라 툭배기, 툭修理, 툭朴이, 투가리, 둑修理 等으로 불린다. 그 中에서 한 컵이나 半 컵 程度 들어가는 작은 것을 알뚝배기라고 한다. 뚝배기는 냄비 처럼 빨리 끓지 않는 短點이 있지만 一旦 뜨거워진 것은 쉽게 식지 않으므로 겨울철에 따끈한 飮食을 먹을 때 좋다. [1]

歷史 [ 編輯 ]

뚝배기는 高麗時代 부터 만들어졌다고 알려져 있으며, 朝鮮時代 에 널리 使用되었고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우리 食卓에서 자주 볼 수 있다. 이달충 의 詩에는 “질뚝배기에 들고 오는 허연 막걸리”라는 句節이 登場하기도 한다. 이것으로 보아 庶民들이 平素 마시거나 잔치 때 濁酒 를 즐겨 마셨으며, 질뚝배기를 使用하였다는 點을 알 수 있다. 이달충 이 高麗時代 人物인 것으로 勘案하면 적어도 뚝배기는 高麗時代에는 이미 만들어져 使用되고 있음을 確認할 수 있다. [2]

濟州島의 뚝배기 [ 編輯 ]

濟州鄕土飮食인 오분자기 뚝배기

뚝배기는 濟州 의 飮食文化에서 商用化된 時期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濟州 以外의 地域의 境遇 이미 高麗時代부터 비롯되어 朝鮮時代에 活潑히 使用되어온 것으로 確認되고 있으나 濟州의 境遇에는 이 질그릇을 使用하여 飮食을 調理할 必要가 없었기 때문에 事實上 濟州甕器에서는 뚝배기가 發見되지 않는다. 外地 사람들이 드나들던 一部 官衙 에서나 妓房 等에서는 使用했을 可能性이 있으나 一般 家庭의 飮食에서는 뚝배기를 使用하지 않고 遺棄 그릇이나 白瓷 그릇을 使用하는 것이 一般的이었기 때문에 이 또한 一般化 되지는 않았을 것임을 推定해 볼 수 있다. 90歲 以上의 年齡을 지닌 主題의 高年齡 住民들의 證言에 따르면 解放以後 간간히 보이긴 하였으나 實際로 一般化 된 것은 不過 2~30餘年에 지나지 않는다고 傳한다. 濟州의 傳統飮食에는 뚝배기를 活用할만한 湯이나 찌개와 類似한 飮食이 없는 것 또한 濟州島에서 傳統的으로 뚝배기를 使用하지 않았음을 證明한다. [3]

製作 [ 編輯 ]

뚝배기의 製作 方式은 一般 陶瓷器 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製作에 쓰이는 材料에는 若干의 差異가 있다. 原料로는 主로 智異山 隣近에서 出土되는 高嶺土 黃土 를 利用한다. 이 高嶺土 黃土 遠赤外線 을 含有하고 있어 耐熱性이 强해 뚝배기 原料로 使用된다.

公正 過程 [ 編輯 ]

工程은 먼저 반죽으로부터 始作된다. 그 뒤 1次 乾燥로서, 틀에 넣어 서늘한 곳에 말린다. 沙布로 整理한 後 釉藥 바른 다음 2次 乾燥를 始作한다. 마지막으로 1300度 以上에서 12時間 程度 구우면 뚝배기가 完成된다. [4]

形態 및 特徵 [ 編輯 ]

뚝배기는 地域에 따라 模樣이 各其 다르다. 겉模樣은 투박하고 안쪽은 매끄러우며, 黑褐色을 띠는게 普通이다.

  • 中部 地方의 뚝배기는 깊이가 깊고(약10~15cm), 밑마닥이 入口보다 若干 좁으며 側面은 直線形을 이룬다. 알뚝배기는 大槪 배가 퍼진 曲線型이다.
  • 東海岸 地方의 뚝배기는 깊이가 얕고 배가 둥글게 曲線을 이루어서 마치 국대접의 주둥이를 오므려놓은 것 같은 模樣이다.

中部 地方과 東海岸 地方의 뚝배기 模樣의 差異는 빗살무늬土器 에서 민무늬土器 로 이어진 時代의 바리形土器 遺物에 있는 畸形의 差異와 恰似하다. [5]

種類 [ 編輯 ]

뚝배기는 製作過程과 用途에 따라 分類할 수 있다. 그러나 모두 구운 後 釉藥處理를 때문에 外觀上의 差異는 거의 없으며 價格 또한 비슷하다.

製作過程에 따른 分類 [ 編輯 ]

  • 오지그릇: 奧地뚝배기는 붉은 진흙으로 만들어 볕에 말리거나 若干 구운 다음 多黑色(茶黑色)의 잿물을 입혀 다시 구워 만든 것으로, 검붉은 潤이 나고 질긴 것이 그 特徵이다. 奧地뚝배기는 古代土器에서 한段階 發展한 金海土器를 거쳐, 8世紀를 전후한 統一新羅期에 土器에다 釉藥을 바르는 手法이 이어진 것이다.
  • 질그릇: 질뚝배기는 오지뚝배기처럼 만드나 잿물을 입히지 않은 것으로 겉面이 태석태석하고 潤氣가 없다. 이러한 질뚝배기는 新石器人들이 만들어 쓰던 櫛文土器(櫛文土器)에서 靑銅器時代의 無文土器(無文土器)로 이어지던 古代의 土器 公正(工程)이 거의 그대로 이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6]

用途別 分類 [ 編輯 ]

  • 耐熱 뚝배기 : 耐熱 뚝배기 는 1,200°C의 高溫에서 구워내 熱에 견디는 性質이 强한 뚝배기이다. 耐熱 뚝배기 는 된醬찌개나 鷄卵찜과 같이 끓여내는 飮食에 適合하다.
  • 一般 뚝배기 : 一般 뚝배기 는 800°C의 低溫에서 구워 熱에 견디는 性質이 弱한 뚝배기이다. 材料인 흙의 配合도 耐熱 뚝배기 와 差異를 보인다. 一般 뚝배기 는 설렁湯이나 국밥과 같이 담아내는 飮食에 適合하다.

뚝배기를 利用한 料理 [ 編輯 ]

뚝배기의 使用은 천천히 熱을 올려 익히거나, 오랜 時間 동안 푹 孤兒야 하는 料理에 適合하다.

反面, 江불에 急히 熱을 올려야 하는 料理나, 물氣가 없는 料理를 할 때에는 뚝배기를 使用하지 않는 것이 좋다.

뚝배기를 使用하면 좋은 料理 [ 編輯 ]

  • 찌개  : 뚝배기를 利用하여 오랫동안 끓이면 좀 더 깊은 맛을 낼 수 있다.
  •  : 뚝배기를 利用하면 따뜻한 채로 오랫동안 維持할 수 있어서 좋다.
  •  : 뚝배기를 利用하여 營養밥 等을 料理하면 食事가 끝난 後 누룽지를 만들기에 좋다.
  • 造林  : 뚝배기를 利用하면 양념이 속까지 고루 배어들게 할 수 있어서 좋다.
  •  : 뚝배기를 利用하여 오랫동안 졸이면 材料를 속까지 고루 익힐 수 있어서 좋다.
  •  : 뚝배기를 利用하여 粥을 끓이면 쌀이나 各種 材料들을 푹 무르게 할 수 있어서 좋다.

뚝배기를 使用하지 않는 것이 좋은 料理 [ 編輯 ]

  •  : 急히 熱을 올려 팔팔 끓는 물에 麵을 넣어 익힌 後 빨리 식혀줘야 하는 麵類에는 뚝배기를 使用하지 않는 것이 좋다.
  • 볶음  : 물氣가 없이 기름에 볶아야 하는 料理에는 뚝배기를 使用하지 않는 것이 좋다.

뚝배기의 使用 [ 編輯 ]

뚝배기가 加熱된 狀態에서 찬물을 붓거나 內容物이 없는데 불을 켜서 달구면 뚝배기가 갈라지거나 깨질 憂慮가 있다. 따라서 뚝배기에 料理할 때는 勇氣를 使用하기 前에 물을 담가두어 금이 가는 것을 막는 것이 安全하다. 調理 過程에서 처음부터 强한 불을 使用하는 것은 뚝배기의 壽命에 좋지 않으며, 內容物이 끓어오르기 始作하면 弱한 불로 調理해야 물이 넘치거나 타지 않는다.

保管 [ 編輯 ]

새 뚝배기를 保管할 때는 뚝배기에 食用油 를 바른 後 물을 70%程度 붓고 弱한 불에서 센 불로 끓여주면 耐久性이 좋아진다. 또한 뚝배기를 使用한 後에는 깨끗하게 닦고, 그늘에 半나절 程度 말려서 保管해야 한다. 자주 使用하는 뚝배기는 그 안에 물을 담아두는 것이 좋고, 오래 使用하지 않을 境遇에는 通風이 잘 되는 곳에 備置하는 것이 좋다. 뚝배기에 곰팡이 가 슬었다면 물에 담가 두었다가 洗滌한 後 쌀뜨물을 받아 끓여서 햇볕으로 말려야 다시 使用할 수 있다.

洗滌 [ 編輯 ]

뚝배기는 ‘숨을 쉬는 그릇'으로 勇氣 사이사이에 틈이 存在한다. 따라서 一般 洗劑로 洗滌하게 되면 稅制成分이 그릇에 베어 調理時 세젯물이 나올 수 있으므로 쌀뜨물, 베이킹 소다 , 밀가루 , 껍질 等을 利用하여 洗滌하는 便이 좋다.

  • 쌀뜨물: 세 番째로 씻어낸 쌀뜨물로 뚝배기를 씻거나 뚝배기에 쌀뜨물을 부어 두었다가 헹궈낸다. 뚝배기에 쌀뜨물을 넣고 끓이면 쌀뜨물 속에 들어 있는 가루가 氣泡 사이를 막아서 뚝배기의 微細한 粒子가 메워짐으로써 勇氣의 耐久性이 좋아진다.
  • 베이킹 소다 : 뚝배기에 물과 베이킹 소다 한 스푼을 넣고 끓여낸 뒤 헹궈내면 베이킹소다가 脂肪酸 中華 시켜 기름때가 잘 지워진다.
  • 밀가루 : 밀가루 한 스푼을 풀어낸 물에 뚝배기를 씻어준다.
  • 껍질: 뚝배기를 橘껍질로 문지른 後 깨끗한 물로 헹궈낸다. 橘껍질의 枸櫞酸 이 飮食物 찌꺼기를 除去하는 役割을 한다.

받침 [ 編輯 ]

뚝배기는 勇氣가 高溫을 維持하기 때문에 뚝배기 받침 과 같이 使用하는 것이 普通이다. 받침은 멜라민 素材와 나무 素材의 두 種類가 있으며, 흔히 使用되는 멜라민 所在 받침은 個當 600~700원, 나무 素材는 個當 3千원 程度로 販賣된다. 一部 食堂에서는 받침을 使用하지 않고, 테이블에 스테인리스 덧대를 使用하여 받침 없이 뚝배기를 使用하기도 한다.

文化的 觀點 [ 編輯 ]

慣用語句 [ 編輯 ]

韓國語에서 쓰는 慣用語句 中 뚝배기라는 單語가 包含된 것은 다음과 같다. [7] [8]

  • 뚝배기 깨지는 소리
  1. 音聲이 곱지 못하고 濁한 것을 이르는 말.
  2. 잘 못하는 노래나 말을 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例文) 元體가 곰처럼 주변머리가 없고, 무뚝뚝한 性格인데다, 새파란 것들이 鬚髥까지 건드리며, 동무 어쩌고 방정을 떠는 것이 몹시 쏘였던지 말이 뚝배기 깨지는 소리였다. - 송기숙 <자랏골의 비가>

  • 뚝배기 깨고 국 쏟았다. (뚝배기 깨고 腸 쏟는다)
  1. 한 가지 失手로 여러 番에 걸쳐 損害를 보게 된다는 뜻으로 比喩하는 말.

<같은표현>독 깨고 腸 쏟는다.

  • 뚝배기보다 醬맛이 좋다.
  1. 겉模樣은 보잘것없으나 內容은 훨씬 훌륭함을 이르는 말.

<같은표현>꾸러미에 단 張 들었다, 醬독보다 醬맛이 좋다.

(例文) "핫핫핫, 개川에서 龍 났네 그래." "툭사발이보다 醬맛이 났구마는....." 學父兄들은 露骨的으로 비아냥거리기 始作했고, 多少 失望하는 눈치들도 엿보였다. - 김춘복 <쌈짓골>

  • 뚝배기에는 腸을 끓이게 마련이다.
  1. 무엇이든지 제 用途에 맞게 쓰일 수밖에 없다는 뜻.
  • 나무 뚝배기 쇠 양푼 될까
  1. 本바탕이 나쁜 사람이 훌륭한 사람으로 變할 수는 없음을 이르는 말

<같은표현>우마가 麒麟 되랴.

  • 뚝배기로 개 때리듯
  1. 제 憤에 못 이겨 公演한 火풀이를 했지만 別로 시원하지도 않은 境遇를 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例文) 뚝배기로 개패듯 했던 아까 할아버지의 高喊소리가 귓가에 살아왔다. - 송기숙 <도깨비 잔치>

  • 뚝배기로 개 패는 소리
  1. 무척 요란스럽다는 뜻으로 빗대는 말

(例文) "한놈이라도 나가는 놈이 잇기만 해봐!" 令監은 뚝배기로 개 팬 소리로 山을 쩡쩡 울렸다. - 송기숙 <자랏골의 비가>

  • 뚝배기로 개 어른다.
  1. 부드러운 言行과 미끼로 사람이나 짐승을 어른다는 뜻

(例文) "... 첨에는 뚝배기로 개어르는 裳板이더라마는, 내가 하도 쥐앙情을 읽어싼께 그런가 으짠가, 요새는 그런 소리를 해도 潛潛한 것이 누그러진 성부르다..." - 송기숙 <자랏골의 비가>

  • 뚝배기에 든 두꺼비 表情
  1. 멍한 表情을 하고 있다는 뜻으로 빗대는 말

(例文) "... 해도 彷彿海私製 밑구녁까지 폴아서 사내놈들 脈애살리는 사당牌가 멋이 좋다고 거그서 안 나오겄다고 버티냐 말이여. 문둥이떼는 그래도 밑구녁은 안 폰다." 幕똥이는 뚝배기에 든 두꺼비처럼 멍청한 表情으로 뇌었다. - 송기숙 <綠豆將軍>

한 뚝배기 하실래예? [ 編輯 ]

韓國에서 뚝배기 하면 흔히 떠올리곤 하는 "한 뚝배기 하실래예?" 라는 文章은 로버트 할리 가 登場한 쌀국수 뚝배기 CF에서 由來한다. 本來부터 韓國에 存在하는 俗談이나 表現이 아닌 것으로 로버트 할리 의 CF가 인터넷 上에서 急速度로 번지며 韓國人의 귀에 낯익게 되었다. 이 CF에서의 "한 뚝배기 하실래예?" 라는 臺詞는 수많은 패러디 컨텐츠를 量産하였으며, 특별한 뜻을 지니지는 않는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韓國民俗大辭典>, 韓國民俗事前 編纂委員會, 서울: 民族文化史, 1991.
  2. (寺)韓國傳統駐振興協會
  3. <海物 뚝배기의 元祖 '바릇國', 濟州의 소리>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72425 Archived 2011年 6月 23日 - 웨이백 머신
  4. 生放送 모닝와이드 2032話 3部, 맛있는 土曜日
  5. e뮤지엄 http://www.emuseum.go.kr/relic.do?action=view_d&mcwebmno=62182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6. e뮤지엄 http://www.emuseum.go.kr/relic.do?action=view_d&mcwebmno=31580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7. 네이버 國語辭典. 2012年 6月 3日 確認.
  8. <韓國의 俗談 大辭典>, 정종진 엮음, 坡州: 太學士, 2006.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