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디오니소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디오니소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디오뉘소스 에서 넘어옴)

디오니소스

디오니소스 (Δι?νυσο?, Dion?sos, Dionysos, Dionysus)는 古代 그리스 神話 의 葡萄酒와 豐饒, 葡萄나무, 狂氣, 茶山, 恍惚境, 演劇의 神이며, 죽음과 再生의 神 으로 分類되기도 한다. 제우스 세멜레 의 아들이고 아리아드네 의 男便이다. 로마 神話 바쿠스 (Bacchus)에 該當한다. 로마 神話 에서는 리베르 라는 豐饒의 神과 同一視 되기도 하였으며, 이집트 神話의 오시리스 , 프리기아 神話의 사바지오스 와 同一視 되기도 하였다.

圖上 [ 編輯 ]

안티오케이아 에서 發見된 디오니소스의 모자이크, 2-3世紀頃.

象徵 [ 編輯 ]

디오니소스의 初期 崇拜 當時 모습은 鬚髥을 기르고 긴 옷을 입은 成人 男性으로 描寫되었다. 그러나 나중에는 鬚髥이 없고, 肉感的이며, 普通 발가벗고 있는 陽性的인 모습 의 젊은이로 描寫된다. 古代 그리스의 文獻에서는 種種 그를 "女子같은" 或은 "女性스러운 男子"로 描寫한다. [1] 完全히 發達된 形態로, 그의 中心的인 崇拜 이미지들은 마치 有名하고 文明化된 國境 너머의 어딘가에서 온 것처럼 그의 意氣揚揚하고 無秩序한 到着과 歸還을 보여준다. 그의 行列은 거친 女性 追從者들( 마이나스 )과 發起 狀態의 턱鬚髥을 기른 社티로스 들로 構成되어 있다. 構成員 中 一部는 티르소스로 武裝하고 있으며 춤과 或은 音樂을 연주한다. 神 自身도 電車에 타고 있는데, 大槪 獅子나 虎狼이 같은 異國的인 짐승들이 끌고 다니며, 때로는 턱鬚髥을 기르고 술에 醉한 실레노스 가 參席하기도 한다. 이 디오니소스는 傳統的인 社會에 屬하지 않는 사람들의 守護者이자 都市의 宗敎로 대표되며, 따라서 그는 人間의 理性을 벗어나고 豫測 不可能한 神의 行動에 起因할 수 있는 혼란스럽고 危險하고 豫想치 못한 모든 것을 象徵한다. [2]

象徵 動物은 豹범, 獅子, 虎狼이, 鹽素, 황소, 여우, 뱀, 돌고래, 노새 等이며, 象徵 植物은 葡萄, 沙果, 無花果, 딸기, 아이비 等이다. 끝에 솔방울이 달려있고, 담쟁이 덩쿨로 둘러싼 티르소스라는 지팡이를 들고 다니며, 다른 한 손에는 술盞, 豐饒의 뿔 을 쥐고 있기도 한다.

系譜와 由來 [ 編輯 ]

호메로스 의 《 일리아스 》(14篇 325)에 따르면 제우스 세멜레 사이에서 태어났다. 헤시오도스 亦是 神統記 940-942에서 세멜레를 디오니소스의 어머니로 傳하고 있다. 이름의 語源은 디오스 (Δι??, 제우스의 所有格) + 뉘소스 (νυσο? - 學者에 따라 서는 σνυσο?를 뒷뿌리로 잡기도 한다). 그러나 뉘소스가 어디에서 왔는지 確實치가 않다.

디오니소스의 由來 場所에 關해서는 學者들 間에 一致된 意見은 없다. 미케네 文明 에서 由來했다는 說이 있는가 하면, 테베 에서 崇拜된 神이라고 보는 學者도 있다. 一般的으로 디오니소스는 에게海 沿岸의 古代 그리스의 여러 部族들 사이에서 일찍부터 새로운 季節의 活力을 가져다 주는 神으로 崇拜된 것으로 보이며, 紀元前 8世紀 를 前後로 古代 그리스 神話가 틀이 잡히면서 널리 알려지고, 디오니소스를 둘러싼 여러 가지 神話가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디오니소스의 出生에 얽힌 이야기는 오늘날 主로 에右뤼피데스 의 悲劇 朴카이 를 통해 잘 알려져 있다.

神話 [ 編輯 ]

誕生 및 復活 [ 編輯 ]

제우스 테베 의 公州 세멜레의 아들로 나온다. 헤라 는 제우스의 內緣女人 세멜레를 무척 미워하였다. 헤라는 세멜레에게 復讐하기 위해 乳母 로 變身하여 그女에게 接近한다. 헤라는 세멜레로 하여금 自身의 愛人이 正말 제우스가 맞는지 疑心하도록 만들었다. 헤라의 속임數에 넘어간 세멜레는 제우스에게 本모습을 보여달라고 付託했고, 스틱스 江에 盟誓한 제우스는 어쩔 수 없이 그女에게 本모습을 드러낸다. 그러나 제우스가 神의 모습을 드러내자 세멜레는 恐怖에 떨며 그 光彩에 타 죽어버린다. 세멜레는 제우스의 아이를 妊娠한 狀態였는데, 제우스는 타 죽어버린 세멜레의 子宮에서 胎兒를 꺼내 自身의 허벅지에 꿰매 넣고 기른다. 달이 차고 허벅지에서 아이가 태어나자 제우스는 아이의 이름을 '디오니소스'라 짓는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 가 따르는 크레타 神話에 依하면, 디오니소스는 제우스 와 地下世界의 女王인 페르세포네 의 아들이었다고 한다.

成長 및 헤라의 憤怒 [ 編輯 ]

神話에 따르면, 제우스는 갓 태어난 디오니소스를 헤르메스 에게 맡긴 뒤, 뉘사 山의 님프 들에게 養育 을 付託했다고 한다. 제우스는 님프들에게 디오니소스를 女子처럼 키우라고 付託하였다. 제우스는 디오니소스를 精誠껏 돌봐준 뉘사 山의 님프들을 휘아데스 星團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또 다른 傳承에서는 헤르메스(或은 제우스)가 디오니소스에게 女子 아이의 옷을 입히고 세멜레의 언니인 이노에게 맡겼다는 것이다. 제우스는 이노에게 養育을 付託하며 헤라의 눈을 避하고 디오니소스를 少女처럼 키우라고 말한다. 디오니소스는 제우스의 말대로 이노의 집에서 餘張 을 하고 少女처럼 길러진다.

그러나 이 事實을 안 헤라가 이노의 男便인 亞打마스에게 狂氣를 불어 넣는다. 아타마스는 平素에 사냥을 즐겼는데, 집에 큰 사슴이 들어온 것을 보고는 화살을 쏴 죽여 버렸다. 그러나 그가 죽인 것은 아들 레아르코스였다. 狂氣에 사로잡혀 제 아들을 사슴으로 錯覺한 것이었다. 狂氣에 미쳐버린 아타마스는 레아르코스의 屍體를 갈기갈기 찢었다. 그는 아내인 이노와 아들 멜리케르테스마저 죽이려고 달려 들었다. 이노는 아타마스로부터 도망쳐 멜리케르테스를 안고 바다에 몸을 던져 죽어버린다.

一說에 依하면 제우스는 아들 디오니소스를 키워준 報答으로 바다에 몸을 던진 이노를 레우코테아 女神으로, 멜리케르테스를 팔라이몬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다른 說에서는 이怒濤 狂氣에 미쳐버려 끓는 물이 든 냄비에 멜리케르테스를 넣고 죽인 뒤, 그 屍身을 품고 돌아다녔다고 傳해진다. 한便 디오니소스는 새끼 염소로 變身하여 庭園을 돌아다니고 있었는데, 헤르메스에 依해 救出 되었다는 說도 있고, 自身도 狂氣에 미쳐 彷徨하다 女神 레아 에 依해 狂氣가 풀렸다는 說도 있다.

디오니소스에 얽힌 神話 [ 編輯 ]

디오니소스와 癌펠로스 - 프란시스코 라이거티 (1782年)

미다스 [ 編輯 ]

理智兒의 王 미다스는 디오니소스의 스승이면서 養父인 실레노스 를 잘 보살펴준 代價로 디오니소스로부터 좋은 待接을 받는다. 디오니소스가 미다스에게 所願을 들어주겠다고 하자, 미다스는 自身의 손이 닿은 것은 무엇이든 黃金으로 變하게 해달라고 付託했다. 디오니소스는 暫時 망설였지만 그 要請을 承諾했고 미다스는 그 結果에 너무나 滿足해하며 기뻐했다. 그러나 미다스가 飮食을 먹기 위해 손을 대는 瞬間 飮食은 黃金으로 變해버렸고, 自身의 部下와 딸 마저 黃金으로 變하고 말았다. 미다스는 디오니소스에게 가서 自身의 所願을 풀어달라고 哀願했다. 디오니소스는 미다스에게 팍톨루스 江에 몸을 씻으면 元狀態로 돌아갈 것이라 말하였고 미다스는 디오니소스의 말대로 팍톨루스 江에 가서 몸을 씻자 黃金으로 變하는 일이 사라졌다. 그 後 미다스는 部와 映畫를 싫어하였고 시골에 살면서 들의 新人 판의 崇拜者가 되었다.

펜테우스 [ 編輯 ]

癌펠로스 [ 編輯 ]

암펠로스는 실레노스 와 님프가 情을 통하여 낳은 젊은 사티로스로, 디오니소스가 짝사랑한 美少年이다. 神話에 따르면 어린 時節의 디오니소스는 癌펠로스라는 같은 나이 또래의 美少年 사티로스와 어울렸다. 암펠로스를 너무나도 사랑한 디오니소스는 아버지인 제우스 에게 암펠로스를 自身의 愛人이라고 소개시키며 그가 가니메데스 보다도 훨씬 아름답다고 比較하기까지 했다.

디오니소스와 암펠로스는 씨름을 하면서 서로의 몸을 스치며 貪하기도 했다. 디오니소스는 그와 씨름을 할 때마다 일부러 져주면서 그의 몸에 깔리는 느낌을 즐겼다. 디오니소스는 언제나 癌펠로스와 함께 사냥을 다니며 그에게 勇氣를 불어넣었다. 다만 성난 水素를 건드리면 안된다고 注意를 주었다. 그러던 어느 날 개울가에서 물을 마시고 있는 水素를 發見한 암펠로스는 디오니소스의 當付를 잊고 水素 목에 굴레를 걸고 水素를 타기 始作했다. 이에 嫉妬心을 느낀 셀레네 는 等에떼를 내보내 水素는 미친 듯이 달리기 始作했고, 水素는 암펠로스를 언덕 위에 내던져 버렸다. 암펠로스는 結局 바위에 부딪혀 죽고 말았다.

암펠로스의 屍體를 發見한 디오니소스는 그를 팍톨루스 江가 周邊에 묻어 주었다. 또한 암펠로스의 무덤 위에 自身이 가장 좋아하는 葡萄나무를 심어 주었다. 디오니소스는 사랑하는 愛人이 죽었다는 事實이 너무 고통스러워 自身도 따라 죽고 싶었지만 不滅의 神이어서 그를 따라 하이데스로 갈 수가 없었다. 슬픈 디오니소스는 季節의 女神 호라이 의 慰勞를 받고 기운을 되찾았다. 그리고 다음날 무덤에서 자란 葡萄나무가 익자 디오니소스는 葡萄를 따 汁을 짰다. 디오니소스는 하룻동안 熟成시킨 葡萄汁을 여러 사람에게 맛보게 하였고 그렇게 디오니소스는 葡萄酒의 神이 되었다. 디오니소스는 葡萄나무를 癌펠로스라고 부르며 온 世上에 葡萄나무의 種子를 퍼트렸다. [3]

아리아드네 [ 編輯 ]

아리아드네는 테세우스 가 사라진 것을 알고 몹시 슬퍼하였는데 이때 낙소스 에 暫時 들른 디오니소스가 나타나 슬퍼하는 아리아드네를 慰勞하고 그女의 아름다운 모습에 反하여 結婚하였다. 헤시오도스 를 비롯한 大部分의 傳承에서 테세우스가 낙소스 섬에 잠든 아리아드네를 버리고 떠난 後 디오니소스가 그女를 發見하여 結婚하는 것으로 描寫되지만, 몇몇 傳承에서는 디오니소스가 테세우스에게 나타나 아리아드네를 낙소스 섬에 두고 떠나라고 要求했다고 傳해진다. 헤로도토스 에 따르면 테세우스가 아리아드네에 對해 싫症이 나서 妊娠한 그女를 섬에 버리고 갔다고 한다.

오리온 오이노피온 [ 編輯 ]

오리온은 키오스 섬의 王 오이노피온 의 딸 메로페와 結婚하려 하지만 王이 結婚을 承諾 하지 않자 强制로 메로페를 차지하려 한다. 이에 오이노피온은 디오니소스의 도움으로 오리온을 술을 먹여 깊이 잠들게 하고 그의 눈을 멀게 한다. 一說에 依하면 오이노피온은 디오니소스와 아리아드네의 아들이라고 傳해진다.

폴림노스 [ 編輯 ]

올림포스의 神이 된 디오니소스는 죽은 어머니(或은 아내 아리아드네)를 되살리고 싶어했다. 디오니소스는 하이데스를 찾기 위해 아르고스 레그네 附近의 알키汚泥아 湖水를 찾아갔는데, 그곳에서 폴림노스라는 羊치기 老人을 만났다. 폴림노스는 디오니소스가 地下世界 入口까지 安全하게 갈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이때 폴림노스는 디오니소스에게 길을 알려준 代身 自身과 性關係 를 나눌 것을 要求하였다. 彙記누스의 天文學에 따르면 폴림노스가 디오니소스의 아름다운 美貌에 反해버렸기 때문이라고 한다. 디오니소스는 폴림노스에게 저승에서 어머니를 救해오는데 成功한다면 所願을 꼭 이루어 주겠다고 말하였다. 以後 디오니소스는 地下世界에서 죽은 어머니를 救해오는데 成功한다. 그러나 디오니소스가 돌아왔을 때 폴림노스는 죽어 있었다. 폴림노스의 죽음을 슬퍼한 디오니소스는 約束을 지키기 爲해 無花果나무 의 가지를 男根 模樣으로 깎아 그의 무덤에 앉은 채 性行爲를 하였다고 傳해진다.

디오니소스校 [ 編輯 ]

古代 그리스에는 디오니소스를 崇拜하는 宗敎가 있었다. 오르페우스교 와 깊은 關聯을 가진 이것은 主로 婦女子들이 살아있는 山짐승이나 家畜, 或은 어린아이를 祭物로 바치고 一種의 狂亂에 빠진 狀態에서 이 祭物들을 산채로 뜯어먹고 그 피를 마셨다고 한다. 그리스의 非理性的인면을 보여주는 디오니소스 敎는 현대 와서 古代 그리스의 硏究가 持續됨에 따라 實體가 漸漸 드러나고 있다.

갤러리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

各州 [ 編輯 ]

  1. Otto, Walter F. (1995). Dionysus Myth and Cult .
  2. Gods of Love and Ecstasy , Alain Danielou p.15
  3. 디오뉘時아카 11張, 논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