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동천동 (용인시)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동천동 (용인시)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동천동
東川洞
로마字 表記 Dongcheon-dong
行政
國家 大韓民國
地域 京畿道   龍仁市 水枝區
行政 區域 50 , 339
法定洞 동천동, 고기동
지리
面積 16.5km 2
人文
人口 49,650名(2022年 2月)
人口 密度 3,010名/km 2
地域 富豪
웹사이트 동천동行政福祉센터

동천동 (東川洞)은 京畿道 龍仁市 水枝區 에 屬하는 行政洞으로 동막리(東幕里)와 원천리(遠川里)를 倂合해 동막(東幕)에서의 '東'字와 源泉(遠川)에서의 '千'字를 따서 이름이 되었다.

이곳은 本來 龍仁郡 수진면(水眞面) 에 屬한 地域이다. 1914年 行政區域 統廢合 때 동막리와 원천동을 合쳐 동천리가 되었고 2001年 12月 24日 , 수지읍이 收支出張所로 昇格, 동천동이 分轄되었고 2006年 9月 1日 , 住民센터가 設置되어 現在는 法定洞으로 동천동, 고기동을 管轄하고 있다. [1]

歷史 [ 編輯 ]

地名 由來 [ 編輯 ]

本來 龍仁郡 수진면(水眞面) 地域이다. 高麗時代 龍具現(龍駒縣) 수진면(水眞面), 朝鮮時代 太宗 13年 용인현(龍仁縣) 수진면(水眞面)이었고 수진면에 屬한 行政區域은 성복동(星福洞), 죽전동(竹田洞), 서봉동(瑞峯洞), 신리(新里), 정평리(停坪里), 동막리(東幕里), 손기리(孫基里), 古墳縣(古分峴)이었다. 1914年 日帝强占期 行政區域 統廢合 때 동막리(東幕里)와 원천동(遠川洞)을 合쳐 동막에서의 '東'字와 源泉에서의 '千'字를 따서 동천리라 하였다. 동막은 廣州郡과 龍仁郡 의 境界가 되는 河川의 東쪽에 幕을 지어 軍 境界의 表示로 삼았다 해서 동막이라는 說이 있고, 丙子胡亂 때 수많은 幕舍가 있었다 해서 그렇게 불렀다는 說이 있다. 口傳에 依하면 이 마을은 龍仁郡과 廣州郡의 境界인데 이곳에 지나는 손님을 待接하기 위해 酒幕이 있었고, 東쪽으로 가는 酒幕이 있던 洞네라고 불리던 것이 垌막이 됐다는 것이다. 仁祖實錄 (仁祖大王實錄)에서는 丙子胡亂(丙子胡亂) 때 일어난 수진면 머흐內(馬敵川) 고개, 험천(險川)으로 登場한다. 성남시 분당구 大庄洞에서 發源하여 낙생貯水池, 분당구 금곡동 동막골과 머내를 지나 탄천으로 流入되는 험천(險川) 또는 머흐內(마희천), 동막천에는 1636年 12月 27日 人組 14年 忠淸道監事 정세규 (鄭世規)가 兵士를 거느리고 머흐內 고개 험천(險川)에 到着한 뒤 形勢를 利用해서 陣을 쳤다가 淸나라 軍隊의 襲擊을 받아 全君이 敗沒했는데, 이 험천 戰鬪 는 當時 좌영장 최진립(崔震立), 우영장 審일민(沈逸民), 別莊 황박(黃珀), 中軍 이건(李楗), 참모관 이경선(李慶善), 放良差使員 이상재(李尙載), 軍紀差使員 김홍익(金弘翼), 沈約(審藥) 이柴糧(李時亮)을 帶同했지만 개전 途中 우영장 審일민(沈逸民)은 화살에 맞았고, 심일民을 除外한 권임길(權臨吉) , 公主 令狀(營將) 최진립(崔震立) , 參謀官 이경선(李慶善), 義兵將 이민진(李敏進) 等은 모두 戰死하였으므로 '이들을 表彰하고 우영장 審일민(沈逸民)은 官職을 賞으로 주게 하소서.'라는 上疏文이 올라와 床이 따랐다는 記錄이 實錄에 傳해진다. 後日 1636年 仁祖 14年 朝鮮 第4次 通信社行(通信使行) 府使(副使)로 參與했던 사간 김세렴(金世藏, 1593∼1646)의 해史錄(海樣錄)에는 1637年 人組(仁祖) 15年 3月 8日 日記에서 ‘밝음. 새벽에 出發하였다. 龍仁에 닿으니 龍仁 縣令 이명열(李命調)李 먼 마을로부터 보러 왔다. 龍仁 마희천(馬敵川=머흐內, 험천)에 이르니 屍體가 쌓였고 피가 數十 里에 잇따라서, 말이 나아가지 못하였다. 忠淸道監事 정세규가 싸움에 진 곳인데 참 惑하고 슬픔을 말할 수 있겠는가! 身元에 이르니 人馬가 나아갈 수 없고, 또 良才에 人家가 없다는 말을 듣고 마지못해 여기서 묵었다.'고 하였다. 1637年 仁祖 15年 4月 7日 禮曹(禮曹) 의 請으로 험천의 屍體를 收拾하여 埋葬하고 忠節과 넋을 慰勞하기 위해 祭祀를 지냈다. 以後 1656年 孝宗(孝宗) 7年 5月 24日 禮曹에서 마희천(麻戱川) 戰爭터로 祭祀를 지냈고, 1668年 顯宗(顯宗) 9年에도 마희천 祭祀 女帝登錄(?祭謄錄) 記錄이 남아있다. 원천동은 現在 炭川 으로 불리는 물길이 '險하다'를 意味하는 험천(險川)과 '머흐다'의 머흔천으로 불렸고 먼천 · 머내 · 모내 等으로 變形되어 다시 漢字로 意譯化되어 源泉(遠川)으로 表記하였다. 『1872年地方地圖』에도 험천 · 험천粘膜 等의 名稱이 보인다. 고기리(古基里)도 1914年 수진면(水眞面) 손기리(孫基里)와 古墳縣(古分峴) 一部를 합쳐 古墳玄의 '高'字와 손기리의 '氣'字를 따서 고기리(古基里)라 하였다. 古墳縣(古分峴)은 한글로 高불縣, 古墳치(古分峙) · 曲玄(曲峴) 等으로도 불리는데 의왕시로 넘어가는 過去 고갯길의 模樣이 구불구불한 데서 由來한 것이다. [2]

  • 동막曲 은 예부터 廣州郡 龍仁郡 의 境界가 동막천(東幕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平地가 있는 河川 東쪽에 마을을 지어 票系(表界)를 삼아 동막이라 하였다는 俗說도 있으며, 丙子胡亂 當時 험천(險川)에서 淸나라 軍士와 큰 戰鬪를 벌일 때 軍隊의 幕舍가 無數히 많아서 동막曲이라 하였다고 한다. 고기리 地域에는 마을 어귀에 膜이 있어 불렀다는 東區幕産(洞口幕山)이 있고 그곳에서 發源하는 동막천(東幕川)에는 蓀谷의 물도 흘러든다.
  • 蓀谷 은 손曲마을을 貫通하는 손穀賤이 흐른다. 河川 (蛇行川)의 西쪽에는 광교산 (582m) 等 높은 山이 있고, 南쪽에는 信奉(260m)이 있다. 손골에서 同類(東流)하는 손穀賤 물은 城南市 盆唐區 와 桐(洞)의 境界를 이루는 동막천에도 흘러 龍仁市 水枝區 檀國大學校 법화산 에서 稽留해 合水되는 성복천 炭川 물줄기로 合流한다. 이 동막천의 地點을 ‘원우천(遠于川)’ 이라고 적어 놓고 머흐內, 마희천(麻戱川)으로 口傳되고 있다.
  • 上蓀谷 은 蓀谷(마을), 손골이라고도 하는데 손(蓀)은 菖蒲나 欄과 같은 植物을 말하므로 손초(蓀草)가 自生한 골이라는 데서 緣由된 地名인 것으로 推測된다. 아랫손골 위쪽에 마을이 이루어졌다하여 위손골, 上손골 等으로 불린다.
  • 重蓀谷 은 上蓀谷과 下蓀谷 中間에 마을이 形成되었으므로 重손골, 衆孫曲이라 稱하게 되었다.
  • 下蓀谷 은 손골, 마을이 위 아래에 形成되어 있어 윗마을을 上蓀谷이라 한 것에 따라 아랫마을을 하손曲이라 하였다.
  • 머내 英祖(英祖) 때 製作한 邑誌, 기타 地理誌 等을 보면 옛地名人 험천에 點(店)李 表記되어 '험천(險川)' 또는 '험천點'(險川店)으로 表記가 되어 있다. 고어(古語)에 '머흐다'라는 말이 있는데 '머흐다'는 險하다는 뜻이며 '내'는 千(川)을 뜻하므로 漢字의 意譯하면 '험천(險川)'이 된다. 따라서 험천의 漢字表記 地名을 우리말로 쓸 때는 '머흔千'李 되고 이것이 俗音 脫落되면서 '먼천' 또는 '머내', '모내'로 變形된 것인데, 다시 漢字로 意譯하여 '源泉'(遠川)으로 表記하기도 하였다. 1861年 ( 哲宗(哲宗) 2年 김정호(金正浩) 가 만든《 大東輿地圖(大東輿地圖) 》에서 下流를 ‘ 炭川 ’이라 하고, 上流附近의 發源地는 ‘장천(莊川)’ 或은 ‘원우천(遠于川)’이라 記錄했듯이 源泉, 원우천(遠于川), 험천(險川), 머내, 마희천(麻戱川)으로 불려왔던 事實을 알 수 있다.

沿革 [ 編輯 ]

  • 2001年 12月 24日 용인시의 行政 區域 改編
  • 2005年 10月 31日 收支出張所가 수지구청으로 昇格
  • 2006年 9月 새 廳舍 建物로 移轉
  • 2007年 9月 1日 동천동住民센터로 變更

人口 [ 編輯 ]

동천동 性別 年齡別 人口 構造 [3]

동천동의 人口는 49,030名이고 용인시의 4.0%를 차지한다. 男子는 24,185名, 女子는 24,845名이다. 동천동의 人口 構造는 一般的인 都市의 特徵이 나타나서 幼少年 人口 比率은 17.1%로 龍仁市 全體(16.1%)보다 높고 老人 人口 比率은 10.8%로 龍仁市 全體(12.2%)보다 낮다. [4]

傳해오는 이야기 [ 編輯 ]

고기동 배나무골(李穀)은 順調(純祖) 31年(1831) 禦侮將軍行 五位 都摠府道使(禦侮將軍行五衛都摠府都事) 이진영(李鎭英)李 落鄕하고 집에 들어가자 그해 집 뒤便에 죽어있던 배나무 가 배꽃을 피워 그 배를 順調에게 올려서 배꽃이 핀 地域을 배나무골(李穀)로 부르게 되었다.

수지읍 동천리에 딸린 마을 中의 하나로 洞天植物園 앞에서 洞天로 135番길 사이로 音聲癩患者 들이 自給自足하는 염광農園이 있었는데 自活村의 하나로 患者를 위한 病院이 必要하여 設立하게 되었다. 나중에 이 病院은 皮膚病 專門病院으로 全國에 이름이 날 程度로 有名하게 되었다. 現在는 病院은 없어지고 家內工業과 家口團地와 龍仁洞天 地區單位計劃區域(최연규 組合長)으로 變更되었다.

文化財 및 遺跡 [ 編輯 ]

  • 龍仁 동천동 遺物山砲지(龍仁東川洞遺物散布地) 三國時代 ~ 朝鮮時代 의 遺物山砲지로 總 세 곳에 分布하고 있는데 동천동(東川洞) 遺物山砲지 1~3으로 區分된다.
    • 遺物山砲지 1은 京畿道 城南市 盆唐區 에서 局地도 23號線을 따라 성남시와 용인시의 時計가 지나는 동원교를 건너 地方도 14號線으로 進入하여 1.5km 程度 가면 聖母敎育院이 位置한다. 동천동 遺物山砲지는 聖母敎育院 남동편에 자리한 동막마을과 西쪽의 山四面 末端部를 包含하는 地域이다. 동막마을 一帶에(동천 94) 있으며 重點的으로 遺物이 山砲하고 있는 곳은 밭 耕作地와 하우스 周邊이다. 少量의 三國時代 土器 조각과 高麗時代 및 朝鮮時代의 陶器 조각, 自己 조각이 發見되었다.
    • 遺物山砲지 2는 동천교 隣近 밭 一帶(洞天 58-1)에 있다. 高麗時代 및 朝鮮時代의 陶器 조각과 自己 조각이 採集되었는데, 部分的으로 集中되는 곳이 있는 것으로 判斷된다.
    • 遺物山砲지 3은 衆孫曲마을 一帶(洞天 548-7)에 있다. 主로 밭 耕作地에서 遺物이 發見되는데, 이는 大部分 高麗時代의 陶器 조각이다. 그 外에 少量의 朝鮮時代의 陶器 및 自己 조각도 確認되었다.
  • 龍仁 고기동 遺物山砲지(龍仁古基洞遺物散布地) 高麗時代 ~ 朝鮮時代 의 遺物山砲지로 總 세 곳에 分布하고 있는데 고기동(古基洞) 遺物山砲지 1~3으로 分類된다.
    • 遺物山砲지 1은 성남시와 용인시의 時計가 지나는 동원교를 건너 地方도 14號線으로 進入하여 낙생貯水池 北쪽으로 窓技巧가 나온다. 窓技巧를 건너 손氣마을을 貫通하는 길을 따라 荒林 墓 까지의 고기동 71-1番地 一帶는 高麗 , 朝鮮時代 陶器, 自己便들이 分布해 있다. 山砲地의 集中度로 보아 이곳에 高麗, 朝鮮時代 生活遺構가 있을 것으로 判斷된다.
    • 遺物山砲지 2은 고기동 656-1番地 一帶다. 採集되는 遺物은 高麗 , 朝鮮時代 陶器, 自己便들이 나오고 墳墓 遺跡들이 確認되었다.
    • 遺物山砲지 3은 고기동 650番地 一帶로 이곳 丘陵地 末端部 緩傾斜에는 遺物山砲지 1과 2에 비해 三國時代 土器片들이 集中的으로 確認되고 있다.
  • 이종무 將軍 墓 驛(京畿道 記念物 第25號 李從茂將軍墓)
  • 荒林 墓 驛(鄕土遺跡 第40號 輸忠翼謨光國功臣 黃公之墓)
  • 弛緩 墓 및 旌閭角 (鄕土遺跡 第51號 李莞墓 및 旌閭閣)

그外 龍仁市 水枝區 동천동 401-3番地에는 龍仁 寶亭洞 古墳群 에 殘存한 高句麗 石室墳에 이어 約 10個의 年度를 갖춘 지상식 또는 半地下式 橫穴式 救助 高句麗 石室墳이 確認된다. 이들 무덤은 遺失되거나 毁損되었지만 남아있는 形態에서 橫穴式 石室墓로 지상식과 半地下式으로 나뉘고, 某줄임식 天障構造와 壁體에 灰漆흔 等 高句麗 무덤의 典型的인 特徵을 나타내고 있다. 橫穴式 石室墓는 한 個의 封墳에 2個의 石室을 마련한 雙실妙 等이 確認되고 있으며 追加醬을 念頭에 두고 무덤을 築造한 것으로 보인다.

敎育 機關 [ 編輯 ]

交通 [ 編輯 ]

道路 [ 編輯 ]

廣域 鐵道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御眞 사람들이 사는 忠節과 孝의 故障, 都市와 農村이 共存하는 都農複合都市 京畿 龍仁市” . 京鄕新聞. 2010年 8月 30日 . 2012年 11月 30日에 確認함 .  
  2. 韓國地名由來집 中部便, 編輯部, 國土地理情報院(2008年)
  3. 동천동 年齡別 人口 Archived 2018年 9月 29日 - 웨이백 머신 , 龍仁市 統計바다
  4. 龍仁市 月別統計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龍仁市廳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