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동래군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동래군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동래현 에서 넘어옴)

동래군 (東萊郡)은 現在의 釜山廣域市 江西區 를 除外한 全域을 차지하던 慶尙南道 의 옛 行政 區域이다. 軍役(郡域)李 持續的으로 釜山市에 編入되다가, 殘餘 地域이 1973年에 梁山郡 에 합쳐져 廢止되었다. 以後 梁山郡에 합쳐졌던 地域(元來 蔚山郡 이었던 서생면 除外)을 分離해 1995年에 釜山廣域市 機張郡 이 新設되었다.

槪要 [ 編輯 ]

동래군은 부산부로 名稱 變更된 '동래군'과 1914年에 實施된 夫君面 統廢合 當時에 부산부와 分割한 '동래군'으로 나눌 수 있다. 前者의 境遇에는 只今의 機張郡 江西區 를 除外한 釜山廣域市의 大部分에 該當하며, 後者의 境遇에는 只今의 강서구와 中區 , 影島區 , 東區 , 西區 를 除外한 釜山廣域市의 大部分에 該當한다.

1914年 行政區域 改編으로 부산부와 分離될 當時의 동래군은 東萊面·南面·書面·北面·座이면(구포)·사상면(沙上面)·사하면(沙下面)·기장면·일광면(日光面)·장안면(長安面)·정관면(鼎冠面)·철마면(鐵馬面) 12面으로 構成되었고, 釜山부는 부산면, 四重面, 사하면 一部·對中面을 88梃(町)·桐(洞)으로 改編하였다.

동래군은 現在 釜山廣域市의 母胎로서 朝鮮 時代 以後로 左水營과 獨鎭 等 軍事上 要衝地였으며, 倭館 等 對日外交 事務를 總括하던 重要 關門이었다.

由來 [ 編輯 ]

옛 동래군은 三國時代에 居漆山郡(居柒山郡)과 대증현(大甑縣)李 合해져서 생겨났다.

只今의 東來에서 海雲臺에 걸쳐 있던 거칠산은 말 그대로 "거칠다"의 우리말에서 由來된 이름으로, ’거친 뫼’ 卽 황령산을 끼고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單 古代에는 "까실메"로 읽혔다. 現代語에 가깝게 "七(柒)"字가 들어간 것은 偶然의 結果이다.

只今의 釜山浦에서 洛東江 河口에 있었던 釜山(釜山)이라는 이름의 起源이 되는 대증현(大甑縣)은 《東國輿地勝覽》에서 "釜山은 山이 가마솥 模樣으로 생겼기 때문에 그 山 밑을 釜山浦라 한다."라고 하였는데, 그 山은 只今의 釜山廣域市 東區 좌천동에 있는 "增産"(甑山, 시루臺 또는 釜山)을 말한 것이다. 큰 시루를 뜻하는 "對證(大甑)"과 "簿(釜, 가마솥)"는 뜻이 통하는 것으로 只今의 釜山廣域市 부산진구 당감동 一帶를 말한다.

歷史 [ 編輯 ]

三韓時代에는 海雲臺 地域에 거칠산국(居柒山國)이 있었다. 西紀 1世紀 後半인 脫解王 臺에 機長의 장산국과 함께 거칠산국이 新羅에 占領되었다. 한便 釜山浦 一帶에는 伽倻 의 鍾鉢性(從拔城)李 세워져 新羅와 百濟ㆍ왜ㆍ伽倻 聯合軍의 角逐場이 되었다. 奈勿王 臺인 서기 400年頃에 百濟,伽倻,왜의 聯合軍이 新羅를 侵攻했다가 광개토왕 의 高句麗軍에게 大敗하여 敗亡하자 釜山 全域이 新羅의 領域에 編入되었다. 옛 거칠산국은 居漆山郡(居柒山郡)李 되고 종發聲은 "큰 시루"라는 뜻의 대증현(大甑縣)李 되었다. 757年(新羅 景德王 16年)의 行政改編으로 居漆山郡은 동래군(東萊郡)으로 改稱하였다. 대증현은 동평縣(東平縣)으로 改名되어 기장현 (機張縣)과 함께 동래군의 管轄賢異 되었다.

757年 동래군의 行政區域名 改稱과 屬縣의 位置
區 名稱 新 名稱 現代의 非情 位置
대증현(大甑縣) 동평縣(東平縣) 釜山廣域市 釜山鎭區
갑화糧穀縣(甲火良谷縣) 기장현(機張縣) 機張郡 기장읍


1018年( 高麗 顯宗 9年) 東萊軍이 동래현(東萊縣)으로 格下되고 蔚州 (蔚州)의 屬縣이 되며 동래군의 屬縣이던 동평玄은 洋酒 (梁州)의 屬縣이 되었다.

1396年( 太祖 (太祖) 5年) 陰曆 6月 18日 東萊 萬戶(東萊萬戶) 尹兄 (尹衡)과 石砲 千戶(石浦千戶) 李義警 (李義敬)李 倭寇의 배 1隻을 잡아서 軍器와 甲옷을 바쳤다. [1] 陰曆 8月 9日에는 倭敵의 배 1百 20隻이 慶尙道에 入口(入寇)하여 兵船(兵船) 16隻을 奪取해 가고, 水軍 萬戶(水軍萬戶) 이춘수 (李春壽)를 죽였으며, 東萊(東萊)·기장(機張)·동평性(東平城)을 陷落하였다. [2] 陰曆 10月 27日 - 倭寇가 동래성(東萊城)을 包圍하였다가 이기지 못하고 물러가면서 兵船 21隻을 불살랐고, 水軍 萬戶(水軍萬戶) 尹兄 (尹衡)과 임식 (任軾)李 戰死하였다. [3] 1397年(朝鮮 太祖 6年) 동래군에 처음으로 兵馬使(兵馬使) 兼 判懸社(判縣事)를 두고, 동래군에 陳(부산진, 釜山鎭)이 設置되었다. 1405年(太宗 5年), 1018年 以來로 蔚州 (蔚州)의 屬縣이었던 동래현이 주현(主縣)李 되고 楊州의 屬縣이었던 동평玄이 다시 東來縣의 屬縣이 되었다. 1409年 (太宗 9年) 동평玄이 다시 洋酒의 屬縣이 되었다가 1428年(世宗 10年)에 다시 東來의 屬縣이 되었다. 1547年 동래현이 東萊都護府로 昇格되었다가 1592年에 다시 東來縣으로 格下되었다. 1592年 蔚山 開雲浦에 있던 左水營을 東來府 南村面(現在 수영동)으로 옮겼다. 1599年 기장현이 陛見되어 그 南쪽을 동래현에 移屬시켰다. 1617年 기장현이 復元되었다.

  • 1895年 6月 23日(陰曆 尹5月 1日) 東來府 동래군으로 改編되었다. [4]
  • 1896年 梁山郡 大抵面 金海郡, 座이면 →동래군 吏屬. [5]
  • 1897年 동래군 座이면→양산군 吏屬.
  • 1904年 座이면→계서면 改稱.
  • 1906年 동래군+梁山郡 界書面= 東來府(東萊府).
  • 1910年 10月 1日 界書面→座이면, 東來府 →부산부 (釜山府) 改稱. [6]
  • 1914年 4月 1日 釜山部를 부산부 와 동래군으로 分割 하였다. 이때 機張郡 이 廢止되고 동래군에 吸收된다. [7] (12面)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部令 第111號
舊 行政區域 神 行政區域
부산부 읍내면(邑內面) 교동/대평동/범어동/서호동 一部, 신락桐/회룡桐, 괴정동/옥천동/服喪桐/部稼動, 坪南洞/안민동/장남동/안국동/서호동 一部, 신리桐/안락동, 염창동/서원동/火현동, 만화동/生民桐/回忍冬 東萊面 교동(校洞), 낙민동, 복천동, 수안동, 연산동, 遠東(院洞), 칠산동
부산부 서상면(西上面) 대평동/臺制動/거평동, 석사동/巨人桐/女高洞, 금산동/美南東/火村童/(北面)小貞洞 一部 거제동, 女高洞(余古洞), 온천동
부산부 동상면(東上面) 사천동/금천동 一部, 명장동, 반송동/(機張郡 상서면)雲峰桐, 무貞洞/三禦冬/盤如洞/中里洞, 薯童/금천동 一部, 內석동/外석동, 오륜동/회천동 一部, 동대동/회천동 一部 금사동, 명장동, 반송동, 盤如洞, 薯童, 석대동, 오륜동, 회동동
부산부 動하면(東下面) 우동/韻村童,재송동/(동상면)후동, 좌동 一部, 오산동/대천동/中東/좌동 一部 南面 우동, 재송동, 좌동, 中東
부산부 용주면(龍珠面) 호암동/남외동/감포桐, 동일동/동이동/동삼동/서일동/서이동/서삼동, 남천동/大宴洞, 北외동/구락桐, 德民桐/平民桐, 黨曲桐/석포동/對日桐/大移動/노하동, 牛岩洞 광안동, 남수동(南壽洞), 남천동, 망미동, 민락동
書面 大宴洞, 牛岩洞
부산부 南面(南面) 감만동, 용당동, 龍湖洞 감만동, 용당동, 龍湖洞
부산부 桐平面(東平面) 가야동/유정동/中里洞, 개금동/신리桐, 당리동/감村童, 高帶同/부현동/상리동 가야동, 개금동, 당감동, 付巖洞
부산부 서하면(西下面) 문현동, 범전동 一部, 범전동 一部/(부산면)산수동 一部, 양정동, 연지동, 전포동, 初동동/超薯童 문현동, 범전동, 부전동, 양정동, 연지동, 전포동, 초읍동
부산부 사하면(沙下面) 감천동, 당리동, 괴정동/臺티桐 一部, 구서평동, 신평동, 내장동/外裝桐, 다대동/洪티桐, 평림동, 암남동 사하면 감천동, 당리동, 괴정동, 구평동, 신평동, 장림동, 다대동, 하단동, 암남동
부산부 사상면(沙上面) 모라동/(座이면)덕곡동, 卦내동/唱法桐/덕포동 一部, 덕포동 一部, 사성동/구덕동/장문동, 주례동/冷靜桐, 엄궁동, 感動/鉏全東/(座이면)유도동 一部 사상면 모라동, 괘법동, 덕포동, 학장동, 주례동, 엄궁동, 감전동
부산부 座이면 유도동 一部, 소사동 유두동, 삼락동
부산부 北面(北面) 舊細動/禁斷桐/두實動, 노포동/대롱桐/作場桐/綠瞳 一部, 청룡동, 하정동/煽動/상현동/下신동, 임석동/수내동/擡頭桐/中里洞/죽전동/송정동 一部, 장전동/小貞洞 一部, 부곡동/錦洋桐/起債桐, 외남동 北面 구서동, 노포동, 청룡동, 煽動, 두구동, 장전동, 부곡동, 남산동
부산부 座이면(左二面) 용당동/수정동/下잠동/대천동 一部, 동원동/花井洞/공창동 一部/대천동 一部, 山공선동, 九苞洞/사량桐 一部, 사량桐 一部/당동 一部, 당동 一部/(서상면)만덕동 一部 座이면 화명동, 금곡동, 九苞洞, 금성동, 덕천동, 만덕동
機張郡 상서면(上西面) 안평동 一部/고촌동, 舊漆瞳, 백길동, 안평동 一部/(동면)만화동 一部, 마地動/硏究棟/대곡동 一部, 와餘桐, 웅천동, 각암동/이곡동, 장전동/대곡동 一部 철마면 고촌리, 구칠리, 백길리, 안평리, 연구리, 와여리, 웅천리, 이곡리, 장전리
機張郡 河西面(下西面) 입석동, 임기동, 두全東/不明洞, 임곡동, 월평동 송정리, 임기리
정관면 두명리, 임곡리, 월평리
機張郡 하북면(下北面) 달산동/豫林동 一部/大田東 一部/매곡동 一部, 매곡동 一部/상곡桐, 모전동, 防穀桐/大田東 一部, 병산동, 豫林동 一部, 德全東/산막동/평전동/稼動, 월평동 달산리, 매학리, 모전리, 방곡리, 병산리, 예림리, 용수리, 월펼리
機張郡 상북면(上北面) 고동, 基龍東, 길天動, 名例洞, 龍騷動, 梧桐 一部, 장안동, 曉闇桐/(蔚山郡 외남면)孝烈桐 一部 장안면 고리, 기룡리, 길천리, 명례리, 龍소리, 오리, 장안리, 효암리
機張郡 重北面(中北面) 선암동/(하북면)내덕동, 反龍東/(상북면)梧桐 一部, 임랑桐/월내동 一部, 월내동 一部, 座동동/덕산동, 좌천동, 門동동, 문중洞 一部, 신평동, 遠東/문중洞 一部, 칠암동 덕선리, 반룡리, 임랑리, 월내리, 좌동리, 좌천리
일광면 문동리, 문중리, 신평리, 原理, 칠암리
機張郡 동면(東面) 冬柏桐, 조전동/후동, 용천동, 이천동/이동동, 靑廣東, 學理桐, 花田洞, 횡계桐, 교동 一部, 만화동 一部 동백리, 삼성리, 용천리, 二千里, 청광리, 虐吏, 화전리, 횡계리
기장면 敎理, 만화리
機張郡 南面(南面) 내동, 당사동, 石山桐, 송정동/(부산부 動하면)좌동 一部, 동암동/공수동 내리, 당사리, 석산리, 송정리, 시랑리
機張郡 읍내면(邑內面) 사라桐/마동 一部/動不動 一部, 용암동/무양동 一部, 東部洞 一部/마동 一部/서부동 一部/(동면)교동 一部, 西部東 一部, 신천동 一部, 신암동/서암동/무양동 一部, 월전동/두호동, 靑江東/舞曲桐/신천동 一部 대라리, 대변리, 동부리, 서부리, 新川里, 연화리, 죽성리, 청강리
  • 1918年 1月 1日 座이면 구포면 改稱.
  • 1931年 4月 1日 東萊面을 동래읍으로 昇格하였다. [8] (2邑 11面)
  • 1936年 4月 1日 書面 →부산부 釜山鎭出張所 改稱, 사하면 암남리 內屬. [9] (1邑 10面)
  • 1942年 10月 1日 사하면 →沙下出張所 , 南面 →水營出張所 改編 , 동래읍, 사하면,  南面, 北面 부곡·장전리 부산부 編入 . [10] (8面)
  • 1943年 10月 1日 구포면 邑 昇格. [11] (1邑 7面)
  • 1951年 9月 1日 西部(沙下出張所 內屬 沙下支所로 改稱), 中部·釜山陣·東來·影島·초량出張所 設置.
  • 1953年 釜山鎭出張所 臺演出場所(尤庵, 용당, 용호, 大宴, 남천, 감만동) 設置, 水營出張所 管轄 우동, 좌동, 中東 →海雲臺出張所 昇格.
  • 1957年 1月01日 西部 出張所→ 西區( 沙下支所→沙下出張所 改稱) , 中部 出張所→中 區, 影島 出張所→影島 區, 초량出張所→ 洞口로 昇格, 東萊+海雲臺 出張所=東萊 區(海雲臺出張所 設置), 釜山鎭+臺演出場所=釜山鎭區(東區 梵日3棟 →梵天1∼3棟) .
  • 1963年 1月 1日 구포邑 釜山市 구포出張所 , 사상면 →史上出張所 , 北面 →동래군 北面出張所 , 기장면 송정리 →동래군 海雲臺出張所 에 編入하고, [12] 蔚州郡 서생면을 동래군에 編入하였다. [13] (6面)
法律 第1173號
舊 行政區域 神 行政區域
동래군 구포邑 一圓(구포리, 금성리, 금곡리, 火名利, 덕천리, 만덕리) 釜山鎭區 一部(구포出張所)
동래군 사상면 一圓(덕포리, 삼락리, 某라리, 卦法리, 感電리, 주례리, 학장리, 嚴宮리) 釜山鎭區 一部(史上出張所)
동래군 北面 一圓(남산동, 善理, 두구리, 老圃리, 청룡리, 구서리) 東萊區 一部(北面出張所)
동래군 기장면 송정리
法律 第1175號
舊 行政區域 神 行政區域
蔚州郡 서생면 一圓 동래군 서생면 一圓
  • 1973年 7月 1日 現在 機張 地域 等 남은 동래군 地域 모두가 梁山郡에 編入됨으로써 行政區域名이 消滅되었다. [14] 大抵面 邑 昇格, 진구 臺演出場所 時直轄隊演出場所 昇格.
  • 1975年 10月 1日 西區 沙下出張所→ 時直轄  沙下出張所 昇格, 구포出張所+史上出張所=時直轄北部出張所 改編, 時直轄隊演出場所+東萊區 水營出張所+진구 梵天3棟 一部+東區 梵日3棟 一部=南區, 東萊區 北面出張所 廢止.
  • 1976年 4月 6日 海雲臺出張所가 時直轄 海雲臺 出張所로 昇格.
  • 1978年 1月 1日 東萊區 반여1∼2, 搬送1∼2, 石臺, 재송동→時直轄 海雲臺出張所 합속,
時直轄北部出張所+金海郡 大抵邑 名紙綿, 가락面 一部=北區.
  • 1980年 4月 1日 市直轄 海雲臺 出張所 海雲臺區 昇格.
  • 1983年 5月 1日 市直轄 江西出張所(金海郡 編入地域) 設置, 12月 15日 市直轄 沙下出張所→沙下 九老 昇格.
  • 1988年 1月 1日 東萊區 →金井區 分區.
  • 1989年 1月 1日 市直轄 江西出張所+金海郡 가락面, 菉山面과 의창군 千假面=강서구 昇格.
  • 1995年 3月 1日 東萊區 蓮堤區, 南區 →水營區, 北區→沙上區 分區, 진해시 웅2棟 一部 江西區 內屬. 梁山郡 기장읍, 장안읍, 일광면, 정관면, 철마면을 管轄로 釜山廣域市 機張郡 을 設置하였다. 軍役이 1914年 廢止된 機張郡과 一致하여, 軍名은 機張郡이 되었다. [15]

行政 區域 [ 編輯 ]

1914年의 行政區域 [16] 과 現在의 行政區域 比較
1914年 現在
桐·里 時·區 桐·里
사하면
(沙下面)
암남리 釜山
西區
암남동
감천리, 하단리, 신평리, 장림리, 다대리, 구평리, 堂里, 괴정리 釜山
沙下區
감천동, 하단동, 신평동 , 장림동, 다대동 , 구평동, 당리동, 괴정동
사상면
(沙上面)
주례리, 학장리, 卦法리, 덕포리, 嚴宮리, 感電리, 某라리, 삼락리, 유두리 [17] 釜山
沙上區
주례동, 학장동, 괘법동, 덕포동, 엄궁동, 감전동 , 모라동 , 삼락동 一部, 삼락동 一部
書面
(西面)
[18]
양정리, 汎電離, 부전리, 超邑吏, 연지리, 前捕吏, 부암리, 個金利, 가야리, 黨監理 釜山
釜山鎭區
양정동, 범전동, 부전동 , 초읍동, 연지동, 전포동, 付巖洞, 개금동 , 가야동, 당감동
문현리, 대연리, 우암리, 용호리, 용당리, 감萬里 釜山
南區
문현동, 大宴洞, 牛岩洞, 龍湖洞, 용당동, 감만동
南面
(南面)
[19]
廣岸里, 남천리, 남修理, 망미리, 민락리 釜山
水營區
광안동, 남천동, 수영동, 망미동, 민락동
우리, 佐理, 중리, 再訟理 釜山
海雲臺區
우동, 좌동, 中東, 재송동
東萊面
(東萊面)
[20]
半餘里, 席代理, 반송리 盤如洞, 석대동, 반송동
연산리, 거제리 釜山
蓮堤區
연산동, 거제동
수안리, 칠산리, 복천리, 낙민리, 原理, 敎理, 온천리, 餘고리 [21] , 名長利 釜山
東萊區
수안동, 칠산동, 복천동, 낙민동, 안락동, 명륜동, 온천동, 社稷洞, 명장동
회동리, 오륜리, 금사리, 서리 釜山
金井區
회동동, 오륜동, 금사동, 薯童
北面
(北面)
부곡리, 구서리, 善理, 두구리, 장전리, 老圃리, 남산리, 청룡리 부곡동, 구서동, 煽動, 두구동, 장전동, 노포동, 남산동, 청룡동
座이면
(左耳面)
[22]
금성리 금성동
火名利, 구포리, 덕천리, 금곡리, 만덕리 釜山
北區
화명동, 九苞洞, 덕천동, 금곡동, 만덕동
철마면
(鐵馬面)
[23]
이곡리, 연구리, 구칠리, 장전리, 웅천리, 백길리, 와여리, 안평리, 고촌리, 송정리, 임기리 釜山
機張郡
철마면
이곡리, 연구리, 구칠리, 장전리, 웅천리, 백길리, 와여리, 안평리, 고촌리, 송정리, 임기리
정관면
(鼎冠面)
[24]
달산리, 용수리, 방곡리, 예림리, 매학리, 병산리, 모전리, 월평리, 임곡리, 두명리 釜山
機張郡
鼎冠邑
달산리, 용수리, 방곡리, 예림리, 매학리, 병산리, 모전리, 월평리, 임곡리, 두명리
장안면
(長安面)
[25]
고리, 길천리, 오리, 명례리, 장안리, 기룡리, 龍소리, 반룡리, 효암리, 좌천리, 월내리, 임랑리, 좌동리, 덕선리 釜山
機張郡
장안읍
고리, 길천리, 오리, 명례리, 장안리, 기룡리, 龍소리, 반룡리, 효암리, 좌천리, 월내리, 임랑리, 좌동리, 덕선리
일광면
(日光面)
[26]
二千里, 삼성리, 虐吏, 청광리, 동백리, 화전리, 횡계리, 용천리, 문동리, 문중리, 칠암리, 신평리, 原理 釜山
機張郡
日光邑
二千里, 삼성리, 虐吏, 청광리, 동백리, 화전리, 횡계리, 용천리, 문동리, 문중리, 칠암리, 신평리, 原理
기장면
(機張面)
[27]
동부리, 서부리, 대라리, 죽성리, 新川里, 청강리, 연화리, 대변리, 敎理, 만화리, 내리, 석산리, 당사리, 시랑리 釜山
機張郡
기장읍
동부리, 서부리, 대라리, 죽성리, 新川里, 청강리, 연화리, 대변리, 敎理, 만화리, 내리, 석산리, 당사리, 시랑리
송정리 釜山
海雲臺區
송정동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太祖實錄 (1413) 9卷, 太祖 5年 6月 18日 甲辰 1番째記事
  2. 太祖實錄 (1413) 10卷, 太祖 5年 8月 9日 甲午 3番째記事
  3. 太祖實錄 (1413) 10卷, 太祖 5年 10月 27日 신해 1番째記事
  4. 勅令 第98號 地方制度改正件 (1895年 陰曆 5月 26日)
  5. 勅令 第36號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年 8月 4日)
  6. 朝鮮總督府令 第7號 (1910年 10月 1日)
  7. 朝鮮總督府令 第111號 (1913年 12月 29日)
  8. 朝鮮總督府令 第103號 (1930年 12月 29日)
  9. 朝鮮總督府令 第8號 (1936年 2月 14日)
  10. 朝鮮總督府令 第242號 (1942年 9月 30日)
  11. 朝鮮總督府令 第297號 (1943年 9月 29日)
  12. 法律 第1173號 釜山市政府直轄에관한법률 (1962年 11月 21日)
  13. 法律 第1175號 時·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年 11月 21日)
  14. 法律 第2597號 市設置와군의폐치분합에관한법률 (1973年 3月 12日)
  15. 法律 第4802號 서울特別市광진구等9個自治區設置및特別市·廣域市·道間管轄區域變更等에관한법률 (1994年 12月 22日)
  16. (新舊大棗) 朝鮮 顚倒夫君面理洞 名稱 一覽 ( 1917年 )
  17. 삼락리로 吸收
  18. 서면은 부산부 서하면(西下面)과 桐平面(東平面), 南面(南面)의 合面이다.
  19. 南面은 부산부 용주면(龍珠面)과 動하면(東下面)의 合面이다.
  20. 東萊面은 부산부 읍내면(邑內面)과 서상면(西上面), 동상면(東上面)의 合面이다.
  21. 1917年 사직리로 改稱
  22. 1918年 1月 1日 구포면으로 改稱되고, 1943年 10月 1日에 구포邑으로 昇格되었다.
  23. 철마면은 機張郡 상서면(上西面)과 하서面(下西面)의 合面이다.
  24. 정관면은 機張郡 하북면(下北面)과 河西面의 合面이다.
  25. 장안면은 機張郡 상북면(上北面)과 重北面(中北面)의 合面이다.
  26. 일광면은 機張郡 동면(東面)과 重北面의 合面이다.
  27. 기장면은 機張郡 읍내면(邑內面)과 南面(南面)의 合面이다.

參考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