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팥粥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팥粥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단팥粥 에서 넘어옴)

팥粥
팥粥과 새알心
種類
地域이나 州 東아시아
關聯 나라別 料理
株 材料 , 밀가루 ,
飮食 에너지
(100  g 飮食 黨)
58  kcal  (243 kJ )
비슷한 飮食 훙더右湯 , 시루코
其他 情報 同志 와 關聯

팥粥 을 主材料로 하여 만든 粥 料理로, 韓國 을 비롯한 아시아 의 여러 國家에서 다양한 形態로 나타난다.

韓國에서 팥粥은 겨울에 많이 먹으며, 特히 24節氣 中 하나인 同志(冬至)에 먹는다. 冬至 팥粥에는 찹쌀을 동그랗게 빚은 새알心 을 나이數만큼 넣어 먹었는데, 이 때문에 同志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는 말도 있었다.

傳統的으로 韓國의 民間信仰에서, 빨간色은 鬼神들이 두려워하는 色깔이므로 붉은팥으로 끓인 팥粥에는 厄運을 물리치는 神祕한 能力이 있다고 여겨졌다. 따라서 팥粥을 끓이고 먹는 風習은 雜鬼가 가져오는 不運이나 傳染病을 막기 위한 呪術的인 意味가 있었는데, 팥粥을 먹기 前에 집안의 祠堂에 팥粥을 먼저 올리고, 부엌, 倉庫, 마당 等 집안 곳곳에 뿌렸다.

팥粥을 먹는 風習에는 풍작을 祈願하는 意味도 있다. 過去 韓國社會는 農耕社會였기 때문에 풍작은 恒常 가장 重要한 關心事였다. 팥粥을 먹는 冬至는 一 年 中 밤이 가장 긴 날이며 冬至를 起點으로 낮이 漸漸 길어지기 始作하며, 낮이 길어진다는 것은 곧 農事일이 始作된다는 意味이기도 하다. 同志에 便히 쉬고 健康한 飮食을 나누면서 봄에 耕作을 準備하고자 했던 것이다.

팥粥은 한便으로 飢饉飮食이기도 했다. 韓國人의 밥床은 쌀밥을 主食으로 하여 여러 가지 飯饌을 곁들이는 形態인데, 過去에는 겨울에 쌀이 不足해지는 境遇가 잦았다. 그런 狀況에서 팥粥은 最小限의 쌀로도 簡單히 만들 수 있으면서, 必要한 營養分이 充分히 들어가있는 훌륭한 飮食이었다. 팥粥을 만드는 데에는 팥, 물, 若干의 쌀만 있으면 만들 수 있으며 그 外에 다른 어떤 材料나 飯饌 等은 必要하지 않다. 따라서 겨울에 팥粥은 經濟的으로 穀食을 아낄 수 있는 飮食이었다.

지난 1997年 12月 冬至날의 한 老人 이 팥粥을 먹고 咯血 ( 吐血 )을 하고 死亡 하는 일이 일어났다.

中國 [ 編輯 ]

中國語 로 팥粥은 훙더우저우( 紅豆粥 , hongdouzh?u)라고 한다.

日本 [ 編輯 ]

日本語 로 팥粥은 아즈키가유( 小豆粥 / あずきがゆ )라 부른다.

冬至팥粥 [ 編輯 ]

冬至날에 팥粥을 먹는 風習은 《 荊楚歲時記 ( 英語版 ) 》(6~7世紀)에 記錄되어 있다. 공공氏(共工氏)의 아들이 冬至날 죽어 疫鬼가 되었는데 팥을 두려워했기 때문에 冬至날에 팥粥을 먹는다는 것이다.(“共工氏有不才之子,以冬至死,?疫鬼,畏赤小豆,故冬至日作赤豆粥以禳之。” [1] ) 韓半島에는 늦어도 高麗 때에 冬至팥粥의 風習이 있었는데, 이제현 의 《 익재집 》(14世紀)과 異色 의 《 牧隱集 》(1404) 等에 冬至에 팥粥을 먹는 風習에 對한 記錄이 있다. 《 芝峯類說 》(1614)에서는 中國에서 冬至에 팥粥을 만들지 않는다는 記錄이 있다.(“而余見中朝人。冬至不作赤豆粥。” [2] )

類似한 飮食 [ 編輯 ]

中國 에서는 팥粥과 類似한 飮食으로, 달콤한 탕수이(糖水 , tangshu?)의 一種인 훙더右湯 을 먹기도 한다.

日本 에서는 단팥粥과 類似한 시루코 젠자이 라는 飮食을 먹는다.

베트남 에는 팥粥과 類似한 飮食으로 의 一種인 째더우도( che đ?u đ? )가 있다.

寫眞 [ 編輯 ]

各州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