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다치바나氏 (空家)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다치바나氏 (空家)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타치바나 氏
귤나무
橘나무
漢字 韓國 漢字 : 橘氏  橘氏
가나 たちばなうじ 타치바나우지 [ * ]
(氏姓) 타치바나 스쿠네
氏組(氏祖) 阿伽陀노 李누나이노 미치요
다치바나노 모로에
種別(種別) 黃別
出身 著名人物 다치바나노 나라마로
告示키부노 나이視
다치바나노 價値코
다치바나노 下野나리
다치바나노 요시후루
凡例 - 分類:日本의 氏族

다치바나 氏 ( 日本語 : 橘氏 )는 '橘'를 우지(氏), 혼세이 (本姓)로 하는 氏族이다.

第30代 非다쓰 天皇 (敏達天皇)의 曾孫(或은 孤孫)인 美누 王(美努王)의 아내 阿伽陀노 美累카이노 미치요(?犬養三千代)를 先祖로 하는 黃別氏族(皇別氏族)이며, 아스카 時代 (飛鳥時代) 末期부터 다치바나노 스쿠네(橘宿?, 後에 아손朝臣)라는 街바네(姓)를 授與받았다.

日本의 代表的인 가바네의 하나로서 겐지 (源氏)· 헤이시 (平氏)· 후지와라 우지 (藤原氏)와 함께 '겐페이도詩쓰(源平藤橘)', '四星(四姓)'이라는 通稱으로 불렸다.

槪要 [ 編輯 ]

다치바나 氏의 實質的인 時調는 아스카 時代 末期의 旅館(女官) 阿伽陀노 美累카이노 미치요로, 덴무 天皇 (天武天皇) 때부터 墓部(命婦)로서 宮中을 섬겼으며 後宮의 實力者로서 몬무 天皇 (文武天皇)의 乳母로 뽑히기도 했을 만큼 日本 王室과 깊은 關係가 있었다. 그女는 男便 美누 王과의 사이에서 가쓰라기 王(葛城王)과 사이 王(佐爲王), 두 아들을 낳았는데, 694年 에 美누 왕이 다자이老所致 (大宰帥)로서 규슈(九州)로 赴任해 간 뒤, 후지와라노 後히吐 (藤原不比等)의 夫人이 되어 딸 告廟視 (光明子)를 낳았다.

와도 (和銅) 元年( 708年 ) 11月 25日의 對象制(大嘗祭)를 맞아, 덴무 天皇 때부터 宮中을 섬겨온 미치요의 功績을 높이 산 겐메이 天皇 (元明天皇)은 그女에게 (橘)李 새겨진 盞과 함께 처음으로 '다치바나노 스쿠네( 日本語 : 橘宿? )'라는 氏姓(氏姓)을 내렸고, 이때부터 '다치바나노 미치요(橘三千代)'라는 이름을 쓰게 되었다.

미치요는 덴표 (天平) 5年( 733年 )에 죽고, 3年 뒤인 덴표 8年( 736年 ) 11月 11日, 미치요의 아들인 가쓰라기 王 兄弟는 어머니의 成人 다치바나노 스쿠네를 물려받겠다는 뜻을 朝廷에 알렸고 調整은 17日에 이것을 許諾하였다. 以後 가쓰라기 王은 다치바나노 모로에(橘諸兄)로, 사이 王은 다치바나노 사이(橘佐爲)라 이름을 바꾸었고, 以後 이들의 子孫들은 代代로 다치바나 氏를 稱했다.

歷史 [ 編輯 ]

나라 時代 [ 編輯 ]

모로에는 앞서 덴표 3年( 731年 )부터 産氣(?議)를 맡아 議定官(議政官, 舊敎公卿)으로 拔擢되었으며, 덴표 9年( 737年 )에는 다이羅곤(大納言)李 되었고, 이듬해 10年( 738年 )에는 고다이진(右大臣), 15年( 743年 )에는 社다이진(左大臣)으로 昇進하여, 쇼무 (聖武)· 고켄 (孝謙) 두 天皇의 治世 아래서 태정官(太政官)의 首班으로서 政治를 맡았다. 처음에는 다치바나노 스쿠네라는 가바네로 통했지만, 덴표쇼號 (天平勝?) 2年( 750年 ) 正月 16日에 모로에에게 '다치바나노 아손(橘朝臣)'이라는 가바네가 내려지게 되었고, 以後 '다치바나노 아손'으로 불리게 되었다( 헤이안 時代 平安時代가 되면 大部分의 다치바나 氏가 '다치바나노 아손'을 稱하게 된다).

다치바나노 모로에의 時代는 다치바나 氏의 歷史에서 가장 權勢를 떨쳤던 時代였지만, 덴표쇼號 9年( 757年 ) 正月에 죽고, 그 아들인 나라마로(奈良麻呂)는 후지와라노 나카마로 (藤原仲麻呂)와의 政爭에서 敗하고 7月에 母斑 嫌疑를 받아 獄死하고 말았다( 다치바나노 나라마로의 난 )

헤이안 時代 [ 編輯 ]

나라마로가 獄死한 뒤 다치바나 氏는 議定官의 班列에 이름을 올리지는 못했지만, 나라마로의 孫女인 다치바나노 價値코(橘嘉智子)가 社가 天皇 (嵯峨天皇)의 皇后가 되면서(단림 皇后檀林皇后) 狀況은 急變했다. 當時 臣下 氏族 가운데 皇后를 輩出한 氏族은 후지와라 씨밖에 없었기에 다치바나 氏 皇后의 存在는 貴族 社會에서 다치바나 氏의 地位를 상승시켰던 것이다. 고닌 (弘仁) 13年( 822年 )에 나라마로의 孫子인 다치바나노 쓰네누시(橘常主)가 舊敎가 되면서 約 70年만에 다치바나 氏는 다시 舊敎의 班列에 오르게 되었고, 나아가 價値코 所生의 皇子가 닌墓 天皇 (仁明天皇)으로 卽位하면서 價値코의 오빠 다치바나노 우지키미(橘氏公)가 外戚으로서 눈부신 昇進을 거듭해 조와 (承和) 11年( 844年 ) 고다이진 (右大臣)의 地位까지 이르렀다. 이 渦中에 다치바나 氏의 傍系인 下野나리(逸勢, 마찬가지로 나라마로의 孫子)가 條와의 便(承和の變)으로 朝廷에서 쫓겨나는 事件도 있었지만, 價値코가 健在한 동안에 다치바나 氏는 크게 勢力을 떨쳤다. 다이가쿠벳소(大學別曹) 갓칸人(學館院)은 다치바나 氏 子弟들의 敎育을 위해 皇后 價値코가 세운 것이었다.

9世紀 中盤부터 10世紀 後半까지 다치바나 氏 出身으로 舊敎에 오른 者는 우지키미의 長男인 후지쓰區(峰?), 나라마로의 5代 손인 히로미(廣相), 쓰네累時의 曾孫子인 스미키요(澄淸), 쓰네累時의 孫子인 요시打네(良殖), 히로미의 여섯째 아들인 幾微料理(公?), 히로미의 孫子인 요시후루(好古), 요시打네의 孫子인 쓰네히라(恒平) 等 7名에 達했다. 이들은 大部分 산기 또는 주나곤에 그쳤지만, 요시후루는 다이羅곤까지 올랐다. 헤이안 時代 中期까지 代表的인 舊敎(公卿)들이 많이 輩出되었던 다치바나 氏는 그 뒤 에이間 (永?) 元年( 983年 )에 産期가 되고 사흘만에 죽은 쓰네히라를 마지막으로 더 以上 다치바나 氏 出身의 舊敎는 나오지 않게 되었다.

다치바나 氏 出身의 舊敎들이 더 排出되지 못하게 되면서 永永 떨치지 못하게 된 다치바나 氏는 以後 守令層의 下級 貴族으로서, 교토를 떠나 地方에 土着하는 사람들까지 나타났다. 代表的인 人物로 후지와라노 스미토모 (藤原純友)의 亂을 鎭壓하기 위해 다자이곤노所致(大宰權帥)로서 규슈로 내려온 産氣 다치바나노 幾微料理의 子孫은 그대로 지쿠故國 에 土着하여 武士가 되었고, 지쿠고 다치바나 氏(筑後橘氏)를 稱했다고 한다.

以後 [ 編輯 ]

中央 政界에서는 요시후壘의 孫子에 該當하는 노리타카(則隆)의 子孫이 嫡流(嫡流)로서 자리를 잡아, 中世에는 그 系統만이 다치바나 氏의 唯一한 徒消케(堂上家)로서 代代로 다치바나 氏의 氏長子(氏長者)가 되는 햐쿠케(薄家)를 形成한다. 그러나 이들 햐쿠케도 센고쿠 時代 에 야마시나 도키쓰구(山科言?)의 아들로 햐쿠케(薄家)에 養子로 들어온 모로美쓰(諸光, 모치쓰구以?)가 死亡하면서 16世紀 後半에 系統이 끊어지고 말았다.

그 뒤, 에도 時代 (江?時代)에는 지카케(地下家)로서 아오야마케(?山家, 나카쓰카사쇼中務省의 寫生史生)와 後카이케(深井家, 贊者?者), 와다케(和田家) 等의 집안이 다치바나 氏를 稱했고, 特히 後카이 집안은 햐쿠케의 直系(祖父인 社多모토定基가 모치쓰구의 아들)로 알려져 있었다. 에도 後期의 有名한 學者 라이 山腰(?山陽)는 햐쿠케의 書類(庶流)의 後孫으로 알려져 있다.

다치바나 氏의 主要 人物들 [ 編輯 ]

  • 阿伽陀노 이누카이노 미치요(?犬養橘三千代)
  • 다치바나노 모로에(橘諸兄)/가쓰라기 王(葛城王) - 미치요의 長男.
  • 다치바나노 사이(橘佐爲)/사이 王(佐爲王) - 미치요의 次男.
  • 모로노 오오키미(牟漏女王) - 미치요의 딸로 후지와라노 後嗣사키(藤原房前)의 아내.
  • 다치바나노 나라마로(橘奈良麻呂) - 모로에의 長男.
  • 다치바나노 시마다마로(橘島田麻呂) - 나라마로의 아들.
  • 다치바나노 기요土毛(橘淸友) - 나라마로의 아들.
  • 다치바나노 價値코(橘嘉智子) - 기요土毛의 딸. 通稱 단림 皇后(檀林皇后) .
  • 다치바나노 우지幾微(橘氏公) - 기요土毛의 아들.
  • 다치바나노 美네쓰구(橘岑?) - 우지기미의 아들.
  • 다치바나노 下野나리(橘逸勢) - 名筆로 이름을 떨쳤던 人物.
  • 다치바나노 히로미(橘廣相) - 모로에의 5歲 손. 學者. 要제이 (陽成)에서 고코 (光孝), 우다 (宇多)에 이르는 세 名의 天皇을 섬긴 人物.
  • 다치바나노 幾微사이(橘公材) - 히로미의 次男.
  • 다치바나노 幾微料理(橘公賴) - 히로미의 5男. 지쿠고 다치바나 氏의 先祖로 다자이곤노所致(大宰?帥). 후지와라노 스미토모의 동생 스미노리(純乘)를 지쿠고 (筑後)의 가바이케 性(蒲池城)에서 맞아 싸웠다.
  • 다치바나노 도시미치(橘敏通) - 幾微料理의 三南. 후지와라노 스미토모·스미노리 兄弟의 追討에 活躍하였고, 以後 지쿠고 國에 定着해 가바이케(蒲池)의 領主가 된다(지쿠고 다치바나 氏).
  • 센칸(千?) - 幾微料理의 사남 都市社다(敏貞)의 아들로 民衆에 淨土宗 을 布敎한다.
  • 다치바나노 노리미쓰(橘則光) - 구게 (公家)·가인(歌人). 다치바나노 都市마사(橘敏政)의 長男.
  • 다치바나노 요시유키(橘善行) - 僧侶로서 出家하여 法名을 成功(性空)이라 하다. 엔校誌(圓?寺)를 創建.
  • 條가(?賀) - 多무봉(多武峰)에 살았다.
  • 高케이(皇慶) - 天台宗 僧侶.
  • 노우人(能因) - 僧侶이자 가인. 俗名(俗名)은 다치바나노 나街야스(橘永愷).
  • 다치바나노 미치社다(橘道貞) - 후지와라노 미치나가 (藤原道長)의 側近.
  • 告示키부노 나이視(小式部?侍) - 미치사다의 딸이자 가인.
  • 다치바나노 다메나카(橘爲仲) - 가인.
  • 다치바나노 基미나가 (橘公長) - 헤이안 時代 末期의 무가(武家) 貴族. 다치바나노 幾微사이의 9歲 손으로 다이라노 무네謀利(平宗盛)를 處刑한 人物.
  • 다치바나노 基미나리(橘公業) - 가마쿠라 時代 (鎌倉時代) 初期의 무가 貴族. 다치바나노 幾微羅哥의 아들. 고바지마 씨(小鹿島氏)의 始祖.
  • 다치바나노 나리스에(橘成季) - 가마쿠라 時代의 下級 貴族. 다치바나노 노리미쓰의 먼 後孫. 救助 미치이에(九條道家)의 近習(近習).
  • 가바이케 히社나오(蒲池久直) - 社가 겐지(嵯峨源氏). 다치바나노 幾微料理·다치바나노 도시미치의 子孫으로 지쿠고 가바이케 氏의 사위가 되어 가바이케 씨(蒲池氏)의 始祖가 된다.

지쿠고 다치바나 氏 [ 編輯 ]

다치바나노 모로에의 5代 손이라는 다치바나노 히로미의 다섯째 아들, 種3位 주나곤 다치바나노 幾微料理는 多者이곤노소치로서 규슈로 내려와, 후지와라노 스미토모의 亂 때 多子以後(大宰府)로 쳐들어온 스미토모의 동생 후지와라노 스미노리(藤原純?)의 軍勢를 야나기價와(柳川) 東쪽의 가바이케(蒲池)에서 擊退시켰고, 그 功으로 기미料理의 셋째 아들인 도시미치의 代부터 街바이케를 領地로 下賜받아 領主가 되었으며 多子以後 後칸(府官)의 子孫은 가바이케 城에서 살았다.

다이지 (大治) 元年( 1126年 )에 天台宗 (天台宗) 僧侶 지코(慈光, 俗名은 가바이케 圖謀히吐右仁)가 장수원(長壽院)을 지었는데, 이 지코는 바로 지쿠고 다치바나 氏의 人物이었다.

지쇼-駐에이의 난 ( 겐페이 戰爭 )에서 세운 공으로 幕府의 사이고쿠(西?) 地域 고케닌 (御家人)이 되어 지쿠고 國 미즈마 軍(三?郡)의 지토 (地頭)에 任命된 社가 겐지의 미나모토盧 히社나오(源久直)가 다치바나 氏의 사위가 되면서 처음으로 가바이케 氏를 稱하였다(가바이케 히社나오).

이요 다치바나 氏 [ 編輯 ]

王子인 美누 王의 子孫으로서 儼然하게는 王族의 後裔에 屬하는 다치바나 氏와는 別個로, 헤이안 時代 末期부터 이蓼麴 (伊予國)에서 蕃盛하며 다치바나 氏를 自稱했던 有力 豪族을 이요 다치바나 氏(伊予橘氏)라 부른다.

다치바나 氏를 稱하기는 하지만 王室 宗親인 다치바나 氏와는 달리 이들은 古代 日本의 海上 豪族이었던 高老氏 (河野氏)의 一族인 오치氏 (越智氏)의 分家로서 驅魔盧盧 舊니노 미야쓰코(熊野?造)의 子孫이다. 海上 勢力을 이끌고 후지와라노 스미토모의 亂 때에 活躍했던 追捕使(追捕使)의 長官(長官) 오노노 요시후루(小野好古)나 主戰(主典) 오쿠라 하루자네(大?春實) 等과 함께 武裝으로서 活躍했던 이요의 警告社(警固使) 다치바나노 度야스(橘遠保) 等이 바로 이요 다치바나 氏의 一族이다. 따로 스루가國 (駿河國)의 모쿠다이(目代)였던 다치바나노 都市게(橘遠茂)가 있다.

후지와라노 스미토모의 欄에서 세운 武功으로 度야스의 後孫들은 겐지나 헤이시와 같은 巫歌로 尊重받았고, 이른바 '겐페이토키쓰(源平藤橘)'라는 無事 一族의 하나로서 다치바나 氏를 꼽는 傾向은 度야스에게서 비롯되었다.

가마쿠라 時代의 人物인 다치바나노 基미나가·기미나리 富者의 系譜는 確實하지 않은데, 《 아즈마카가미 》(吾妻鏡) 가죠(嘉禎) 2年( 1236年 )의 記錄에는 "이요 國 우와 軍(宇和郡)은 … 基미나리의 先祖(先祖)가 代代로 지행(知行)을 맡아 … 度토미櫓죠(遠江?) 度야스(遠保)에게 칙情을 내려 그 拘泥의 赤道(賊徒) 스미토모를 討伐한 以來, 그 軍에 居住하면서 子孫에게 代代로 傳해온 지가 오래되었다."고 한 記錄이 나온다. 度야스가 度토미櫓죠(遠江?)로 알려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南北朝 時代 의 武裝 구스盧키 마사시게 (楠木正成)는 다치바나노 度야스의 後孫이라 稱했으나, 確實하지는 않다.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