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다나슈리 카툰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다나슈리 카툰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다나슈리 에서 넘어옴)

다나슈리 카툰
몽골 臺카툰 ( 隊員 正宮皇后 )
在位 1333年-1335年
前任 달리예테미시 카툰
後任 바얀 후투그 카툰
이름
바야우트 다나슈리 ( 韓國 漢字 : 伯岳吾 答?失里  백아오 答납實利 )
身上情報
出生日 1320年
死亡日 1335年
王朝 몽골 帝國
家門 바야우트氏
父親 太平王 엘 테무르
配偶者 土곤테무르 禹카歌鬪 칸

다나슈리 카툰 ( 몽골語 : Данашир хатан 또는 答납實利 (答納失里)는 1320年 - 1335年 )은 元나라 11代 皇帝 惠宗 의 皇后(在位: 1333年 ~ 1335年 )이다. 킵차크 칸國 의 親衛隊 司令官을 지냈었고, 元나라의 政治家인 右丞相이며, 太史(太師)를 지낸 太平王(太平王) 엘 테무르 (燕鐵木兒)의 딸이다. 姓은 킵차크 氏(欽察氏) 또는 바야우트 氏(伯岳吾氏). [註 1] 最終 身分이 西人(庶人: 平民)이었던 탓에 諡號는 없다.

當代 實勢였던 아버지 엘 테무르의 事後 오빠인 텡기스 의 叛亂에 連累되어 廢位되었으며 闕 밖 司祭에서 지내다가 바얀 丞相이 보낸 獨走(毒酒: 鴆毒)를 마시고 死亡했다.

生涯 [ 編輯 ]

生年은 알려지지 않으며 當代 實勢였던 太平王 (太平王) 엘 테무르 의 딸로 欠刹部 出身이다. 원 무종때부터 皇室과 聯關되었던 아버지 엘 테무르 는 晉종 系列을 沒落시키고, 무종의 아들 문종을 登極시켰다. 그러나 뒤늦게 軍士를 이끌고 온 明宗에게 文宗은 帝位를 讓步했지만, 갑작스럽게 毒殺당했다. 엘 테무르는 明宗을 毒殺했다는 疑惑을 받았고, 自身의 딸 다나슈리를 明宗의 아들 土곤테무르와 婚姻시켰지만, 土곤테무르가 明宗 毒殺의 責任을 물을까봐 두려워했다.

어떤 理由에서였는지 그女는 結婚 後 아이를 낳지 못했다. 1333年 (至純 4年·圓筒 元年) 6月에 惠宗 이 그女의 아버지 엘 테무르 의 補佐 아래 皇帝로 語위하였고 다음 達人 7月에 惠宗의 원후(元后: 첫 皇后)로 出嫁했다. 1334年 (圓筒 2年)에 冊褓를 받고 正式 皇后로 冊立되어 惠宗의 第1 皇后로 登極했다.

1335年에 오빠 텡기스 가 叛亂에 힙쓸렸다가 親衛隊 司令官을 맡은 바얀 (伯?)에 依해 死刑되었으며, 이로 인해 그女 亦是 廢位되어 出宮되었다. 以後 個坪部(開平府: 現 內몽골 自治區 多輪縣 西北部)에서 平民으로 지내다가 바얀 丞相이 보낸 鴆毒(?毒) [註 2] 으로 死亡했다.

일화 [ 編輯 ]

叛亂이 鎭壓되자 타라카이는 다나슈리의 皇后前으로 숨어들었다. 다나슈리는 타라카이의 목숨을 살려줄 것을 哀願하였으나 그가 끌려가는 것을 막을 수 없었다.

10代 初中半의 매우 어린 나이에도 不拘하고 性情이 매우 殘惡無道했다. 高麗 人 出身으로 男便의 後宮인 기황후 를 嫉妬하여 別 理由 없이 채찍질을 하고 인두로 지지는 等 毆打 苛酷行爲를 일삼았다. 다나슈리가 기황후를 侮辱하고 無慈悲하게 毆打한 것은 여러 몽골 과 中國 民譚, 傳說에 傳해 내려오고 있다.

家計 [ 編輯 ]

다나슈리가 登場한 作品 [ 編輯 ]

出處 [ 編輯 ]

各州 [ 編輯 ]

  1. 明나라에서 編纂한 《元士(元史)》에선 타나實利 婦女를 킵차크 氏(欽察氏)로 表記하고 있고, 中華民國에서 再編纂한 《新元史(新元史)》에선 바야우트 氏(伯岳吾氏)로 表記하고 있다.
  2. 鴆새의 깃털을 술에 憂慮 抽出한 毒.
前任
다리例테미쉬
元나라의 皇后
1333年 ~ 1335年
後任
바얀 후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