菌學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菌學
버섯 은 菌의 生殖 構造이다.
學問名 菌學
다른 이름 眞菌學, 菌類學

菌學 (菌學), 眞菌學 , 菌類學 의 硏究와 關聯한 生物學 의 갈래이며, 油田 敵이고 生化學 的인 特性, 이들의 分類 , 人間의 菌의 利用( 페니실린 과 같은 醫學 의 源泉), 飮食 發效( 치즈 , 김치 等) 等을 包含한다.

歷史 [ 編輯 ]

菌이 進化的으로는 植物보다 動物에 더 가까웠으나 이는 數 十 世紀 前까지 認知하지 못했었기 때문에 歷史的으로 菌學은 植物學 의 한 갈래였다. 菌이 分明히 動物이 아니었으므로 린네 는 菌을 植物界 안으로 넣었다. 그러나 19世紀 에른스트 헤켈 은 菌을 植物界로 分類하는 것에 疑問을 提起하였고 마침내 로버트 휘태커 는 1969年에 菌界를 만들 것을 提案하였다.

菌學의 始作은 1737年 피에르 안토니오 미켈리 의 1737年 《새로운 植物의 속》( Nova plantarum genera )이라는 書籍과 더불어 始作하였다. [1] 菌學(mycology)과 菌學子(mycologist)라는 用語는 1836年에 버클리(M.J. Berkeley)가 처음 使用하였다. [2]

槪論 [ 編輯 ]

具體的으로는 酵母나 곰팡이, 버섯 等의 기초적인 性質과 應用에 關한 學問이다. 이러한 生物은 外觀上으로는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지만 그 構造는 菌絲 等 微細한 構造 더미로 構成되어 있기 때문에 微生物로 取扱된다. 따라서 微生物의 一部로 보는 視角도 있다. 歷史的으로 이러한 生物은 박테리아類와 함께 植物界의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植物學에서 派生된 것이다. 現在는 菌界는 獨立系로 看做되며, 이것이 菌學이 取扱하는 分野이다. 덧붙여서 現在는 菌類는 植物과 親和力이 멀고 오히려 動物界와 매우 가까운 것으로 看做되고 있다. 게다가 菌類와 鷄卵菌類 等은 現在는 菌類가 아니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오랫동안 菌類로 取扱되어 왔기 때문에 그 硏究는 菌學者의 일로 看做되어왔다. 따라서 現在에도 菌學에 包含되는 境遇가 많다. 初期의 學者로는 Elias Magnus Fries, Christian Hendrik Persoon, Anton de Bary, Lewis David von Schweinitz 等을 들 수 있다. 菌學은 肉眼으로 觀察할 수 있는 버섯 硏究와 顯微鏡에서 發見된 微生物 硏究가 함께 進行되어 왔다. 微生物은 세균류를 中心으로 進行되어 왔기 때문에 初期 菌學은 그 影響을 매우 剛하게 받는다. 微生物 硏究에 必須的인 培養 技術은 酵母에 파스퇴르가 試圖한 것이 아주 이른 例이지만, 그때는 主로 病原性 微生物을 對象으로 硏究가 進行되었다. 그러나 이를 위한 技術은 菌類의 많은 곳에 應用이 可能했기 때문에 漸次 硏究가 進行되게 된다.

基礎生物學 [ 編輯 ]

酵母는 細胞 水準의 生物學에서 모델 生物의 첫 番째 本보기로 看做해도 좋을 것이다. 呼吸 및 酵素에 對한 生化學 分野는 여기에서 始作된다. 이어 붉은빵곰팡이가 遺傳學 硏究에서 利用되면서 有名해졌다. 그 以後에도 基礎 生物學의 여러 分野는 微生物을 모델로 使用하여 왔으나, 오히려 菌類보다 더 작고 單純한 微生物이다 박테리아類나 바이러스가 分子 生物學이나 遺傳學의 모델로 使用되는 것이 많아졌다. 그러나 이러한 生物은 원핵 細胞이며 우리와 같은 진핵 細胞가 아니므로 가장 다루기 쉬운 진핵 生物로 菌類가 使用되는 例는 많다. 자주 使用되는 것은 新進 酵母 Saccharomyces cerevisiae와 分列 酵母 Schizosaccharomyces pombe이다.

應用科學 [ 編輯 ]

酵母의 硏究가 發效 産業의 要請으로 始作된 것처럼 이와 直接 連繫된 分野는 큰 發展을 이루었다. 菌類에 關해서는 發效에 關聯된 것, 페니실린 始作 抗生劑 等의 二次 生産物의 利用 等이 實用的인 側面에서 重要하고 現在도 다양한 菌類 만드는 物質을 찾는 것은 全 世界 製藥 會社 等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한便, 植物에 病原性을 가지는 菌이 많이 있는 것부터, 植物 病理學에서도 重要한 部分을 차지한다. 또한 큰 影響이 있는 毒性을 가진 菌類도 있다.

分類學 [ 編輯 ]

直接 實用性이 없는 分野에서는 아직 充分한 硏究가 進行되지 않은 部分이 많은 分野이기도 하다. 分類에 關해서는 只今도 新種가 자꾸 追加되고 있다. 特히 微細 菌類라고하는 작은 子實體를 만드는 子囊 菌類 等 每年 漸漸 新種이 나온다. 또한 菌類는 野外에서 發見이 어렵고, 發見 方法이 開發되면 새로운 分類軍이 山과 같이 標示될 수 있다. 例를 들어 수생 불완전균은 1942年에 처음 發見되어 現在는 하나의 分野로 成長하고 있다. 한便, 分類 體系 自體의 檢討도 進行되고 있다. 菌類는 構造가 簡單한 것이 많아, 外部 形態에 依存하는 分類는 充分한 證據를 얻을 수 없는 境遇도 많다. 現在는 生化學, 分子 遺傳學 等의 情報를 使用할 수 있으므로, 그것들을 利用한 再檢討가 이루어지고 있다.

生態 [ 編輯 ]

菌類의 生太는 取扱하기 어려운 分野이다. 菌類는 培養을 하고 처음으로 觀察할 수 있는 境遇가 많아 野外에서의 存在와 活動을 把握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自然系의 役割의 重要性은 分明하다. 一般的으로 菌類는 많은 微生物과 함께 分解되는데 自然系의 生物 死體와 排泄物의 分解를 遂行하는 役割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細部 事項을 보면 特히 植物 死體의 主成分인 리그닌과 셀룰로오스의 分解에 關해서는 菌類의 作用이 큰 것으로 생각된다. 그 點에서는 生態系의 炭素 循環에서의 役割은 重要하다. 또한 菌類는 다른 生物과의 共生 關係를 맺는 것이 많다. 이끼는 鳥類와 菌類의 密接한 共生에 依해 本보기로서의 獨立 生物이 되고 있다. 또한 菌根은 一部 高等 植物과 菌類 만의 특수한 關係로 看做했지만, VA 菌根 硏究의 發展으로 大部分의 地上 植物에서 發見된다는 點과 다양한 肥料 成分의 運搬에도 關聯이 되고 있어 그 方面의 實際에 對한 硏究도 進行되고 있다.

參照 [ 編輯 ]

  • Ainsworth, G. C. (1976).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Mycology.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21013-5 .

各州 [ 編輯 ]

  1. Ainsworth, p. 4.
  2. Ainsworth, p. 2.

外部 링크 [ 編輯 ]

  • 위키미디어 公用에 菌學 關聯 미디어 分類가 있습니다.

같이 보기 [ 編輯 ]